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volatile closed 적용해도 동시성 처리를 막을 수 없을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아래의 메서드는 결국 if(closed) 를 검증하기 위한 코드인데 synchronized가 아닌 volatile 키워드로 가시성만 보장해도 동시성 처리를 막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질문 드립니다!아직까지 해당 부분이 미흡해서 다시 공부해보겠습니다!public synchronized void close() { if (closed) { return; } closeAll(socket, input, output); // shutdown closed = true; log("연결 종료: " + socket); }
-
미해결인터랙티브 웹 개발 제대로 시작하기
스크롤이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창의 크기를 변환하면 생기는 문제
스크롤이 처음과 끝이 아닌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창의 크기를 변환하면 스크롤 비율이 달라져서 그런지 화면이 z축을 기점으로 순간이동을 합니다. 이것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친절한 블렌더 - [LV.1] 기초 모델링
도넛간판 베벨문의
- 18:06 영상에서 도넛간판 베벨이 저도 선생님처럼 양쪽을 균형있게 하고 싶은데 저는 아래 사진처럼 베벨이 됩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베벨만 계속하다 도저히 안되서 문의드려요 ㅠ
-
해결됨코틀린 코루틴 완전 정복
스레드 양보 예제 + 코루틴/멀티스레드 사용 예시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질문을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습니다.-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section10의 code4/Code10-4에서 보면코드가 아래와 같이 되는데package section10.code4 import kotlinx.coroutines.* fun main() = runBlocking<Unit> { val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repeat(10) { repeatTime -> launch { Thread.sleep(1000L) // 1초 동안 스레드 블로킹(코루틴의 스레드 점유 유지) println("[${Thread.currentThread().name}] 작업 실행 ") println("[${getElapsedTime(startTime)}] 코루틴${repeatTime} 실행 완료") } } } fun getElapsedTime(startTime: Long): String = "지난 시간: ${System.currentTimeMillis() - startTime}ms"보통 이런 코드는 이렇게 멀티스레드로 처리하지 않나요..?import java.util.concurrent.Callable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 fun main() { val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val es = Executors.newFixedThreadPool(10) val callTasks = mutableListOf<Callable<Int>>() repeat(10) { repeatTime -> val callTask = Callable { println("[${Thread.currentThread().name}] 작업 실행 ") return@Callable repeatTime } callTasks.add(callTask) } val results = es.invokeAll(callTasks) // 결과 출력 results.forEach { future -> println("Result: ${future.get()}") } println("[${getElapsedTime(startTime)}] 실행 완료") es.close() } fun getElapsedTime(startTime: Long): String = "지난 시간: ${System.currentTimeMillis() - startTime}ms"음.. 그리고 스레드 1개를 만들어서 run을 시키면 1MB정도의 메모리 비용이 발생하고 context switch도 일어나지만, 코루틴은 훨씬 더 값싸다고 알고있습니다추가로 아직 r2dbc처럼 비동기 트랜잭션 처리 등.. 이게 지원이 좀 미약하다고 알고있습니다. 서버의 작업은 대체로 CPU를 사용하는 부분이 그렇게 많이 없고 DB에 쓰고 값을 가져오는 동기화 코드, 순차처리 작업이 많은걸로 알고 있습니다.그럼 언제 멀티스레드를 사용하는게 좋고, 언제 코루틴을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
해결됨2. 유니티가 어려운 입문자를 위한 입문용 게임 제작
오류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근에 배우고 있는 수강생 입니다.오류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강사님의 배우는 대로 코드를 작성했는데NullReferenceException라는 오류 문자가 나왔습니다.다시 코드를 작성 했는데 오류문자가 사라지지 않습니다.어디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InitMember 클래스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 강사님의 강의를 들으며 코드를 작성하던 도중 해결되지 않는 의문이 생겨 질문게시판에 글을 남깁니다. 강의를 보며 샘플데이터 추가를 위한 코드를 작성하고 나서 QuerydslApplication을 실행하면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initMember':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이라는 오류코드가 뜨면서 QuerydslApplication실행이 종료 됩니다. 