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import 오류?
처음 세팅을 강사님처럼 naver-client 모듈을 생성하고 하지는 않았긴 했는데 이게 이유가 될 수 있나요? external에서 테스트할 때는 동일하게 common 쪽 import 하고 사용했을 때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해서 뭐가 원인인지 모르겠습니다.C:\Users\82108\Desktop\PARK_BH\library-search\search-api\src\main\java\com\library\controller\BookController.java:3: error: cannot find symbolimport com.library.NaverBookResponse; ^ symbol: class NaverBookResponse location: package com.library
-
미해결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JSON 역직렬화
강사님과 똑같은 상황인 기본 생성자가 없는 상태인데 저는 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요?
-
미해결개발자라면 알아야 할 redis 기본
레디스에 저장하는 토큰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토큰 관련해서 레디스에 저장하는 게 리프레시 토큰이라고 하셨는데요. 액세스 토큰을 저장 안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리프레시 토큰은 액세스 토큰이 만료될 떄 필요하니까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낮고 매 요청 시에는 액세스 토큰이 쓰이는 걸로 알고 있어서요. 그렇다면 수시로 검증해야 하는 토큰은 액세스 토큰이 아닐까 해서요.감사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B 설계 입문/실전
프론트단에서 고정 저장 / 백엔드에서 조회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야 한가? 아닌가? 구분은 이 정보들이 자주 바뀌는 정보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을 해 놓는다. 프론트단에서 백엔드로 저 데이터를 받아와서 그때 그때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를 시키는 것이 훨씬 좋다? 이렇게 말씀하셨는데 고정일 경우에는 그냥 프론트 코드에서 고정 시켜서 연동하면 된다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고정적이니까 백엔드까지 갈 필요 없이 프론트 코드에서 연동하면 된다는 것도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자주 바뀌면 백엔드에 저장한다? 이 말씀 자체가 이해가 안됩니다. 그러면 백엔드에서 해당 앱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어떻게 연동한다는 것인지 이해가 안가요. Oauth를 통한 연동 이런 것을 말씀하시는 걸까요? 그런데 그러면 고정적일 때도 어짜피 연동은 해야하니까 백엔드에 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요? 데이터를 Db에서 주고 받는데 백엔드에서 처리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제가 백엔드 개발자 신입이여서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B 설계 입문/실전
게시글 작성자 Id(사용자 FK) 숫자가 맞나요?
작성자 Id가 "박재성"이여서 이게 하나라도 바뀌면 같이 바뀌어야하는 데이터 중복이여서 FK로 바꿔야한다는 것은 잘 알겠습니다. 그런데 users 테이블에서 사용자 이름은 없는데 아마 jscode가 박재성을 의미하는 것 같은데 이게 FK로 바꾸었을 때 1번 id 값을 가지니까 1로 바뀌어야하는거 아닌가요?그런데 강사님께서는 1,2로 바꾸셨는데 그러면 똑같은 박재성이라는 사람이 아니게 되는거 아닌가요?users테이블에서도 id가 1번 밖에 없어서.. 혹시 동명이인 그런 건가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B 설계 입문/실전
UI를 보고 저장해야할 데이터인지 파악하는 팁이 있을까요?
UI를 보고 저장해야 하는 데이터인지, 그냥 넘어가도 되는지, 혹은 UI를 봐도 어떤게 DB테이블에 들어가야 하는지 감이 안잡힐때 어떤 기준이나 팁이 있을까요? ㅜㅜ
-
해결됨가장 쉽고 깊게 알려주는 MongoDB 완벽 가이드 [ By. 비전공자 & Kakao 개발자 ]
BSON(Binary JSON)은 효율적이고 더 많은 데이터 타입을 지원한다는 말이 잘 와닿지 않습니다
MongoDB 설명에서 "BSON(Binary JSON)이라 효율적이고 더 많은 데이터 타입을 지원한다" 고 언급하신 부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결국 Redis나 MySQL 같은 RDB도 내부적으로는 데이터를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하지 않나요?모두 바이너리로 저장하는데, 왜 MongoDB만 특별히 "바이너리라서 효율적이고 타입을 많이 지원한다"고 강조하는지 잘 이해가 안 됩니다.
