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8-5 책임 분리를 통한 중복 코드 제거 과정에서 특정 조합은 불가능할 때
안녕하세요!AbstractReader로부터 파싱에 대한 책임을 분리하여 Parser라는 클래스를 새로 생성하는 내용 잘 들었습니다!여기서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DatabaseReader, RedisReader, FileReader / CsvParser, JsonParser, XmlParser 구성은 총 9가지의 경우의 수가 나올 수 있을 것 같은데요만약 '(DatabaseReader, XmlParser)는 불가능하고 (DatabaseReader, CsvParser)와 (DatabaseReader, JsonParser)가 가능하고,(RedisReader, XmlParser)와 (RedisReader, CsvParser)는 불가능하고 (RedisReader, JsonParser)만 가능하다' 와 같이 특정 조합이 불가능한 경우는 어떻게 컴파일 타임에 가능한 조합으로만 강제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얄코의 떠먹여주는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파사드 패턴과 템플릿 메서드 패턴의 차이
파사드 패턴은 다수의 서브시스템을 하나로 묶는 패턴으로 이해했습니다. 클라이언트의 클래스의 함수에서 서브시스템에 해당하는 개체들의 함수를 호출하여 구현하는 거 같은데요, 어떻게 보면 템플릿 메서드 패턴과 사실상 똑같은거 아닌가요? 두 패턴의 뚜렷한 차이가 있는데 제가 이해를 잘 못한건지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트레이딩 파트2: Interactive Brokers API를 활용한 실시간 알고리즘 트레이딩
주문 하는것도 강의내용에 잇나요
주문 하는것도 강의내용에 잇나요
-
해결됨프론트엔드 마스터클래스
Variable Object 질문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실행 컨텍스트 부분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강의에서 Variable Object를 설명해주셨는데, 제가 개인적으로 찾아본 자료들에서는 ES2015부터 실행 컨텍스트가 Lexical Environment, Variable Environment, this binding으로 구성된다고 나와 있더라고요.Variable Object는 그 이전 스펙에서 사용되던 용어인 것 같은데, 혹시 강의에서 이 개념을 선택해서 설명하신 특별한 교육적 의도가 있으셨을까요?제가 아직 깊이 이해하지 못해서 그런데, 두 방식 중 어떤 것이 JavaScript 동작 원리를 학습하는 데 더 도움이 되는지, 또는 어떤 차이점들이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2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18 유저 데이터 온라인DB 로드 및 저장 PT4의 UserInventoryData 클래스에 대하여
private void ConvertFirestoreDictToData(Dictionary<string, object> dict) { EquippedWeapon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Dictionary<string, object>)dict["EquippedWeaponData"]); EquippedShield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Dictionary<string, object>)dict["EquippedShieldData"]); EquippedChestArmour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Dictionary<string, object>)dict["EquippedChestArmourData"]); EquippedBoots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Dictionary<string, object>)dict["EquippedBootsData"]); EquippedGloves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Dictionary<string, object>)dict["EquippedGlovesData"]); EquippedAccessory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Dictionary<string, object>)dict["EquippedAccessoryData"]); InventoryItemDataList = ConvertDictToInventoryList((List<object>)dict["InventoryItemDataList"]); if(dict.TryGetValue("EquippedWeaponData", out var equippedWeaponDataValue) && equippedWeaponDataValue is Dictionary<string, object> equippedWeaponDataDict) EquippedWeapon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equippedWeaponDataDict); if (dict.TryGetValue("EquippedShieldData", out var equippedShieldDataValue) && equippedShieldDataValue is Dictionary<string, object> equippedShieldDataDict) EquippedShield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equippedShieldDataDict); if (dict.TryGetValue("EquippedChestArmourData", out var equippedChestArmorDataValue) && equippedChestArmorDataValue is Dictionary<string, object> equippedChestArmorDataDict) EquippedChestArmour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equippedChestArmorDataDict); if (dict.TryGetValue("EquippedBootsData", out var equippedBootsDataValue) && equippedBootsDataValue is Dictionary<string, object> equippedBootsDataDict) EquippedBoots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equippedBootsDataDict); if (dict.TryGetValue("EquippedGlovesData", out var