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외부 내부 트랜잭션 질문
이전 내용은 내부 트랜잭션이 외부 트랜잭션에 종속된다는 내용이였는데, 지금까지 테스트를 트랜잭션 매니저로 직접 생성해서 해주셨습니다.그런데 실무에서는 트랜잭션 어노테이션을 많이 쓰는데 디폴트 트랜잭션은 기존 트랜잭션이 존재하면 그대로 이어 쓰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가 이어 쓰는 것임에도 논리적으로 외부 내부로 구분하는 건지, 아니면 다른 옵션의 예가 따로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정리하자면 기존 트랜잭션을 이어 쓰는 REQUIRED 옵션이 이제까지 설명해주신 내부가 외부에 종속되는 트랜잭션인지 아니면 다른 옵션이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대신 도커 SWARM 사용 방법 핵심 강의
404 에러
traefik.yamlservices: traefik: image: traefik ports: - target: 80 published: 80 mode: host protocol: tcp - target: 443 published: 443 mode: host protocol: tcp - 9001:9001 volumes: -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ro - /var/log/traefik:/var/log/traefik - traefik-certificates:/certificates deploy: mode: global placement: constraints: - node.labels.traefik-public.traefik-certificates == true labels: - traefik.enable=true - traefik.docker.network=traefik-public - traefik.constraint-label=traefik-public - traefik.http.middlewares.https-redirect.redirectscheme.scheme=https - traefik.http.middlewares.https-redirect.redirectscheme.permanent=true - traefik.http.routers.traefik-public-http.rule=Host(`test.shop`) - traefik.http.routers.traefik-public-http.entrypoints=traefik-ui - traefik.http.routers.traefik-public-http.middlewares=https-redirect - traefik.http.routers.traefik-public-https.rule=Host(`test.shop`) - traefik.http.routers.traefik-public-https.entrypoints=traefik-ui - traefik.http.routers.traefik-public-https.tls=true - traefik.http.routers.traefik-public-https.service=api@internal - traefik.http.routers.traefik-public-https.tls.certresolver=le - traefik.http.routers.traefik-public-https.middlewares=admin-auth - traefik.http.services.traefik-public.loadbalancer.server.port=8080 - "traefik.http.middlewares.non-www-to-www.redirectregex.regex=^https?://(?:www\\.)?(.+)" - "traefik.http.middlewares.non-www-to-www.redirectregex.permanent=true" - "traefik.http.middlewares.non-www-to-www.redirectregex.replacement=https://www.$${1}" update_config: order: stop-first command: - --providers.swarm.network=traefik-public - --providers.swarm.constraints=Label(`traefik.constraint-label`, 'traefik-public') #v3 버전 전용 코드 - --providers.swarm.exposedbydefault=false - --providers.swarm.endpoint=unix:///var/run/docker.sock - --entrypoints.http.address=:80 - --entrypoints.https.address=:443 - --certificatesresolvers.le.acme.email=email - --certificatesresolvers.le.acme.storage=/certificates/acme.json - --certificatesresolvers.le.acme.tlschallenge=true - --accesslog.bufferingsize=100 - --accesslog.filepath=/var/log/traefik/traefik-access.log - --accesslog.fields.defaultmode=keep - --accesslog.fields.names.ClientUsername=drop - --accesslog.fields.headers.defaultmode=keep - --accesslog.fields.headers.names.User-Agent=keep - --accesslog.fields.headers.names.Authorization=drop - --accesslog.fields.headers.names.Content-Type=keep - --log - --api - --entrypoints.traefik-ui.address=:9001 networks: - "traefik-public" volumes: traefik-certificates: {} networks: traefik-public: name: traefik-public external: true app.yamlservices: flask: image: 192.168.219.114:5000/fastapi-helloworld networks: - traefik-public deploy: labels: - "traefik.enable=true" - "traefik.http.routers.flask.rule=Host(`test.shop`)" - "traefik.http.routers.flask.entrypoints=http" - "traefik.http.routers.flask.middlewares=https-redirect" - "traefik.http.routers.flask-https.rule=Host(`test.shop`)" - "traefik.http.routers.flask-https.entrypoints=https" - "traefik.http.routers.flask-https.tls=true" - "traefik.http.routers.flask-https.tls.certresolver=le" - "traefik.docker.network=traefik-public" - "traefik.constraint-label=traefik-public" - "traefik.http.services.flask-https.loadbalancer.server.port=8080" networks: traefik-public: name: traefik-public external: true stack 배포하고 test.shop 접속 시 404 에러가 발생합니다.현재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의 포트는 8080으로 설정되어있습니다.원인이 뭘까요??
