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26
0
"4.2) 데이터 캐시" 강의 진행시
npm run dev 로 진행시 { cache: "force-cache" } 설정하여도 캐싱이 안되는거 같은데요
npm run build
npm run start
로 진행시에는 캐싱이 동작하고있는걸로 보이나 로깅이 안되는것 같습니다.
강의 영상처럼 캐싱 동작 상태를 로깅을 하려면 어떤 옵션값을 설정 해야하나요 ?
제가 놓친거 같아서 돌려보거나 검색을 해봤는데 못찾아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이정환입니다.
올려주신 캡쳐 사진에 "no cache (hard refresh)" 라고 나타난 것 처럼, 개발 모드에서는 강력한 새로고침을 수행하셨을 때에는 캐시가 무효화 됩니다. "force-cache"를 적용한 상황이라고 하더라두요
따라서 force-cache의 동작을 확인하시려면 강력한 새로고침이 아닌 일반 새로고침을 이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PS. 프로덕션에서는 강력한 새로고침을 수행하셨을 때에도 캐시가 유지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현수님.
Next.js 개발 모드에서 캐싱 및 로그를 사용하시려는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Next.js에서 캐싱 관련 로깅을 활성화하려면 Next.js의 로깅 설정을 통한 방법과 개발 환경에서 필요한 설정을 정확히 잡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next.config.js
파일에 로깅 설정을 추가하셨는지 확인해 보세요. fetches.fullUrl: true
설정은 fetch 요청의 전체 URL을 로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const nextConfig = {
logging: {
fetches: {
fullUrl: true
}
}
}
module.exports = nextConfig;
개발 모드 확인:
개발 모드에서 cache: "force-cache"
옵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개발 모드의 특성상 캐시 사용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발 환경에서는 캐시보다는 빠른 리로딩과 오류 탐지가 우선시됩니다.
캐시 상태 로깅:
Next.js에서 기본적으로 요청의 캐시 상태와 관련된 로그를 자동으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직접 캐시 로깅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미들웨어 활용: 캐시 로직이나 응답을 직접 처리하고 로깅하는 미들웨어를 구현하여 캐싱이 사용되는 경우 또는 무시된 경우 로그를 출력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콘솔 사용: 데이터를 fetch 할 때 console.log
를 추가하여 어떤 조건에서 캐시가 사용되고 있는지, 또는 무시되는 이유를 수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빌드 모드에서 검증:
npm run build
및 npm run start
로 동작 시 캐시가 제대로 동작하는 것이 확인되었다면, 이는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배포 모드에서는 캐시가 제대로 동작하고 최적화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추가적인 설정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공식 Next.js 문서의 로깅 및 디버깅 부분도 참고하여 더욱 구체적인 로깅 설정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개발자 모드에서 "Disable cache" 옵션을 켜두고 사용하던걸 깜박했서네요 체크해제해서 테스트 완료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