equippedGlovesDataValue) && equippedGlovesDataValue is Dictionary<string, object> equippedGlovesDataDict) EquippedGloves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equippedGlovesDataDict); if (dict.TryGetValue("EquippedAccessoryData", out var equippedAccessoryDataValue) && equippedAccessoryDataValue is Dictionary<string, object> equippedAccessoryDataDict) EquippedAccessory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equippedAccessoryDataDict); if (dict.TryGetValue("InventoryItemDataList", out var inventoryItemDataListValue) && inventoryItemDataListValue is List<object> inventoryItemDataList) InventoryItemDataList = ConvertDictToInventoryList(inventoryItemDataList); }위와 같이 수정하셨는데, trygetvalue로 체크하는것으로 바꾸었으니 아래와 같은 부분을 지워주는게 맞지 않나요? 안그러면 중복 처리 되는게 아닌가요? EquippedWeapon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Dictionary<string, object>)dict["EquippedWeaponData"]); EquippedShield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Dictionary<string, object>)dict["EquippedShieldData"]); EquippedChestArmour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Dictionary<string, object>)dict["EquippedChestArmourData"]); EquippedBoots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Dictionary<string, object>)dict["EquippedBootsData"]); EquippedGloves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Dictionary<string, object>)dict["EquippedGlovesData"]); EquippedAccessoryData = ConvertDictToUserItemData((Dictionary<string, object>)dict["EquippedAccessoryData"]); InventoryItemDataList = ConvertDictToInventoryList((List<object>)dict["InventoryItemDataList"]);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인터페이스랑 구현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너무 기초를 질문하는 것 같아 죄송하지만 따로 물어볼 곳이 없어서 여기에 질문 남깁니다. 멤버 서비스와 멤버 레포지토리를 따로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서 구현체를 만들었는데 둘 다 회원가입과 회원조회의 역할인 것 같은데 굳이 2개로 나누어서 2단계로 거쳐서 가는 이유가 있을까요?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간접 참조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강의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실무에서 직접참조보다 간접참조를 선호하고 있는데요.간접참조의 경우에는 어떻게 구현해야 객체지향적일 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서 Screening 객체가 Movie 객체를 간접 참조로 MovieId만 가지고 있는 경우서비스 레이어에서 DAO를 통해 Movie 객체를 조회한 후 reservce() 메시지에 같이 넘겨야 할까요?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16번 강의에서 ShowUI 함수부분 오타가 있는거 같습니다.
public virtual void ShowUI() { if (!m_UIOpenAnim) { m_UIOpenAnim.Play(); } m_OnShow?.Invoke(); m_OnShow = null; }위 함수에서 선생님 말씀으로는 m_UIOpenAnim이 있다면 플레이라고 하시는데 적는 코드는 위 처럼 m_UIOpenAnim가 널일 때 플레이라고 적혀있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중급2편 56강의 bucket.add(value); 메서드가 이해가 안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 중급 2편의 56강 9분19초에서 size++; 윗 줄의 bucket.add(value); 라는 코드는 자바 라이브러리에 있는 코드인가요? 아니면영한님께서 작성한 코드인건가요?강의에서 사용한 코드를 보면 배열의 값을 대입시키는 코드는 안보이는데 마지막에 있는 add()메서드가 값을 저장하게 된다고 말씀하셨는데 앞선 강의에서는 해당인덱스게 정수 값을 대입시키는 것 밖에 나와있지 않아서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File,Files 강의 2번쨰 Files 07:30 에 tmep 파일들을 다 지운건가요 ?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7분 30초 즘에 편집 되고 temp 파일 쪽이 다 지워진거같은데 강의 처럼 지우고 따라가야하는지 궁금합니다. 흐름상 delete 부분에서 isRegularfile 이 false 가 나와서 원인을 찾는 과정에서 삭제된거같은데 굳이 삭제를 안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인스턴스 증가에 대한 우려
