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Part 3(상) : 멀티스레드와 동기화
36강 SpinLock 부분 질문
public void lock() { while (!owner.compareAndSet(false, true)) LockSupport.parkNanos(1); }강의에서 직접 구현하신 스핀락에서 LockSupport.parkNanos()를 사용하셨을 때, 컨텍스트 스위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설명해주셨는데요.실제로 예제 코드에서 Thread.getState()로 스레드 상태를 확인해보니, parkNanos() 호출 시 스레드가 TIMED_WAITING 상태로 전환되었다가 지정한 시간이 지나면 RUNNABLE 상태로 바뀌는 것을 확인했습니다.그렇다면 지정한 시간이 지난 후 RUNNABLE 상태가 되었을 때, 해당 스레드에 대해 컨텍스트 스위칭이 발생하는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또한 강의에서는 parkNanos()가 실제로 블로킹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적으로 스피닝한다고 설명해주셨는데, 만약 그렇다면 스레드 상태가 RUNNABLE이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도 들었습니다.이 부분이 조금 혼란스러워 이렇게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Part 3(상) : 멀티스레드와 동기화
44강, 45강을 듣고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의를 듣고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44강과 45강에서 List에 대해 설명해 주시면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ArrayList나 LinkedList를, 동시성 문제가 고려되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Vector를 사용하라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그런데 Vector는 JDK 1.x 시절에 도입된 레거시 클래스로 모든 public 메서드에 synchronized 키워드가 적용되어 있어 성능 저하와 불필요한 락 경쟁, 캐시 무효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java.util.concurrent 패키지에서 제공하는 동시성 컬렉션이나, Collections.synchronizedList, CopyOnWriteArrayList와 같은 대안들을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단순히 동시성 문제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서 Vector를 권장한다라는 접근은 현재 시점에서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됩니다. 그럼에도 강의에서 Vector를 언급하신 특별한 의도나 배경이 있으셨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Part 3(상) : 멀티스레드와 동기화
커널객체와 jvm 객체 차이 질문.
제가 cs가 조금 약해서 그런데...커널객체랑 jvm내 객체랑..크게 보면 같은 의미라고 할수있나요? 자바에서 객체는 JVM이 관리하는 메모리 내 인스턴스--> 인데... 커널 객체도... 만약에 C로 짜여진 운영체제라면..네이티브 메모리에 올라가있는 데이터구조 인스턴스..?라고 해야하나 그런걸 의미하는걸까요?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Part 3(상) : 멀티스레드와 동기화
JVM 스레드 TLS 질문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는 TLS는 프로세스의 한정적인 VMS위에서 나뉘어서 사용되는건가요?? Heap area에 비해 다른 영역은 작은걸로 아는데 TLS가 나뉘어서 사용되면 영역이 작아지지 않을까라고 생각되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Part 3(상) : 멀티스레드와 동기화
몇가지 질문드립니다
lock flag로 스레드가 인스턴스에 접근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멀티스레드에서는 동시에 인스턴스에 접근하여 각각 코어에서 연산을 하기 때문에 동기화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럼 항상 lock flag을 획득하고 접근하는게 아닌가요? 그리고 스레드가 함수 단위라 하셨는데, write 과정을 cpu 스케줄링 관점에서 생각하면Time slice 내에서 load, read 하고 기다린 뒤 다시 자신의 차례가 왔을 때 memory에 write한다고 이해했는데 맞나요? 또한 synchronized를 이용하면 원자성이 보장된다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복잡한 로직과 관계 없이 synchronized를 붙이면 스케줄링 없이 한방에 실행되는 건가요? 마지막으로.. 서버를 겉햝기식으로 공부하다가 회의감이 들어 널널한 개발자님 강의를 들으며 jvm, 자바부터 다시 공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부를 하면서 불안하고 회의감이 듭니다. 왜 이런 감정이 드나 생각해보았더니 jvm, 멀티스레드를 프로젝트에 어떻게 녹여서 포트폴리오화 해야 할지 모르는 막막함 때문이었습니다. 제 생각에 조언, 지적을 해주실 수 있나요?
-
해결됨[리뉴얼] 타입스크립트 올인원 : Part1. 기본 문법편
제네릭에 never가 들어올 때 분배법칙
분배법칙의 작동방법 이해가 어려워 타입스크립트 교과서를 보던 중 모르는 부분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해당 내용은 타입스크립트 교과서 p.111에 있는 내용인데요type R<T> = T extends string ? true : false; type RR = R<never>; 이 코드의 설명 부분이 아래와 같이 되어 있습니다.RR 타입이 true가 아니라 never인 이유는 T가 never가 되면서 분배법칙이 일어났기 때문이다.never는 공집합과 같으므로 공집합에서 분배법칙을 실행하는 것은 아무것도 실행하지 않는 것과 같다.따라서 결과는 never다.설명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분배법칙이 일어났다는 것은 never가 never|never로 유니언으로 분리되서 각각 타입검사를 하게 되는건가요?그렇다면 never extends string ? true : false 가 되어서 분배 되어 각각 타입검사를 해서 true | true 가 되고 최종적으로 true 가 되어야하지 않나요?공집합에서 분배법칙을 실행하는 것은 아무것도 실행하지 않는 것이라는 말이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타입스크립트의 모든 것
제네릭 extends관련질문 있습니다.
function test<T extends object>(params:T){ params.hi()}위 코드에서 params.hi()는 타입을 보장할수 없다는 에러가 반환됩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test<T extends object>를 해주었는데 왜 타입보장이 안된다구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hi의 타입을 몰른다 라구 하더라도 object 프로퍼티에 접근할때 dot으로 접근할수있는데 왜 타입 보장이 안된다고 하는걸까요??왜 따로 interface IHi를 만들어서 그거를 extends해줘야 하는것일까요?? 물론 IHi하면 타입을 좀더 촘촘하게 설정해주어서 params안에는 hi라는 메소드가 들어간다는걸 인지시켜줄순 있겠지만 그래도 오브젝트가 사용될수 없는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최신 SwiftUI와 UIKit과 함께하는 올인원 iOS 앱 개발 강의
강의순서가 바뀐 것 같아요!
extension강의와 generic강의가 바뀌었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