-
해결됨[켠김에 출시까지] UE5 다크앤다커 스타일의 익스트랙션 RPG (D1)
ThirdPersonCPP만들어서 열면 오류가 엄청 뜹니다
Lyla파일 D1도 비슷합니다..cpp파일 하나 열때마다 오류가 엄청 생기네요언리얼 버전 재설치, 버전 5.5(두번째사진)로 해보기라이브코딩 끄고 save..,binary,inter... 폴더 제거 등이리저리 해결법을 검색해보곤 있습니다만 성과가 없네요..ㅜㅜ
-
해결됨쿠버네티스 대신 도커 SWARM 사용 방법 핵심 강의
13:00
13:00 에서 서비스의 연결 포트는 어떤 포트를 의미하는 건가요?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28:50 에서 SetPercent 함수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파트2의 10강 28:50 에서, if 문에"ABOpponentCharacter->SetLevel(CurrentStageNum);" 구문을 추가로 넣은 후 게임을 진행하면서 다음 두번째 적이 스폰될 때, HpBar가 100/150의 비율로 렌더링이 되는 것이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HpProgressBar->SetPercent" 함수가 HpProgressBar의 비율을 계산하여 렌더링 하는것이 맞다면, 적이 스폰될 때 StatComponent에서의 beginplay를 통해 BaseStat.MaxHp 가 100 이 된 후, 위젯의 "SetupCharacterWidget" 이 호출되어 순서대로 "SetMaxHp"를 통해 위젯의 MaxHp 또한 100 이 되고 끝으로 "SetPercent(NewCurrentHp / MaxHp);" 를 실행하여 100/100 비율로 체력바가 올바르게 갱신되어 렌더링되는 것 까지는 이해했습니다. 근데 적 Level이 2가 될 때, 스텟컴포넌트의 BaseStat.MaxHp 가 "28:50"에서 추가했던 "SetLevel(CurrentStageNum);" 으로 인해 150 으로 갱신되고, 문제는 그 이후에 아래와 같은 두 추가적인 과정이 없이 어떻게 게임상에서 보이는 체력바의 비율이 100/150 의 비율로 갱신이 될수 있던 것인지 궁금합니다.HpBarWidget->SetMaxHp(Stat->GetTotalStat().MaxHp); 구문을 다시 실행시켜서 HpBarWidget 의 MaxHp 변수를 150 으로 갱신시켜주고OnHpChanged.Broadcast(CurrentHp); 를 명시적으로 호출하여, HpProgressBar->SetPercent(NewCurrentHp / MaxHp); 를 실행시켜서, 갱신이 필요한 CurrentHp의 값인 100과, 1.을 통해 150 으로 갱신된 MaxHp 두 값의 100/150 비율이 비로소 렌더링이 된다. 28:50 코드 이후에위 두가지 코드를 실행하는 구문이 명시적으로 추가되지 않다면, ABHpBarWidget의 MaxHp는 여전히 100일 것이며, 150으로 갱신되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UpdateHpBar를 호출하지 않았으므로 SetPercent(NewCurrentHp/MaxHp)를 호출하지 못하여 100/100의 비율로 렌더링이 되었어야 한다고 생각이 드는데, 실제론 전혀 그렇지 않고 스텟컴포넌트에서 변경된 MaxHp가 위젯의 MaxHp에도 자동으로 적용되어 100/150의 올바른 비율로 갱신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log 를 한번 찍어보았는데, 저는 "GetWorld()->SpawnActor" 로 월드에 적이 스폰 된후 InitWidget 을 통해 위젯이 생성된 다음, 곧바로 nativeconstruct 가 호출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다음 구문인 "ABOpponentCharacter->SetLevel(CurrentStageNum);" 이 실행되고, 이 구문이 실행이 완료되고 나서야 뒤늦게 위젯의 nativeconstruct 가 실행됩니다. 만약 이 흐름이 버그가 아니라면, 뒤늦게 nativeconstruct가 호출됨으로써HpBarWidget->SetMaxHp(Stat->GetTotalStat().MaxHp);HpBarWidget->UpdateHpBar(Stat->GetCurrentHp()); 위 두 구문이 실행이 되는 것이므로 지금 보이는 체력바의 모습이 비로소 이해가 됩니다. 근데 이 nativeconstruct 의 호출타이밍이 왜 InitWidget 의 실행이 끝난 후 바로 호출이 되지 않고, 그 다음 구문인"ABOpponentCharacter->SetLevel(CurrentStageNum);" 이 실행이 끝나고 나서야 호출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혹시 몰라 해당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올려놓았습니다.https://github.com/jaebyoung/MyArenaBattle_2_10(업로드가 처음이라 제대로 올라간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ios simulator 에러