-
미해결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Spring Cloud 버전 관리 문제
자바 21, 스프링 부트 3.4.5로 하는데dependencyManagement { imports { mavenBom "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dependencies:2024.0.1" } }이 부분이 에러가 나는거 같아요Execution failed for task ':dependencies'.> Could not resolve all artifacts for configuration ':detachedConfiguration3'. > Cannot resolve external dependenc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pendencies:3.4.5 because no repositories are defined. Required by: root project :Possible solution: - Declare repository providing the artifact, see the documentation at https://docs.gradle.org/current/userguide/declaring_repositories.html빌드가 안되네요 ㅠㅠ
-
미해결정보처리기능사 필기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강의
선생님~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강의 잘 듣고 있는데요,이 시험 실기 강의는 인프런에는 없나요?선생님 실기강의는 어디서 들을 수 있을까요?
-
미해결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AsyncExcutor 설정값 질문
안녕하십니까 강사님.강의를 잘 듣고있던 중에 질문이 생겨서 드립니다. AsyncExcutor의 설정값을 설정하는 부분에서 서비스 앞단에서 대고객 트래픽을 받을때 maxPoolSize를 무한으로 설정하고, 큐의 크기를 0으로 두어서 빠르게 스레드를 생성하여 요청을 처리한다고 하셨습니다. 또한 그 설정을 한 스레드 풀의 작업들은 대체로 레디스 캐싱된 값을 뿌려주는것과 같이 응답시간이 빠르게 보장된 요청의 경우에 위와같은 설정값을 설정한다고 이해했습니다.실제 실무에서 위와같이 설정해도 무한대까지 스레드가 생기지는 않으니 문제가 없다?고 하신것 같은데 그 이유가 잘 이해가 안되는 것 같습니다. 제 나름대로 추론을 해봤는데요. 우선 redis에 캐싱된 결과를 뿌리는 요청을 예로 들어서 보면, I/O 바운드 작업이므로 스레드가 빠르게 증가하여 요청을 처리하는게 중요하고, 스레드가 증가하더라고 CPU 사용량의 증가가 CPU 바운드 작업처럼 크게 증가하지 않을것이다. 따라서 스파이크 트래픽이 발생해도 서버가 죽거나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것이다.이렇게 생각을 해봤는데 좀 더 정확한 답변을 듣고싶어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Do it! 오라클로 배우는 SQL 입문 - 저자 직강
desc emp_hw 출력 오류
desc emp_hw;를 DBeaver에서 출력하니 에러가 노출되는데요, DBeaver에서 desc emp_hw와 동일한 문을 출력하고 싶을 때는 어떤 문을 써야될까요?
-
해결됨Do it! 오라클로 배우는 SQL 입문 - 저자 직강
desc emp_hw 출력 오류
desc emp_hw를 dbeaver에서 출력하니 에러가 노출되는데요. DBeaver에서 출력하려면 어떤문으로 써야될까요?
-
미해결개발자라면 알아야 할 redis 기본
redis 개발 환경 수정 시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일반적은 DB는 운영되고 있는 것은 개발로 구성할 때 운영에 사용되는 테이블을 백업 받아 개발로 이동시켜 테이블들을 구성합니다. redis도 위와 같은 작업을 해야 되는 건가요?
-
해결됨Do it! 오라클로 배우는 SQL 입문 - 저자 직강
SQL 툴을 다른걸로 써도 될까요?
SQL Developer 말고 DBeaver 사용해도 되나요?
-
해결됨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17강 api서버구현2 질문있습니다.(ai답변이 이상합니다.)
에러상황:Caused by: java.lang.AssertionError: Range for response status value 401 expected:<SUCCESSFUL> but was:<CLIENT_ERROR>at org.springframework.test.util.AssertionErrors.fail(AssertionErrors.java:61)at org.springframework.test.util.AssertionErrors.assertEquals(AssertionErrors.java:128)at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result.StatusResultMatchers.lambda$is2xxSuccessful$3(StatusResultMatchers.java:80)at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MockMvc$1.andExpect(MockMvc.java:214)at com.example.controller.BookControllerItTest.정상인자로 요청시 성공한다.(BookControllerItTest.groovy:43)관련 내용을 검색해 보니 401 에러는 보통 로그인/인증 문제로, SecurityConfig.java 파일 등을 수정하라는 안내를 봤습니다. 다만, 현재 수강 중인 강의에는 로그인 기능이 없는 상황입니다.이 경우, 인증 없이 테스트가 통과되도록 설정을 변경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참고로, 관련 파일은 메일로 함께 전달드렸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Redis
리뷰 이벤트로 수강했던 강의 철회 관련 재요청 될까요?
