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2025 벼락치기 합격! 기출문제 집중 정보처리기사 실기
25년 2회 12~16 라운드로빈
대기시간 구할 때대기시간 = 도착시간+실행시간인데만일 P4의 도착시간이 5초라고하면 계산이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P1이 그전에 종료가 되서..이럴 땐 어떻해야할까요
-
미해결2025 벼락치기 합격! 기출문제 집중 정보처리기사 실기
25년 2회 8~11
9분48초에서첫번째 ref.x(2)는 child로 가고ref.id()는 parent로 가는지다시 정확하게 설명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개발자라면 알아야 할 redis 기본
실무에서의 복잡한 쿼리 결과 캐싱 전략(크기, TTL 등) 관련 질문
강사님, 캐싱 관련해서 실무적인 관점의 질문이 있습니다.강의에서 String 타입의 value에 JSON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해서 캐싱 처리를 한다고 배웠는데, 실무에서 어느 범위까지 캐싱하는 게 적절한지 감을 잡고 싶습니다. 과거에 MyBatis의 동적 쿼리처럼 조건부 로직이 포함된 200줄짜리 복잡한 쿼리가 DB에서 파싱되는 시간 자체만으로도 성능 부하를 유발했던 경험이 있습니다.쿼리 자체를 수정하는 것이 베스트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울 때가 있었습니다. 이런 '고치기 힘든 악성 쿼리'의 실행 자체를 회피하는 목적으로 Redis 캐싱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전략에 대해 궁금합니다. 실무에서는 이런 경우:1. 쿼리 결과 데이터가 어느 정도 크기(예: 수십 MB)까지 Redis에 캐싱을 허용하시나요?데이터가 너무 크면 오히려 Redis에 부담이 될 것 같아서요. 2. 만약 결과가 너무 크다면, 페이징 처리된 일부만 캐싱하시나요?아니면 보고서처럼 핵심 요약 데이터만 따로 캐싱하는 전략을 사용하시나요? 3. 특히 이런 복잡한 집계/통계 쿼리는 데이터 변경이 잦지 않은데,이런 경우 TTL은 보통 어느 정도로 설정하시는지 강사님의 경험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롱런하는 슈퍼 개발자가 되기 위한 필수 지식, IT 인프라 기초 총정리
데이터베이스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데이터베이스 쪽 강의 들으면서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크게 RDBMS 와 NoSQL 나뉠 수 있다고 했는데그럼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할 때 기준이 있을까요? 답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개발자라면 알아야 할 redis 기본
레디스 서버 구성
안녕하세요 강사님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범위에서 조금 벗어난 것 같긴 하지만.. 레디스 서버 구성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강의에서는 여러 대의 웹서버에서 레디스 서버 한 대로 요청을 보내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시는데, 레디스 서버는 이중화/다중화를 고려하지 않는 건지 궁금해서요.웹서버가 수십 대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레디스 서버는 보통 한 대로 운영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데이터베이스 완전정복 [설계편]
인덱스 사용 패턴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GROUP BY 사용 패턴3: 필터링 후 그룹화에서 WHERE status = 'paid' GROUP BY status ORDER BY status처럼 동일한 컬럼을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인덱스로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는데요.이 경우 WHERE 절에서 status = 'paid'로 필터링하면, 결과가 모두 동일한 status 값을 가지게 되어 GROUP BY나 ORDER BY를 추가해도 WHERE 절만 사용한 것과 결과가 동일하지 않을까요?궁금한 점:WHERE, GROUP BY, ORDER BY에서 동일한 필드를 사용하는 실제 사용 사례가 있을까요?
-
해결됨실전! 데이터베이스 완전정복 [설계편]
논리적 삭제 적용시 INDEX 생성 전략
안녕하세요 논리적 삭제를 위한 컬럼 적용시 해당 테이블에서 조회할때 조회 조건에 항상 deleted_at 컬럼이 포함될거 같은데요 그러면 INDEX생성에 반영해주는게 좋을까요?
-
미해결정보처리기능사 필기
최근 모의고사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 주세요. 선생님~ 마지막 강의까지 수강을 했는데요강의 말미에 5회분 모의고사 꼭 풀어보라고 말씀주셨는데혹시 어디에 있는지 여쭤봐도 될까요?(아직 챕터별 퀴즈는 안풀어봤는데 그게 모의고사일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B 설계 입문/실전
몽고DB 강의 계획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이렇게 시원시원한 강의는 처음이네요. 다름이 아니고 혹시 몽고DB에 대한 강의 계획은 없으신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현재 엘라스틱 서치는 검색 최적편 이 있는데 그 외에 다른 편은 어떤 걸 기획중이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import 오류?
처음 세팅을 강사님처럼 naver-client 모듈을 생성하고 하지는 않았긴 했는데 이게 이유가 될 수 있나요? external에서 테스트할 때는 동일하게 common 쪽 import 하고 사용했을 때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해서 뭐가 원인인지 모르겠습니다.C:\Users\82108\Desktop\PARK_BH\library-search\search-api\src\main\java\com\library\controller\BookController.java:3: error: cannot find symbolimport com.library.NaverBookResponse; ^ symbol: class NaverBookResponse location: package com.library
-
해결됨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JSON 역직렬화
강사님과 똑같은 상황인 기본 생성자가 없는 상태인데 저는 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요?