Xcode build done. 3.1sFailed to build iOS appError (Xcode): Target debug_unpack_ios failed: Exception: Failed to codesign /Users/2sumin/Desktop/test_proj.nosync/build/ios/Debug-iphonesimulator/Flutter.framework/Flutter with identity -.Could not build the application for the simulator.Error launching application on iPhone 16 Plus. 이렇게 에러가 발생하는데,icloud에 연동되지 않게 파일을 만들면 해결된다고 하는데 어떻게 파일을 만들어도 계속 에러가 발생합니다...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네이티브 기초
android studio에서 시뮬레이터를 실행시 cpu 과도 사용 질문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시뮬레이터를 실행시키면 cpu와 메모리가 거의 100%프로에서 안떨어지려고 하는데 이거 낮추는 방법 없을까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페이지 경로가 잘 안잡혀요
GTM에서 제공한 head,body값을 소스 내 등록했고, 그에따른 데이터가 들어오고 있기는 한데요. 페이지 경로가 계속 하나로만 나오고 있어요. 예를들어 https://naver.com/es/#/ 이 링크라면 페이지 경로가 계속 /es/로만 잡히고 있는데 이부분 개선 방법을 혹시 아실까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게시글 삭제하기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게시글 삭제하기 기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구현해도 안되길래 스웨거가서 테스트를 하고 서버를 봤더니 오류가 나더라구요혹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G 질문있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십니까 선생님, 어느 부분에서 틀렸는지 도움 부탁드립니다.http://boj.kr/9f99ed1c47a842b9af37e728a08dccee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CsrfCookieFilter 역할?
해당 필터는 단순히 Supplier로 감싸진 CsrfToken을 getToken()을 통해서 초기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GET 방식이면 어차피 CsrfFilter에서 바로 다음 필터로 넘어가고 POST면 CsrfFilter에서 토큰 비교를 하기 위해서 초기화를 CsrfFilter에서 하는데 CsrfCookieFilter는 왜 필요할까요? 여러 가지 케이스로 디버깅하면서 좀 더 살펴봤는데특정 페이지에서 POST 요청을 하는 버튼이 있으면 먼저 CSRF 토큰을 발급해서 클라이언트에 저장이 되어있어야 POST 요청에서 토큰을 쿠키에 꺼내어 검증할 수 있기 때문에GET 요청에도 getToken()을 통해서 초기화가 진행되고 해당 초기화 과정에 saveCookie 로직이 있기 때문에클라이언트 쿠키에 토큰이 저장되는 걸로 추측했습니다
-
해결됨한 번에 끝내는 자바스크립트: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SPA 개발까지
경로 질문드립니다
