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GPIO 제어의 방식 이해
안녕하세요 이제 막 강의를 듣기 시작해서 세션 7까지 수강을 마쳤습니다. 제가 임베디드 분야에 무지한 상태로 임베디드 리눅스를 사용하는 회사에 취업을 몇가지 업무를 진행하였는데,그 때 GPIO를 제어하기 위해선 해당 pin에 맞는 file 내부에 작성된 값을 제어했습니다. 이 부분과 차이가 있는듯 하여 궁금한점이 있느데임베디드 리눅스의 경우에는 운영체제가 존재하고, 지금 강의에서 진행하는 과정의 경우 운영체제가 없기 때문에 진행방식의 차이가 있는건가요?mcu를 사용해서 gpio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결국 해당 레지스터의 bit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진행이 되는건가요?이렇게 두가지 내용에 대해서 우선 궁금증이 생겨 문의 드립니다. 답변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미해결[PL 0301] 파이썬 가상환경과 아나콘다
파이참은 유료 프로그램이 맞나요?
갑자기 파이참이 나와서 당황스러운데파이참이란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월가 구독을 해야 교육을 따라갈 수 있는것 맞죠?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검정 방법의 조건??
어쩔때 적합도 검정을 해야하는지 어쩔때 독립성 검정을 해야하는지 헷갈리네요 ㅠ혹시 구분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BigQuery(SQL) 활용편(퍼널 분석, 리텐션 분석)
[인프런 빅쿼리 빠짝스터디 3주차] 리텐션 연습문제
1)WeeklyRetention을구하는쿼리를바닥부터스스로작성해보세요WITH event_log_base AS ( SELECT DISTINCT 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time, DATE(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 DATE_TRUNC(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WEEK(MONDAY)) AS event_week, DATE_TRUNC(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MONTH) AS event_month, user_id, user_pseudo_id, event_name, platform, event_params FROM advanced.app_logs ), user_first_visit AS ( SELECT user_pseudo_id, MIN(event_week) OVER (PARTITION BY user_pseudo_id) AS first_visit_week, event_week FROM event_log_base ), weekly_retention_base AS ( SELECT first_visit_week, DATE_DIFF(event_week, first_visit_week, WEEK) AS week_diff, COUNT(DISTINCT user_pseudo_id) AS active_users FROM user_first_visit GROUP BY first_visit_week, week_diff ) SELECT first_visit_week, week_diff, active_users, SAFE_DIVIDE(active_users, FIRST_VALUE(active_users) OVER (PARTITION BY first_visit_week ORDER BY week_diff ASC)) AS retention_rate FROM weekly_retention_base ORDER BY first_visit_week, week_diff; 2)RetainUser를New+Current+Resurrected+DormantUser로나누는쿼리를 작성해보세요.신규 사용자: 첫 방문 후 30일 이내에 활동한 사용자. 첫 방문 날짜와 마지막 방문 날짜 간의 차이가 30일 이하일 경우 현재 사용자: 첫 방문 후 30일이 지난 사용자 중, 최근 30일 이내에 접속한 사용자. 첫 방문과 마지막 방문 간 차이가 30일을 넘고, 가장 최근 활동으로부터 30일 이내에 접속한 경우 휴면 사용자: 마지막 방문 이후 30일 이상 비활동 상태에 있는 사용자. 마지막 방문이 가장 최근 이벤트로부터 30일 이상 경과한 경우 복귀 사용자: 30일 이상 비활동 상태였다가 다시 활동을 시작한 사용자. 이전 방문 이후 30일 동안 비활동이 이어지다 다시 방문한 경우 WITH event_data AS ( SELECT DISTINCT DATE(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 user_pseudo_id FROM advanced.app_logs ), -- 사용자별 첫 방문 및 마지막 방문 날짜 계산 user_first_last_visit AS ( SELECT user_pseudo_id, MIN(event_date) AS first_visit_date, MAX(event_date) AS last_visit_date FROM event_data GROUP BY user_pseudo_id ), -- 전체 이벤트 데이터에서 가장 최근의 이벤트 날짜를 계산 latest_event_date AS ( SELECT MAX(event_date) AS current_date FROM event_data ), -- 사용자의 이벤트 로그를 통해 비활동 기간을 기록하여 휴면 여부 판단 user_activity AS ( SELECT user_pseudo_id, event_date, LEAD(event_date) OVER (PARTITION BY user_pseudo_id ORDER BY event_date) AS next_event_date, CASE WHEN DATE_DIFF(LEAD(event_date) OVER (PARTITION BY user_pseudo_id ORDER BY event_date), event_date, DAY) > 30 THEN 1 ELSE 0 END AS dormant_history FROM event_data ), -- 사용자 유형 분류: 신규, 현재, 휴면, 복귀 사용자 user_category AS ( SELECT u.user_pseudo_id, u.first_visit_date, u.last_visit_date, led.current_date, MAX(ua.dormant_history) AS dormant_history, CASE WHEN DATE_DIFF(led.current_date, u.last_visit_date, DAY) > 30 THEN 'inactive_user' WHEN DATE_DIFF(u.last_visit_date, u.first_visit_date, DAY) <= 30 THEN 'first_month_user' WHEN MAX(ua.dormant_history) = 1 THEN 'returning_user' ELSE 'active_user' END AS user_type FROM user_first_last_visit AS u CROSS JOIN latest_event_date AS led LEFT JOIN user_activity AS ua ON u.user_pseudo_id = ua.user_pseudo_id GROUP BY u.user_pseudo_id, u.first_visit_date, u.last_visit_date, led.current_date ), -- 사용자 유형별 첫 방문 주차와 현재 주차 간 차이 계산 user_weekly_retention AS ( SELECT uc.user_type, ed.user_pseudo_id, ed.event_date, DATE_DIFF(DATE_TRUNC(ed.event_date, WEEK(MONDAY)), DATE_TRUNC(uc.first_visit_date, WEEK(MONDAY)), WEEK) AS week_difference FROM event_data AS ed JOIN user_category AS uc ON ed.user_pseudo_id = uc.user_pseudo_id ), -- 사용자 유형과 주차별 활성 사용자 수 집계 user_count_by_type_and_week AS ( SELECT user_type, week_difference, COUNT(DISTINCT user_pseudo_id) AS user_count FROM user_weekly_retention GROUP BY user_type, week_difference ), -- 유지율 계산을 위한 초기 사용자 수와 현재 주차별 유지율 계산 retention_calculation AS ( SELECT user_type, week_difference, user_count, FIRST_VALUE(user_count) OVER (PARTITION BY user_type ORDER BY week_difference) AS initial_user_count FROM user_count_by_type_and_week ) SELECT user_type, week_difference, ROUND(SAFE_DIVIDE(user_count, initial_user_count), 2) AS retention_rate FROM retention_calculation ORDER BY user_type, week_difference; 3)주어진데이터에서어떤사람들이리텐션이그나마높을까요?찾아보세요2번을 참고해서 고객을 4개의 타입으로 분류하였을 때first_month_user: 첫 주 이후 리텐션이 높지만 이후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다. active_user: first_month_user와 비슷하게 첫 주 이후 빠르게 감소한다. returning_user: 2주부터 0.08로 떨어지지만 이후 완만하게 리텐션이 감소한다.오랜기간 10주차 이후에도 일부 사용자가 유지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inactive_user: 리텐션이 다른 유저에 비해 높다고는 할 수 없지만 20주차까지 꾸준하게 소수의사용자가 유지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 따라서 returning_use이 가장 완만하게 리텐션이 감소, 가장 오랫동안 리텐션이 지속했기때문에 가장 높은 리텐션을 유지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4)CoreEvent를“click_payment”라고설정하고WeeklyRetention을구해주세요WITH event_data AS ( SELECT DISTINCT user_pseudo_id, DATE(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 DATE_TRUNC(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WEEK(MONDAY)) AS event_week, event_name FROM advanced.app_logs WHERE event_name = 'click_payment' -- Core event 필터링 ), -- 사용자별 첫 방문 주차와 현재 이벤트 주차 간의 차이 계산 user_first_week_data AS ( SELECT user_pseudo_id, MIN(event_week) OVER (PARTITION BY user_pseudo_id) AS first_visit_week, event_week AS current_week, DATE_DIFF(event_week, MIN(event_week) OVER (PARTITION BY user_pseudo_id), WEEK) AS week_difference FROM event_data ), -- 주차별 사용자 수 집계 user_count_by_week AS ( SELECT first_visit_week, week_difference, COUNT(DISTINCT user_pseudo_id) AS user_count FROM user_first_week_data GROUP BY first_visit_week, week_difference ORDER BY first_visit_week, week_difference ), -- 유지율 계산을 위한 초기 사용자 수와 주차별 유지율 계산 retention_base AS ( SELECT first_visit_week, week_difference, user_count, FIRST_VALUE(user_count) OVER (PARTITION BY first_visit_week ORDER BY week_difference) AS initial_user_count