안녕하세요!'오브젝트' 책으로 공부했었는데, 강의가 있다는 걸 최근에 알게 되어 강의까지 잘 보고 있습니다!몇 가지 궁금한 게 있어서 문의드립니다!5-1에서 소개해주신 Schedule과 ScheduleJson를 보았는데요제가 이전에 ScheduleJson과 비슷한 형식으로, schedule과 objectMapper를 인스턴스 변수로 가지고 json 결과를 응답하는 클래스를 만들었습니다하지만, 코드 리뷰에서 시니어 분이 objectMapper만 가지고, schedule은 파라미터로 받는 싱글톤(bean 또는 kotlin의 object)으로 만들면 되지 않느냐고 하시더라구요굳이 매번 인스턴스를 생성할 필요가 있냐고 하면서, 바꾸라는 식의 어조로 남기셨습니다결국에는 싱글톤 형태의 bean으로 바꾸게 되었습니다함수형으로 만드시길 바라시는 것 같기도 한데, 매번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한다는 것이 메모리 관련하여 크게 부담이 되는 행동인 것일까요?싱글톤(bean)으로 만드는 것이 더 나은 방향일까요?코드 리뷰 때로 다시 돌아간다면, ScheduleJson처럼 작성하는 방향으로 어떻게 설득시킬 수 있을까요?그리고 다른 얘기일 수도 있긴 한데, 단순한 내용을 처리하는 클래스를 만들 때 인스턴스 변수로 넣어야 할지, 파라미터로 넣어야 할지 고민이 되더라구요예를 들어, '요일별 메뉴가 제공된다' 라는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한다면,다음은 요일에 해당하는 dayOfWeek를 파라미터로 작성하는 방법입니다public class WeeklyMenu { public String getMenu(DayOfWeek dayOfWeek) { return switch (dayOfWeek) { case MONDAY -> "짜장면"; case TUESDAY -> "짬뽕"; case WEDNESDAY -> "제육덮밥"; case THURSDAY -> "볶음밥"; case FRIDAY -> "간짜장"; case SATURDAY -> "미니탕수육"; case SUNDAY -> "잡채밥"; }; } } 다음은 dayOfWeek를 인스턴스 변수로 작성하는 방법입니다public class WeeklyMenu { private final DayOfWeek dayOfWeek; public WeeklyMenu(DayOfWeek dayOfWeek) { this.dayOfWeek = dayOfWeek; } public String getMenu() { return switch (this.dayOfWeek) { case MONDAY -> "짜장면"; case TUESDAY -> "짬뽕"; case WEDNESDAY -> "제육덮밥"; case THURSDAY -> "볶음밥"; case FRIDAY -> "간짜장"; case SATURDAY -> "미니탕수육"; case SUNDAY -> "잡채밥"; }; } } 선호의 차이일지, 어떠한 원칙이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섹션 14. 115번 강의 내용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십니까 선생님, 115번 강의 내용 중 질문이 있습니다.각각 작업의 크기를 1100, 1200, 1201번 경우로 나눠서 테스트를 하였는데 작업 처리 속도가 더 빨라서 max 스레드 개수까지 안 늘어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즉, 작업 처리 속도가 빨라서 큐에 적재되는 작업이 줄어들어 큐에 담긴 작업이 1000개 되지 않아 스레드 긴급 투입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지 않은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교안에 있는 7페이지 데이터 영역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교안에 있는 7페이지에 운영체제와 프로세스, 스레드 그림에서 공유되는 부분에 코드, 힙, 기타가 있는데 데이터 영역도 공유되는게 맞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예외 테스트시에는 JUnit의 메서드를 사용한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맥락]영상: 06:35 ~pdf: 4.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pdf - p.7 제일 윗부분 - void findBeanByNameX()[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이전에 isEqualTo()와 isInstanceOf() 에서는 AssertJ 메서드를 사용하셨는데요.예외 테스트시에는 JUnit5의 메서드를 사용하시더라고요.AssertJ에도 assertThatThrownBy() 등의 예외 검증 메서드가 있는데, 왜 예외 테스트시에만 JUnit5를 사용하셨는지 궁금합니다! (둘 중 하나만 사용한다면 취향차이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둘을 병행해서 사용하는 경우 assert를 위한 라이브러리가 두 종류로 나뉘게 되어 혼란스러울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외 검증시에는 JUnit5의 메서드가 좋다'는 이유 등으로 선택된 것인지 궁금합니다.)대부분의 검증의 경우에는 AssertJ의 메서드가 더 직관적이지만, 예외 검증의 경우에는 JUnit5가 더 직관적이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성능적으로 더 우수한 측면이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well-known/appspecific/com.chrome.devtools.json 에러에 대해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안녕하세요. 영한님,수업을 듣다가 F12 개발자 도구를 켜놓고 실행하고 있었는데 콘솔 창에 아래와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개발자 도구를 끄면 안 뜨더라구요. 만약 현업에서 사용한다면 이걸 따로 처리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public class WellKnownServlet implements HttpServlet 이런식으로요.------------------------------------------was.httpserver.PageNotFoundException: request url= /.well-known/appspecific/com.chrome.devtools.jsonat was.httpserver.ServletManager.execute(ServletManager.java:41)at was.httpserver.HttpRequestHandler.process(HttpRequestHandler.java:39)at was.httpserver.HttpRequestHandler.run(HttpRequestHandler.java:24)at java.base/java.util.concurrent.Executors$RunnableAdapter.call(Executors.java:572)at java.base/java.util.concurrent.FutureTask.run(FutureTask.java:317)at java.base/java.util.concurrent.ThreadPoolExecutor.runWorker(ThreadPoolExecutor.java:1144)at java.base/java.util.concurrent.ThreadPoolExecutor$Worker.run(ThreadPoolExecutor.java:642)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1583)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테스트 코드 beforeEach() 메서드만 public 접근 제어자를 선언한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아래에 상황 - 의문 - 추측 - 결론 순으로 질문드리겠습니다! 