코드 관련 질문은 아래와 같이 '코드블럭' 기능을 이용해주세요!+ 오류 메세지도 함께 올려주시면 좋아요 🙂npm error code ENOENT npm error syscall open npm error path C:\Users\사용자이름\Desktop\animal_album_Main\animal_album-3\package.json npm error errno -4058 npm error enoent ENOENT: no such file or directory, open 'C:\Users\사용자이름\Desktop\animal_album_Main\animal_album-3\package.json' npm error enoent This is related to npm not being able to find a file. npm error enoent npm error A complete log of this run can be found in: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npm-cache\_logs\2024-12-06T08_26_22_967Z-debug-0.log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몇일동안 npm init 떄문에 질문드립니다 npm 설치시 해당 프로젝트 파일이 c드라이브 안에만 있어야 되는건가요 ?1번 바탕화면에 프로젝트가 있을떄도 실행이 안됩니다2번 c드라이브 -> User -> (사용자이름) -> github-> 해당 폴더 -> 프로젝트 폴더3번 c드라이브 -> 프로젝트 폴더 3번일때만 되고 1,2번일때는 npm init 설치가 안되는데2번도 가능하게 할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Unity6] 유니티6로 배우는 실전 멀티플레이 디펜스
Summon 소환
안녕하세요 선생님 잘 다녀오셨나요 ? ?? 😃 만들던 게임 날라가서 복습 한다 생각하고처음부터 다시 하고 있습니다 ......캐릭터 소환이 안됩니다시뮬레이터에서 소환버튼이 잘 눌려서 소환가능한데game 창에서는 소환버튼 클릭이 안됩니다 canvas 설정이나 그런게 필요한가요 ... 시뮬에서는 잘 소환되는데 game창에서는 소환이 안됩니다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직장인에게 꼭 필요한 파이썬-아래아한글 자동화 레시피
첨부파일(필드명없음.hwp)과 강의 본문 내용 상 불일치 확인 요청
"2-6. 필드속성 수정하기" 중현재 커서위치의 필드이름 수정하기 : SetCurFieldName 관련입니다. (아래 스크린샷 참고)강의 본문을 보면,첨부된 실습파일인 "필드명없음.hwp"이 누름틀은 네 개 들어가 있지만, 필드명이 정의되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라고 설명되어 있는데요. "필드명없음.hwp"를 다운로드 받아서 열어보면 강의 본문과 다릅니다.즉, 필드 4개에 필드명이 모두 정의된 상태입니다. 또한, 강의 본문에는, "필드명없음.hwp" 상 내용이이름 : 여기에 입력성별 : 여기에 입력생일 : 여기에 입력취미 : 여기에 입력이라고 기재되어 있지만, "필드명없음.hwp"를 열어보면이름 : 이름성별 : 성별생일 : 성별취미 : 성별로 확인됩니다. 잘못 첨부하신 거라면, 첨부파일과 강의 본문 간 일치되도록 정정해 주시면 혼동을 방지하는데 큰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혹여나 "예시문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라고 기재하시면서 실습이 완료된 파일을 첨부해 주신 의도라면,수강생의 입장에서는 해당 위치에 실습 진행 전 파일을 첨부해 주시는 게 더 이해에 더 매끄러울 거 같습니다. 아니면, 해당 첨부파일이 "실습이 완료된 이후의 상태"라는 언급을 해주시면 정확할 거 같습니다. 아울러,hwp.SetCurFieldName(Field="이름", Direction="이름입력", memo="이름메모")코드를 실행할 때는,"필드명 정의되어 있지 않은 누름틀에서 캐릿이 깜빡이는 상태에서 위 코드를 실행"하면 된다는 설명을 한 줄 더 넣어주시면 어떤 설명을 하고 계신 건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요 부분 실습해보고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node init 설치가 안됩니다.
3분 40초node -vnpm -v 은 다 되는데 init y 는 안됩니다 ..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GA4를 설치했을 때, SEO 성능 점수가 떨어지는 영향을 받을 수 있나요?
GA4를 설치했을 때, SEO 성능 점수가 떨어지는 영향을 받을 수 있나요?
-
미해결Three.js로 시작하는 3D 인터랙티브 웹
DragControls의 인자값을 바꾸지 않았는데 에러가 안떠요!