그런데 김영한 강사님이 올려주신 자료의 코드를 넣어서 실행해 보면 QuerydslApplication 실행이 잘 됩니다. 분명 똑같이 만들었는데 왜 이런 차이가 나는걸까요? 코드도 다른점이 없어보이는데 이러한 차이가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아래는 제가 작성한 코드(수정 전 샘플데이터)와 김영한 강사님의 코드(수정후 샘플데이터)입니다. package study.querydsl; import jakarta.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Context;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Profil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study.querydsl.entity.Member; import study.querydsl.entity.Team; //샘플데이터 추가 /*수정 전 샘플데이터*/ /*@Profile("local")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InitMember { private final InitMemberService initMemberService;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initMemberService.init(); } @Component static class InitMemberService { @PersistenceContext private EntityManager em; @Transactional private void init() { Team teamA = new Team("teamA"); Team teamB = new Team("teamB"); em.persist(teamA); em.persist(teamB); for (int i = 0; i < 100; i++) { Team selectedTeam = i % 2 == 0 ? teamA :teamB; em.persist(new Member("member" + i, i, selectedTeam)); } } } }*/ /*수정후 샘플데이터*/ @Profile("local")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InitMember { private final InitMemberService initMemberService;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initMemberService.init(); } @Component static class InitMemberService { @PersistenceContext EntityManager em; @Transactional public void init() { Team teamA = new Team("teamA"); Team teamB = new Team("teamB"); em.persist(teamA); em.persist(teamB); for (int i = 0; i < 100; i++) { Team selectedTeam = i % 2 == 0 ? teamA : teamB; em.persist(new Member("member" + i, i, selectedTeam)); } } } }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코드팩토리님, 강의 질문 있습니다.
패스트 캠퍼스에서 올린 강의에 대한 질문을 어디에 올려할지 모르겠어서 여기에 남깁니다.아키텍처 대통합은 언제 올라나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전체 로드맵 알려주세여
안녕하세요. 김영한님 로드맵 3개(자바, 스프링, JPA) 가 있는거로 아는데 이거 통합해서 전체 강의 로드맵 짜서 순서 좀 알려주세요. 김영한님한테 직접 질문좀 해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ppConfig@CGLIB
[질문 내용]@Configuration과 바이트코드 조작의 마법 강의영상에서 8분 19분쯤에 김영한 강사님께서 부모타입으로 조회하면 모든 자식이 끌려 나온다 했는데, 부모타입으로 된 변수명에 자식 인스턴스를 초기화할 때 기능을 호출하면 부모 타입에 없을 때 자식타입에서 못가져오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상속 관계는 부모 방향으로 찾아 올라갈 수는 있지만 자식 방향으로 찾아 내려갈 수는 없기 때문이죠. 그래서 강사님께서 말한 "부모 타입으로 조회하면 자식들이 다 끌려 나온다"라는 말은 틀린 말 아닌가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window) 도커 삭제 후 재설치 했는데 이후 도커 앱에서 enable kubernetes 설정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전 문제가 해결되지않아 도커 삭제 후 재설치 했는데 이후 도커 앱에서 enable kubernetes 설정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401 권한관련 이슈 같습니다. 컨텍스트관련 부분은 삭제 이전에 있던 내용이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기초부터 따라하는 디지털포렌식
FTK Imager 앱 사용방법
이거 복구는 한번밖에 안되는 건가요?한번하고 지웠다가 다시 하니까 사진처럼 뜨네요
-
미해결
수강기한 연장 부탁드립니다
업무로 수업 듣기가 수월하지 않아서 수강기간 연장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MongoDB(몽고DB) 와 NoSQL(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부트캠프 [입문부터 활용까지] (업데이트)
애플실리콘(M1) 몽고DB 최초 설치 후 실행 시 에러 Error: Permission denied