안녕하세요.예전에 리뷰 이벤트를 신청했었던 사람이니다.당시 구매한 강의 3개(레디스, 스칼라, 그래들)를 수강했던 수강생입니다.당시 리뷰 이벤트로 강의를 제공받은 후, 개인적인 오해와 감정적인 대응으로 인해 영자 측에 해당 강의들 모두 철회 요청을 드렸었습니다. 지금 돌이켜보면 너무 감정적으로 행동했던 것 같고, 다소 어리석은 선택이었음을 느끼고 있습니다.그 후 지식공유자님께도 별도로 사과의 말씀을 전한 적이 있으며, 그때의 제 행동에 대해 진심으로 반성하고 있습니다.이메일 cis940320@gmail.com 으로 신청을 드렸었고, 해당 메일 내역을 통해 당시 리뷰와 신청한 강의 내역도 확인 가능하실 것이라 생각됩니다.혹시 가능하다면, 철회했던 강의들을 다시 수강할 수 있는 기회를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당시에 제가 작성했던 리뷰도 정성스럽게 남겼던 기억이 있어, 다시 한 번 수강할 수 있게 된다면 더욱 성실하게 공부하고 의미 있게 활용하고 싶습니다.번거롭게 해드려 정말 죄송하고, 답변 기다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16강 api서버구현 질문있습니다.
16강 api서버구현 질문있습니다.18분 46초에서 인자를 넣는데 mock이라서 의미가 없다는게 어떤 말씀인지 알 수 있을까요? 목킹은 객체를 만드는데 넣을 인자값이 없어서 의미가 없다는 건가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B 설계 입문/실전
안녕하세요 강사님 문의 사항이 있습니다
재성님 유투브에서 처음 뵙고 현재 ERP 및 백엔드 현업에서 근무중입니다현업에 도움이 될까 해서 강의를 결제해서 들었는데현재 저의 협업 수준에서는 다소 너무나 거리가 있는 강의 입니다....ㅠㅠ기초를 좀 다지고 싶은 마음에 결제해서 약간 수강을 해보았는데너무 낮은 수준의 강의 결제한것 같습니다제 업무 난이도와 비교하여 낮은 수준이지 강의는 입문자들에게 매우 좋다고 생각합니다해서... 동일한 가격대인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으로 교환할수 있는지 문의드리고 싶습니다약간의 강의 수강기록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제가 도움을 받을수있는 부분이 없는 강의라서 ....이렇게 어려운 부탁을 드립니다혹시나 따로 소통에 필요할 경우를 대비해 메일을 첨부합니다guswnd1380@naver.com
-
미해결개발자라면 알아야 할 redis 기본
key값에 대한 작성 컨벤션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드리고 싶은 내용은 key 값은 아래 처럼 리소스 관점에서 계층 방식, 스네이크 케이스로 작성하는게 일반적인 컨벤션인가요? user:email:1 user:email:{id} user:{id}:refresh_token 아래 강의에서 보여주신 user:email:{id} 은 리프레쉬 토큰의 예시랑 좀 다른 패턴인데,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
미해결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14번쨰 부분 중 질문드립니다..<ai답변으로 해도 안되요>
에러: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com.example.feign.NaverClientIntegrationTest':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field 'naverClient':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com.example.feign.NaverClient': FactoryBean threw exception on object creation NaverClientIntegrationTest파일 작동시 위와 같은 에러가 납니다. NaverClientInt 파일에서 컨피규레이션을 넣어도 위와 같은 에러가 나옵니다.제가 강의 자료 와 비교해도 NaverErrorDecoder(강의자료와 다름. 아직 진도 안나감)를 제외하고 나머지 다 똑같거든요.근데 에러가 나는 이유를 몰라서 질문올립니다. <jaytech108@gmail.com>이쪽으로 파일 보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