DragControls 1:05초에 인자를 바꾸지 않으면 에러가 나야하는데, 저는 에러가 안뜨는데 이유가 뭘까요??서버도 껐다가 다시 켜도 동작만 안될 뿐이고, 에러는 안납니다!import * as THREE from 'three'; import { DragControls } from 'three/examples/jsm/Addons.js'; // ----- 주제: PointerLockControls 클릭 시 마우스 커서 사라지고, 마인크래프트 스타일로 변경됨 export default function example() { // Renderer const canvas = document.querySelector('#three-canvas'); const renderer = new THREE.WebGLRenderer({ canvas, antialias: true, }); renderer.setSize(window.innerWidth, window.innerHeight); renderer.setPixelRatio(window.devicePixelRatio > 1 ? 2 : 1); // Scene const scene = new THREE.Scene(); // Camera const camera = new THREE.PerspectiveCamera( 75, window.innerWidth / window.innerHeight, 0.1, 1000 ); camera.position.y = 1.5; camera.position.z = 4; scene.add(camera); // Light const ambientLight = new THREE.AmbientLight('white', 0.5); scene.add(ambientLight); const directionalLight = new THREE.DirectionalLight('white', 1); directionalLight.position.x = 1; directionalLight.position.z = 2; scene.add(directionalLight); // Controls const controls = new DragControls(camera, renderer.domElement); // Mesh const geometry = new THREE.BoxGeometry(1, 1, 1); let mesh; let material; for (let i = 0; i < 20; i++) { material = new THREE.MeshStandardMaterial({ // rgb (0,0,0)~(255,255,255) => (0,0,0)인 경우 검은색에 가까워지므로 최소:50 최대:250-50 color: `rgb( ${50 + Math.floor(Math.random() * 205)}, ${50 + Math.floor(Math.random() * 205)}, ${50 + Math.floor(Math.random() * 205)} )`, }); mesh = new THREE.Mesh(geometry, material); mesh.position.x = (Math.random() - 0.5) * 5; mesh.position.y = (Math.random() - 0.5) * 5; mesh.position.z = (Math.random() - 0.5) * 5; scene.add(mesh); } // 그리기 const clock = new THREE.Clock(); function draw() { const delta = clock.getDelta(); renderer.render(scene, camera); renderer.setAnimationLoop(draw); } function setSize() { camera.aspect = window.innerWidth / window.innerHeight; camera.updateProjectionMatrix(); renderer.setSize(window.innerWidth, window.innerHeight); renderer.render(scene, camera); } // 이벤트 window.addEventListener('resize', setSize); draw(); }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강의 프로젝트는 Todo리스트 인가요 쇼핑몰 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사님.현재 섹션5를 보고 있는데 프로젝트가 어떤 프로젝트인지 헷갈려서 질문 드립니다. 섹션 1,2,3 을 보면 투두리스트 인것 같은데갑자기 섹션4부터는 product나 상품들도 나오고, 그 뒤 섹션들을 보면 장바구니도 나오고 하던데 최종적으로는 어떤게 만들어지는 건가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미세먼지앱 코딩 중 데이터를 못 가져오고 있습니다 ㅠㅠ
안녕하세요 코트팩토리님! 열심히 수강중인 수강생입니다.현재 제가 미세먼지앱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파트를 듣는 중에 만약 !snapshot.hasData이라면 '데이터가 없습니다' 라고 코드를 치고 에뮬레이터를 실행을 해본 뒤로 계속 위에 이미지와 정보들은 사라지고 '데이터가 없습니다' 만 뜨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왜 데이터가 없을까라는 생각에 막 이곳저곳 둘러보고 썼다 지우고 하다가 stat_repository에 print를 추가해보았습니다. static Future<void> fetchData() async { final isar = GetIt.I<Isar>(); for (ItemCode itemCode in ItemCode.values) { print('ItemCode: ${itemCode.name}'); await fetchDataByItemCode(itemCode: itemCode); }중간에 저렇게 추가를 하였더니 I/flutter ( 3033): ItemCode: SO2I/flutter ( 3033): ItemCode: SO2D/EGL_emulation( 3033): app_time_stats: avg=2533.58ms min=26.00ms max=11703.56ms count=5I/flutter ( 3033): ItemCode: SO2E/flutter ( 3033): [ERROR:flutter/runtime/dart_vm_initializer.cc(41)] Unhandled Exception: type 'List<dynamic>' is not a subtype of type 'List<Map<String, dynamic>>' in type cast밑에 로그에 이렇게 떠서 뭔가 이상하다 싶어 고쳐볼려 했으나 고치는 방법도 잘 모르겠고 저게 원인이 맞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미세먼지 파트가 어려워서 중간에 끊고 다시 듣는 중에 여기까지 와서 다시 돌아가긴 아깝고 제가 건드리면 더 엉망이 될까봐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st api와 messagebody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rest api 구현은 기본적으로 자원 기반 구조로 url을 설계하는걸 포함하는데 HTTP/1.1 명세(RFC 7231) 상 get 방식은 messagebody의 사용하지 않는것을 권장하고 있고 해당 강의의 messagebody 교환 방법에 아래와 같이 교안을 제공합니다.HTTP message body 에 데이터를 직접 담아서 요청 HTTP API에서 주로 사용, JSON, XML, TEXT 데이터 형식은 주로 JSON 사용 POST, PUT, PATCH그렇다면 조회시에 get방식을 사용못하는데 json 방식의 api는 모두 rest api에 위배되거나 http/1.1 명세에 따르지 않는 방식 아닌가요?도대체 무엇인지 혼동만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