FROM user_count_by_week ) -- 최종 리텐션 비율 계산 및 결과 출력 SELECT first_visit_week, week_difference, ROUND(SAFE_DIVIDE(user_count, initial_user_count), 2) AS retention_rate FROM retention_base ORDER BY first_visit_week, week_difference;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restful , MVC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MVC 패턴에 대해서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 제가 프로젝트를 했을 때는 주로 프론트와 백엔드 코드를 분리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하였습니다. 이때는 지금 강의에서 하는 방식(MVC)과 다르게 RESTful 방식으로 진행을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당연하게도, Model과 View는 프론트에서 관리를 하고, 들어오는 요청을 받는 Controller와 로직을 처리하는 Service,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로직을 처리하는Repository이 3가지로 패키지가 관리되고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RESTful하게 개발하는 방식에는 과연 MVC 패턴이 적용되지 않는 것인가 ? 하는 궁금증이 생겨서 조사를 해보았어요 ! https://okky.kr/questions/1414743 여기서 제가 이해한 것을 짧게 정리를 해보자면,RESTful한 방식과 MVC는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지금 강의에서 하는 방식의 model과 view는 물리적으로 화면에 나오기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고, RESTful한 방식에서 VIEW는 JSON 데이터를 반환하는 것을 논리적인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다시 위의 글에 적용을 해보자면Service, Repository 부분이 model,다시 값을 Controller부터 return(JSON 값)하는 것이 View라고 이해하면 맞을까요..?개념적으로service: ModelJSON반환타입: Viewcontroller: Controller 이렇게 딱 맞게 정의한다면... repository는 어디에 해당하는 것일까요..?혼란스럽습니다 ㅠㅠ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강의자료 다운
강의자료는 따로 다운로드 받을 순 없나요?
-
미해결
파이썬 숫자인식 프로그램 오류ㅠ
import osimport numpy as npimport tensorflow as tffrom PIL import Imagemodel = tf.keras.models.load_model('mnist_model.h5')image_folder = "images"image_files = [f for f in os.listdir(image_folder) if f.endswith(('.png', '.jpg', '.jpeg'))]def predict_number(image_path):img = Image.open(image_path).convert('L')img = img.resize((28,28))img_data = np.array(img)img_data = 255 - img_dataimg_data = img_data / 255.0img_data = np.expand_dims(img_data, axis=0)img_data = np.expand_dims(img_data, axis=-1) predictions = model.predict(img_data)return np.argmax(predictions)for image_file in image_files:image_path = os.path.join(image_folder, image_file)predicted_number = predict_number(image_path)print(f"{image_file} : {predicted_number}")input("엔터 키를 눌러 종료하세요") 코드는 이렇고요mnist 파일은 https://github.com/adhishthite/digit-recognizer/tree/master 여기서 다운 받았습니다.근데 FileNotFoundError: [Errno 2] Unable to synchronously open file (unable to open file: name = 'mnist_model.h5', errno = 2, error message = 'No such file or directory', flags = 0, o_flags = 0)이런 오류가 뜹니다. 어떻게 해결하나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TreeSet활용
TreeSet이 중복되지 않는 것을 사용해서 풀어봤는데 설명해주신 내용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코드입니다. public static String solution(int a, int[] arr){ String answer = "D"; TreeSet<Integer> set = new TreeSet<>(); for(int x : arr){ set.add(x); } if (set.size() == a){ answer = "U"; } return answer; }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스마트포인터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교수님. 스마트포인터로 파일읽기를 한 후, close()를 통해 파일을 닫는데 스마트 포인터를 통해서는 자동으로 파일을 닫는 행위는 할 수 없는건지가 궁금해서 질문남깁니다. (포인터 할당 종료만 가능한건지) 감사합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대시보드 접속 URL이 이게 맞나요?