상황:이번 시간에 AppConfig를 사용하도록 수정한 OrderServiceTest와 MemberServiceTest 코드에서 새롭게 다음 메서드를 만들었습니다.@BeforeEach public void beforeEach() { // ... } 의문1:그런데 이전에 만들었던 다른 메서드들의 경우 package-private로 접근을 제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왜 두 경우에 다른 접근 제어자가 사용되었는지 의문이 들었습니다.@Test void createOrder() { // ... } 추측1:스택오버플로우 1을 보니 과거에는 리플렉션 기술을 통해 테스트 메서드를 식별해야 했기 때문에 public으로 열어두는 것이 필요했다.또한 이에 대한 JUnit5 탑 컨트리뷰터 Sam Brannen의 답변에서는 "less is more라는 원칙에 따라 더이상 public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JUnit5부터는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더군요. JUnit5 공식 문서에서도 "public 접근 제어자로 선언될 필요는 없다. 다만, private이면 안 된다."는 안내를 확인했습니다(아래 사진 참고). 결과적으로,위 내용들을 근거로 "과거 관례로 인해 영한님이 public을 사용하셨겠구나."라는 추측을 했습니다. 결론:결국 'JUnit5 이후부터는 테스트 메서드에 대해 public을 붙이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붙여도 문제는 없다).'는 것인데, (물론 개발팀 컨벤션에 따라 다르겠지만) 현업에서는 다음 두 경우 중 어떤 방식이 채택되는 경우가 더 빈번한지 여쭤봅니다!과거 관례에 이어 public을 여전히 작성한다.이제 public을 안 붙여도 되고, 이 방식을 JUnit5에서도 권장하기 때문에 더 이상 붙이지 않는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문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군대에서 김영한 강사님의 강의를 듣고 있는 병사입니다. 강의를 듣는 것이 쉬운 환경은 아니지만 열심히 듣고자 하여 조금씩 노력하고 있습니다. 처음으로 코딩 강의를 듣는 것인데 책으로 배우는 것과 정말 많은 장점이 있는 것을 알았고 재미도 있어 잘 듣고 있다는 말씀 드리고 싶었습니다. 다만, 해당 강의와 스프링 기본편 강의를 저번에 이벤트로 3개월동안 무료로 들을 수 있게 해주셨는데 제 노력이 부족해서 기간 안에 다 듣지 못했습니다.괜찮으시다면 해당 기간을 연장해주실 수 있으실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정말 배우고 싶은 의지가 있습니다. 관련하여 강사님의 의견 들어보고 싶습니다.기간이 지나면 답변글을 확인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메일 남겨두겠습니다.scentofsharon@naver.com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utowired 필드명 매칭으로 조회 대상 빈을 확정하는 부분 실습하는데 오류가 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 영상 2:17 쯤 부분입니다.OrderServiceImpl 의 파라미터 명을 rateDiscountPolicy로 바꾸었습니다. 그리고 basicScan() 테스트 코드 하나만 돌렸음에도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fixDiscountPolicy,rateDiscountPolicy 오류가 납니다. 강의 영상에서도 분명 저 부분 하나만 바꿨고 똑같이 basicScan() 테스트 코드 하나만 돌려서 오류 없이 성공했는데 왜 제가 똑같이 시도했을 때 오류가 나는지 이유를 찾을 수없어 질문 드립니다. 이전에도 비슷한 질문이 있어 살펴보았으나 이 상황에 해결책이 되지 않았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왜 강의를 똑같이 따라했음에도 왜 '필드명 매칭' 이 되지 않는지, 그리고 '필드명 매칭으로 테스트를 성공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즉 해결책 입니다. 아래는 제 코드 입니다.@Component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rate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rateDiscountPolicy; } @Override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Name, int itemPric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int discountPrice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itemPrice); return new Order(memberId, itemName, itemPrice, discountPrice); } // 테스트 용도 public MemberRepository getMemberRepository() { return memberRepository; } }@Test void basicScan()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utoAppConfig.class);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c.getBean(MemberService.class); assertThat(memberService).isInstanceOf(MemberService.class); OrderServiceImpl bean = ac.getBean(OrderServiceImpl.class);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bean.getMemberRepository(); System.out.println("memberRepository = " + memberRepository); }그리고 오류 메시지 입니다.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orderServiceImpl' defined in file [C:\Users\user\Documents\인프런 강의 플젝\core\core\out\production\classes\hello\core\order\OrderServiceImpl.