(해결된 문제로 혹시나... 이력을 위해 등록합니다)저는 몽고db 8.0을 설치하였고 강의 영상과 다르게 arm관련 메시지가 없어서 쭉쭉 설치 모두 진행하고 마지막 실행 시에 에러 메시지가 노출된 경우입니다. Error: Permission denied @ rb_sysopen - /Users/user/Library/LaunchAgents/homebrew.mxcl.mongodb-community.plist 요런식으로 권한 문제 메시지였고 관련해서 찾아본 결과https://parker-park.tistory.com/18 요 블로그?를 참고하여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유저명이 user라서 아래와 같이...sudo chown user /Users/user/Library/LaunchAgents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kubectl cluster-info dump 관련 문의
kubectl cluster-info dump 명령어를 윈도우 도커앱의 터미널에서 입력했을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Unable to connect to the server: dial tcp [::1]:8080: connectex: No connection could be made because the target machine actively refused it. -->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한 번에 끝내는 자바스크립트: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SPA 개발까지
regionList 에 region별 cities가 정상 로딩이 안됩니다.
영상 7:53 부분에 코드를 완성하면, regionList에 있는 region 클릭 시, 영상처럼 region 별로 cities가 나와야 하지만, 아래 에러가 생겨서 정상적으로 로딩이 안됩니다.혹시 어떤 문제 인지 알려주시면, 너무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app.js 코드는 아래와 같이 입력했습니다.import Header from "./components/Header.js"; import RegionList from "./components/RegionList.js"; import CityList from "./components/CityList.js"; import CityDetail from "./components/CityDetail.js"; import { request } from "./components/api.js"; export default function App($app) { const getSortBy = () => { if (window.location.search) { return window.location.search.split("sort=")[1].split("&")[0]; } return "total"; }; const getSearchWord = () => { if (window.location.search && window.location.search.includes("search=")) { return window.location.search.split("search=")[1]; } return ""; }; this.state = { startIdx: 0, sortBy: getSortBy(), searchWord: getSearchWord(), region: "", cities: "", }; const header = new Header({ $app, initialState: { sortBy: this.state.sortBy, searchWord: this.state.searchWord, }, handleSortChange: async (sortBy) => { const pageUrl = `/${this.state.region}?sort=${sortBy}`; history.pushState( null, null, this.state.searchWord ? pageUrl + `&search=${this.state.searchWord}` : pageUrl ); const cities = await request( 0, this.state.region, sortBy, this.state.searchWord ); this.setState({ ...this.state, startIdx: 0, sortBy: sortBy, cities: cities, }); }, handleSearch: async (searchWord) => { history.pushState( null, null, `/${this.state.region}?sort=${this.state.sortBy}&search=${searchWord}` ); const cities = await request( 0, this.state.region, this.state.sortBy, searchWord ); this.setState({ ...this.state, startIdx: 0, searchWord: searchWord, cities: cities, }); }, }); const regionList = new RegionList({ $app, initialState: this.state.region, handleRegion: async (region) => { history.pushState(null, null, `/${region}?sort=total`); const cities = await request(0, region, "total"); this.setState({ ...this.state, startIdx: 0, sortBy: "total", region: region, searchWord: "", cities: cities, }); }, }); const cityList = new CityList({ $app, initialState: this.state.cities, handleLoadMore: async () => { const newStartIdx = this.state.startIdx + 40; const newCities = await request( newStartIdx, this.state.region, this.state.sortBy, this.state.searchWord ); this.setState({ ...this.state, startIdx: newStartIdx, cities: { cities: [...this.state.cities.cities, ...newCities.cities], isEnd: newCities.isEnd, }, }); }, }); const cityDetail = new