-
미해결개발자라면 알아야 할 redis 기본
레디스에 저장하는 토큰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토큰 관련해서 레디스에 저장하는 게 리프레시 토큰이라고 하셨는데요. 액세스 토큰을 저장 안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리프레시 토큰은 액세스 토큰이 만료될 떄 필요하니까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낮고 매 요청 시에는 액세스 토큰이 쓰이는 걸로 알고 있어서요. 그렇다면 수시로 검증해야 하는 토큰은 액세스 토큰이 아닐까 해서요.감사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B 설계 입문/실전
프론트단에서 고정 저장 / 백엔드에서 조회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야 한가? 아닌가? 구분은 이 정보들이 자주 바뀌는 정보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을 해 놓는다. 프론트단에서 백엔드로 저 데이터를 받아와서 그때 그때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를 시키는 것이 훨씬 좋다? 이렇게 말씀하셨는데 고정일 경우에는 그냥 프론트 코드에서 고정 시켜서 연동하면 된다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고정적이니까 백엔드까지 갈 필요 없이 프론트 코드에서 연동하면 된다는 것도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자주 바뀌면 백엔드에 저장한다? 이 말씀 자체가 이해가 안됩니다. 그러면 백엔드에서 해당 앱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어떻게 연동한다는 것인지 이해가 안가요. Oauth를 통한 연동 이런 것을 말씀하시는 걸까요? 그런데 그러면 고정적일 때도 어짜피 연동은 해야하니까 백엔드에 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요? 데이터를 Db에서 주고 받는데 백엔드에서 처리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제가 백엔드 개발자 신입이여서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B 설계 입문/실전
게시글 작성자 Id(사용자 FK) 숫자가 맞나요?
작성자 Id가 "박재성"이여서 이게 하나라도 바뀌면 같이 바뀌어야하는 데이터 중복이여서 FK로 바꿔야한다는 것은 잘 알겠습니다. 그런데 users 테이블에서 사용자 이름은 없는데 아마 jscode가 박재성을 의미하는 것 같은데 이게 FK로 바꾸었을 때 1번 id 값을 가지니까 1로 바뀌어야하는거 아닌가요?그런데 강사님께서는 1,2로 바꾸셨는데 그러면 똑같은 박재성이라는 사람이 아니게 되는거 아닌가요?users테이블에서도 id가 1번 밖에 없어서.. 혹시 동명이인 그런 건가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B 설계 입문/실전
UI를 보고 저장해야할 데이터인지 파악하는 팁이 있을까요?
UI를 보고 저장해야 하는 데이터인지, 그냥 넘어가도 되는지, 혹은 UI를 봐도 어떤게 DB테이블에 들어가야 하는지 감이 안잡힐때 어떤 기준이나 팁이 있을까요? ㅜㅜ
-
해결됨가장 쉽고 깊게 알려주는 MongoDB 완벽 가이드 [ By. 비전공자 & Kakao 개발자 ]
BSON(Binary JSON)은 효율적이고 더 많은 데이터 타입을 지원한다는 말이 잘 와닿지 않습니다
MongoDB 설명에서 "BSON(Binary JSON)이라 효율적이고 더 많은 데이터 타입을 지원한다" 고 언급하신 부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결국 Redis나 MySQL 같은 RDB도 내부적으로는 데이터를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하지 않나요?모두 바이너리로 저장하는데, 왜 MongoDB만 특별히 "바이너리라서 효율적이고 타입을 많이 지원한다"고 강조하는지 잘 이해가 안 됩니다.
-
미해결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Spring Cloud 버전 관리 문제
자바 21, 스프링 부트 3.4.5로 하는데dependencyManagement { imports { mavenBom "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dependencies:2024.0.1" } }이 부분이 에러가 나는거 같아요Execution failed for task ':dependencies'.> Could not resolve all artifacts for configuration ':detachedConfiguration3'. > Cannot resolve external dependenc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pendencies:3.4.5 because no repositories are defined. Required by: root project :Possible solution: - Declare repository providing the artifact, see the documentation at https://docs.gradle.org/current/userguide/declaring_repositories.html빌드가 안되네요 ㅠㅠ
-
미해결정보처리기능사 필기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강의
선생님~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강의 잘 듣고 있는데요,이 시험 실기 강의는 인프런에는 없나요?선생님 실기강의는 어디서 들을 수 있을까요?
-
해결됨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AsyncExcutor 설정값 질문
안녕하십니까 강사님.강의를 잘 듣고있던 중에 질문이 생겨서 드립니다. AsyncExcutor의 설정값을 설정하는 부분에서 서비스 앞단에서 대고객 트래픽을 받을때 maxPoolSize를 무한으로 설정하고, 큐의 크기를 0으로 두어서 빠르게 스레드를 생성하여 요청을 처리한다고 하셨습니다. 또한 그 설정을 한 스레드 풀의 작업들은 대체로 레디스 캐싱된 값을 뿌려주는것과 같이 응답시간이 빠르게 보장된 요청의 경우에 위와같은 설정값을 설정한다고 이해했습니다.실제 실무에서 위와같이 설정해도 무한대까지 스레드가 생기지는 않으니 문제가 없다?고 하신것 같은데 그 이유가 잘 이해가 안되는 것 같습니다. 제 나름대로 추론을 해봤는데요. 우선 redis에 캐싱된 결과를 뿌리는 요청을 예로 들어서 보면, I/O 바운드 작업이므로 스레드가 빠르게 증가하여 요청을 처리하는게 중요하고, 스레드가 증가하더라고 CPU 사용량의 증가가 CPU 바운드 작업처럼 크게 증가하지 않을것이다. 따라서 스파이크 트래픽이 발생해도 서버가 죽거나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것이다.이렇게 생각을 해봤는데 좀 더 정확한 답변을 듣고싶어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Do it! 오라클로 배우는 SQL 입문 - 저자 직강
desc emp_hw 출력 오류
desc emp_hw;를 DBeaver에서 출력하니 에러가 노출되는데요, DBeaver에서 desc emp_hw와 동일한 문을 출력하고 싶을 때는 어떤 문을 써야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