작성
·
9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현재 회사에서 IDC 온프레미스환경에 쿠버네티스 도입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다만 인프라관련 인원이 없는상황이라 어쩔수없이 주니어인 제가 당장 인프라 구조를 구축해야하는데
쿠버네티스가 어려운 기술이다보니 당장 도입하기보다 공부하고 점진적 도입을 하려는데
도커로 먼저 시스템을 서버에 배포해놓고 추후에 쿠버네티스를 점진적으로 도입이 유연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DBMS올리는건 로컬과 컨테이너 중 보통 어느곳에 올리실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it님.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쿠버네티스를 도입하는 것은 상당한 도전일 수 있습니다. 우선, 현재 상황에 대해 핵심적인 부분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점진적 도입 전략: 도커로 먼저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화하고 이후에 쿠버네티스를 도입하는 방식은 비교적 자연스럽고 유연한 접근입니다. 도커로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화하면, 코드의 이식성과 배포의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후 쿠버네티스를 통해 오케스트레이션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커로 애플리케이션 층을 먼저 구축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DBMS 운영 위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로컬에 두는 경우와 컨테이너에 두는 경우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온프레미스에서의 DBMS는 고가용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핵심 데이터베이스는 로컬에서 운영하되, 테스트나 개발 영역에서는 컨테이너 기반 DBMS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기존에 유사한 질문들과 답변이 많으니, 아래 링크들을 통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