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개발 모드에서 캐시 로깅 사용방법
"4.2) 데이터 캐시" 강의 진행시npm run dev 로 진행시 { cache: "force-cache" } 설정하여도 캐싱이 안되는거 같은데요 npm run buildnpm run start로 진행시에는 캐싱이 동작하고있는걸로 보이나 로깅이 안되는것 같습니다. 강의 영상처럼 캐싱 동작 상태를 로깅을 하려면 어떤 옵션값을 설정 해야하나요 ?제가 놓친거 같아서 돌려보거나 검색을 해봤는데 못찾아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p6spy 로그 두 번 찍히는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덕분에 JPA에 부드럽게 입문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질문드릴 내용은 p6spy에 대한 내용인데 왜 로그가 두번씩 찍히는지 알고싶습니다. p6spy / org.hibernate.SQL 각 로그와 application.yml, build.gradle 캡쳐하여 첨부합니다. 보시면 p6spy의 ddl 로그가 두번씩 찍히는것이 보입니다. DROP도 두 번, CREATE도 두 번 씩 찍힙니다. 하지만 org.hibernate.SQL로 설정을 하고 로그를 찍으면 한 번씩 찍히게 됩니다. 그래서 p6spy는 왜 로그가 두번씩 찍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