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1: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fixDiscountPolicy,rateDiscountPolicy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createArgumentArray(ConstructorResolver.java:80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autowireConstructor(ConstructorResolver.java:240)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autowireConstructor(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39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Instance(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23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69)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29)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39)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37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37)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20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instantiateSingleton(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22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preInstantiateSingleton(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18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preInstantiateSingletons(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123)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87)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627) a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init>(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java:93) at hello.core.scan.AutoAppConfigTest.basicScan(AutoAppConfigTest.java:16)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fixDiscountPolicy,rateDiscountPolicy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config.DependencyDescriptor.resolveNotUnique(DependencyDescriptor.java:21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do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72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62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resolveAutowiredArgument(ConstructorResolver.java:91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createArgumentArray(ConstructorResolver.java:791) ... 19 more
-
미해결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2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19 유저 플레이 로그 수집 추가후, 앱 크러쉬에 대해
firebase auth와 firebase firestore를 통한 부분까지 잘 진행 되었다가 analytics관련 수업 진행 이후 타이틀 씬에서 로그인 UI에서 로그인버튼 터치 이후 바로 앱이 크러쉬되면서 꺼져서 logcat을 통해 에러를 확인했는데 해결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어떤 방식이나 흐름을 통해서 해결해야할지 알 수 있을까요?유니티 버전: 6000.0.41f1firebase sdk와 google-sign-in sdk 모두 수업에서 알려주신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설치 하였고, 이후 질문글의 구글 로그인 sdk 오류와 같은 현상이 생겨서 해당 질문글의 답변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하였습니다. 위 첨부한 그림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데 어디서 부터 해결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Socket 자원을 정리할때 stream 을 정리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Java 의 Socket::close() 내부에서 InputStream, OutputStream 을 정리해주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Java 에서 제공하는 Socket::close() 내부에서 Stream 들을 정리해주면 강의 코드가 훨씬 간단해질것 같아 문의 드립니다.아니면, 원래 정리를 해주는데 강의에서 복잡한 상황을 보여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Socket 과 InputStream, OutputStream 을 함께 명시적으로 정리해주는 것인가요? ServerSocket 의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SessionManager 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더 나은 ServerSocket 클래스가 있는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