자료에 있는 아래 링크로 접속 후 SKIP 했는데 위와같이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는다고 나오네요 강의를 보니 아래 URL 말고 다른게 있는거같은데 혹시 어떻게 접속해야하나요 https://192.168.56.30:30000/#/login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boost asio 강의
안녕하세요 루키스님혹시 작년에 진행했던 javawork 님의 boost asio 강의는인프런에 판매하실 생각은 없으신 건가요??
-
미해결
버셀 배포시 에러
백엔드서버는 배포완료하였고 api주소도 변경하였는데 /book/에서 계속에러가나네요
-
미해결
문제집?
교재? 문제집을 따로 받을 수 있는건가요?메일로 받을 수있다고 적혀있는데 보내주시는거면 부탁드리고 구매면 링크좀 알려주시겠어요
-
해결됨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제가 바보인건지 증감연산자를 몰루겠숩니다
https://inf.run/rkL2D20강 증감연산자 마지막에 "다음과 같이 증감 연산자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연산이 없기 떄문에, 본인의 값만 증가한다. 따라서 전위이든 후위이든 둘 다 결과가 같다" 하면서++a;a++;의 코드를 보여주셨는데++a; 는 a=3인데 a++;은 a=4가 나왔습니다분명 둘 다 결과가 같다고 했는데 우째서 ++a;랑 a++; 코드 결과값이 다른건지 모르겠습니다 바보가 된 것 같숩니다 알려주세요
-
해결됨Part2: 초중급 iOS 인스타그램 클론(SwiftUI, MVVM, Firebase, 2024)
15강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SDK 설치시 FirebaseFirestoreSwift 체크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ios18 버전부터 없어진걸까요?Firebase Storage 빌드를 하려면 프로젝트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결제요금제로 업그레이드 하라고 나오는데 결제를 진행해야 하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문제 6번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이상치 제거를df = df[(df['age'] == df['age'].astype(int) ) & df['age'] >0]이렇게 하면 틀린건가요?round쓰는게 이해가 안가네요
-
해결됨코틀린 코루틴 완전 정복
실무에서 runBlocking 와 CoroutineScope 실무 사용에 대해
실무에서 코루틴을 사용해야할 때runBlocking 으로 코루틴 영역을 생성해야 할지 CoroutineScope로 생성해야 할지 또 어떻게 코루틴을 활용해야할지 감이 살짝 오시 않습니다.물론 호출부의 스레드를 블럭킹해야 한다면 runBlocking 일 것 같지만 보통 이렇게 사용한다라는 지향점이 궁금합니다. 실무에서 사용하기 위해 추천할만한 깃헙 레파지토리나 베스트프랙티스가 있을까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질문을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습니다.-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
vscode 관련 오류 한 번만 도와주세요 ㅠㅠ
맥에서 터미널 사용중이고 vscode에서 모듈 설치해서 여러가지 해보려고했는데 모듈에서부터 막혔습니다 ㅠㅠ아래는 제가 혼자 해결하려고 시도한 것들입니다vscode에서 가상환경 다시 설정하고 파이썬 버전 확인을 완료했습니다homebrew와 pip업데이트하고 pygame 정상 설치까지 확인했습니다혹시몰라서 뒤에 --pre도 넣어봤지만 그대로였습니다계속 이결과만 나옵니다 ㅠㅠ 도움 부탁드립니다 ㅠㅠ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7-c 코드 질문이 있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큰돌님 다름이 아니라 해당문제를 잘 못 풀겠어서 큰돌님 풀이를 봤는데요저는 맨처음에 문제를 풀때 좌표를 벗어나는지와 구멍인지를 for문 안에서 체크했는데요for(int i = 0; i < 4; i++){ // 해당 좌표만큼 이동한다 int ny = y + dy[i] * value; int nx = x + dx[i] * value; if(!in(y, x) || b[y][x] == 'H') continue; ret= max(ret, down(ny, nx) + 1); }이렇게 제출하니까 틀렸다고 떴습니다. 왜 for문 안에 넣으면 안되는 걸까요?아래는 제출한 전체 코드입니다.