CityDetail(); this.setState = (newState) => { this.state = newState; cityList.setState(this.state.cities); header.setState({ sortBy: this.state.sortBy, searchWord: this.state.searchWord, }); regionList.setState(this.state.region); }; const init = async () => { const cities = await request( this.state.startIdx, this.state.region, this.state.sortBy, this.state.searchWord ); console.log(cities); this.setState({ ...this.state, cities: cities, }); }; init(); } regionList.js 코드는 아래와 같이 입력했습니다.export default function RegionList({ $app, initialState, handleRegion }) { this.state = initialState; this.$target = document.createElement("div"); this.$target.className = "region-list"; this.handleRegion = handleRegion; $app.appendChild(this.$target); this.template = () => { const regionList = [ "🚀 All", "🌏 Asia", "🕌 Middle-East", "🇪🇺 Europe", "💃 Latin-America", "🐘 Africa", "🏈 North-America", "🏄 Oceania", ]; let temp = ``; regionList.forEach((elm) => { let regionId = elm.split(" ")[1]; temp += `<div id=${regionId}>${elm}</div>`; }); return temp; }; this.render = () => { this.$target.innerHTML = this.template(); if (this.state) { let $currentRegion = document.getElementById(this.state); $currentRegion && ($currentRegion.className = "clicked"); } else { document.getElementById("All").className = "clicked"; } const $regionList = this.$target.querySelectorAll("div"); $regionList.forEach((elm) => { elm.addEventListener("click", () => { this.handleRegion(elm.id); }); }); }; this.setState = (newState) => { this.state = newState; this.render(); }; this.render(); }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확장성
확장성을 위해 아이콘 제작에서 스트록으로 그린 아이콘은 스트록 아웃라인을 해야 커져도 크기의 비율이 일정하게 늘어나는 거죠?
-
미해결WPF (C#, 자막제공)
3강 이미지삽입에서 오류가나옵니다.
리소스를 추가해도 자꾸 위와같은오류가뜨는데 왜그럴까요? Resources 폴더와 Resources.resx파일을 제거한후에 다시 추가해도 동일한 오류가나옵니다.이미지는위와같은방식으로 추가 했었습니다.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핸들러가 무슨의미인지 잘모르겠어요
공부를 하던중에 핸들러라는것이 많이 보이는데 정확이 무슨역할인지 잘 모르겠고 왜 정해주는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피그마가 안열립니다.
안녕하세요 피그마 접속 하려고 하는데 이런 팝업창이 뜨면서 안열립니다..구글검색 후 webGL 설정하는 것 까지 해보았는데 안열리네요 ㅠㅠ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getReference 사용시 쿼리 관련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수강 중에 질문 드려봅니다. 섹션9. 프록시 1편 11분경에, 코드를 그대로 따라 치고 실행해보았는데, 실제로 강의와 다르게 동작하는 거 같습니다.try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hello"); em.persist(member); em.flush(); em.clear(); Member findMember = em.getReference(Member.class, member.getId()); System.out.println("findMember.id = " + findMember.getId()); System.out.println("findMember.username = " + findMember.getUsername()); tx.commit(); } catch (Exception e) { tx.rollback(); } finally { em.close(); }위와 같이 코드를 실행했는데요, Hibernate: 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 Hibernate: /* insert for hellojpa.Member */insert into Member (USERNAME, MEMBER_ID) values (?, ?) Hibernate: select m1_0.MEMBER_ID, t1_0.TEAM_ID, t1_0.name, m1_0.USERNAME from Member m1_0 left join Team t1_0 on t1_0.TEAM_ID=m1_0.TEAM_ID where m1_0.MEMBER_ID=? findMember.id = 1 findMember.username = hello콘솔에서는 이렇게 나옵니다. findMember.id는 쿼리 실행 필요 없이 바로 출력 가능해야 할 거 같은데 쿼리가 먼저 실행되는 이유가 뭘까요?(username을 꺼내쓰는 부분을 제거하고 실행해봐도 쿼리가 실행되고 id를 출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