#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t,a,d[54][54]; string s; char b[54][54]; bool check[54][54]; const int dy[4] = {-1, 0, 1, 0}; const int dx[4] = {0, 1, 0, -1}; // 좌표 내에 포함하는 지 체크한다 bool in(int aa,int bb){ return(1<=aa && aa<=t && 1<=bb && bb<=a); } int down(int y,int x){ // 이미 갔던 곳이라면 순회를 하는 코드이니까 -1을 출력하고 main함수 종료 if(check[y][x]){ cout << -1 << "\n"; exit(0); } //현재 좌표로 이동한 횟수 -> 이미 해당 위치에 숫자가 있다면 int &ret = d[y][x]; if(ret) return ret; check[y][x] = 1; int value = (int)b[y][x] - '0'; for(int i = 0; i < 4; i++){ // 해당 좌표만큼 이동한다 int ny = y + dy[i] * value; int nx = x + dx[i] * value; // 좌표를 벗어나거나 구멍이면 return 0 -> 갈 수 없음 if(!in(y, x) || b[y][x] == 'H') continue; ret= max(ret, down(ny, nx) + 1); } // 원복을 해준다 check[y][x] = 0; return ret; } int main(){ cin >> t >> a; for(int i = 1; i <= t; i++){ cin >> s; for(int j = 1; j <= a; j++){ b[i][j] = s[j - 1]; } } cout << down(1, 1) << "\n"; }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로그아웃 코드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function useLogout(mutationOptions?: UseMutationCustomOptions) { return useMutation({ mutationFn: logout, onSuccess: () => { console.log("before storage empty: ", getEncryptStorage(storageKeys.ACCESS_TOKEN)); removeHeader('Authorization'); removeEncryptStorage(storageKeys.REFRESH_TOKEN); queryClient.resetQueries({queryKey: [queryKeys.AUTH]}); console.log("storage empty: ", getEncryptStorage(storageKeys.ACCESS_TOKEN)); }, ...mutationOptions, }); } 이게 강사님께서 쓰신 로그아웃 코드인데 removeEncryptStorage를 비동기 함수로 구현하셨었습니다.제가 로그아웃 버튼을 누르는데 'localhost:제가 만든 서버 포트':auth/logout 이런식으로 클라이언트에 요청했을 때로그를 살펴보니깐 LOG Access token after remove: {"_h": 0, "_i": 0, "_j": null, "_k": null}LOG Access token removed: falseLOG isLogIn: false //이건 Navigation/root/RootNavigator.tsx에 isLogin값이 false인지 true인지 확인하기 위해 콘솔로그 찍음이런식으로 출력되었었습니다.로그아웃 직후에 바로 로그인이 된 상태로 작동했습니다. removeEncryptStorage는 비동기 함수이기 때문에 await 없이 호출되면 로그아웃 관련된 비동기 작업이 완려되기 전에onSuccess내의 코드들이 실행된거 같습니다.function useLogout(mutationOptions?: UseMutationCustomOptions) { return useMutation({ mutationFn: async () => { removeHeader('Authorization'); await removeEncryptStorage(storageKeys.REFRESH_TOKEN); }, onSettled: () => { // 관련 쿼리 무효화하여 캐시 초기화 queryClient.invalidateQueries({queryKey: [queryKeys.AUTH]}); }, ...mutationOptions }); } 그래서 이런식으로 await async로 토큰 제거 작업이 완료된 후 까지 기다리게 만들어서 하니깐 로그아웃이 잘 작동되고서버 내에 db랑 연결된 users 테이블 내의 refresh_token도 사라진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혹시 놓친 부분이 있었는지 왜 이런 차이가 나는지 정확한 이유를 몰라서 질문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