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npx prisma db push실행시 에러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는데 무슨 문제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Error: Prisma schema validation - (get-config wasm)Error code: P1012error: Environment variable not found: DATABASE_URL. --> schema.prisma:13 | 12 | provider = "postgresql"13 | url = env("DATABASE_URL") | Validation Error Count: 1[Context: getConfig]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서버컴포넌트 데이터 페칭 관련 문의 드립니다.
서버컴포넌트에서 필요한 컴포넌트마다 데이터를 페칭하면,서버에서 받아온 상태에 대해서는 전역상태 관리를 할 필요가 전혀 없는건가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기본 강의
localhost 에서 연결을 거부했습니다.
프록시 설정하고 concurrently 설정후 npm run dev 를 하였는데 연결을 거부했습니다 뜹니다. ㅜㅜ
-
해결됨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스프링부트 버전이 3.4.X 여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섹션1 의 'MariaDB와 부트 프로젝트생성' 에서 VScode 에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만드실때 3.1.X 버전으로 만드셨는데 지금 보면 3.3.6 이랑 3.4.0 밖에 없는데 3.4로 해도 상관 없을까요? 강사님 강의에서는 jpa 를 쓰는것으로 알고 있지만 3.4.0부터는 mybatis framework도 못쓴다고 해서 여쭤봅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실전 웹 성능 최적화(feat. React) - Part. 2
layout shift가 아주 약간 일어나는 부분에 대해
강좌를 따라해보니 lighthoust에서의 cls 점수는 0점인데 성능탭에서는 헤더 부분에서 아주 미세하게 layout shift가 일어난다고 나오고 있거든요. 이런 부분은 너무 작아서 점수를 매길때 무시하는 건가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자막 오류 관련
🚨 아래의 가이드라인을 꼭 읽고 질문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질문 하시기 전에 꼭 확인해주세요- 질문 전 구글에 먼저 검색해보세요 (답변을 기다리는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코드에 오타가 없는지 면밀히 체크해보세요 (Date와 Data를 많이 헷갈리십니다)- 이전에 올린 질문에 달린 답변들에 꼭 반응해주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만 받으시고 쌩 가시면 속상해요 😢)질문 하실때 꼭 확인하세요- 제목만 보고도 무슨 문제가 있는지 대충 알 수 있도록 자세한 제목을 정해주세요 (단순 단어 X)- 질문의 배경정보를 제공해주세요 (이 문제가 언제 어떻게 발생했고 어디까지 시도해보셨는지)- 문제를 재현하도록 코드샌드박스나 깃허브 링크로 전달해주세요 (프로젝트 코드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답변이 달렸다면 꼭 확인하고 반응을 남겨주세요- 강의의 몇 분 몇 초 관련 질문인지 알려주세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3 JSX로 UI 표현하기 편 수강 중, 강의 초반부에 자막 오류가 있는 것 같아 문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기본 강의
포스트맨에서 true가 안떠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isLoading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스토리지 강의 끝 부분 듣다가 질문이 생겨 글 남깁니다. if (isLoading) { return <div>데이터 로딩중입니다...</div>; }위와 같이 작성된 if문은 isLoading이 false가 될 때까지 기다려주나요?if문이 실행되었을 당시에 isLoading이 true여서 데이터로딩중이라는 페이지를 반환한 후에도 여전히 로딩이 끝나지 않았다면,아래 컴포넌트들을 렌더링하는 리턴문을 실행하였을 때 에러가 발생하지는 않나요? 벌써 강의 막바지네요. 선생님의 좋은 강의 덕분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 🚨 아래의 가이드라인을 꼭 읽고 질문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질문 하시기 전에 꼭 확인해주세요- 질문 전 구글에 먼저 검색해보세요 (답변을 기다리는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코드에 오타가 없는지 면밀히 체크해보세요 (Date와 Data를 많이 헷갈리십니다)- 이전에 올린 질문에 달린 답변들에 꼭 반응해주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만 받으시고 쌩 가시면 속상해요 😢)질문 하실때 꼭 확인하세요- 제목만 보고도 무슨 문제가 있는지 대충 알 수 있도록 자세한 제목을 정해주세요 (단순 단어 X)- 질문의 배경정보를 제공해주세요 (이 문제가 언제 어떻게 발생했고 어디까지 시도해보셨는지)- 문제를 재현하도록 코드샌드박스나 깃허브 링크로 전달해주세요 (프로젝트 코드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답변이 달렸다면 꼭 확인하고 반응을 남겨주세요- 강의의 몇 분 몇 초 관련 질문인지 알려주세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기본 강의
왜 안되나요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section 12 폴더를 만드는 부분이 강의에 나와있지 않아요
section 12 폴더 내의 파일 구성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원시타입 vs 객체타입 부분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원시타입과 객체타입 강의를 보다가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을 드립니다. let p1 = 1;let p2 = p1;p2 = 2;이렇게 1에서 2로 재할당을 하면 메모리상에는 원래 1이 있었는데 새로운 메모리에 2가 추가가 되면서 해당 공간을 가리키는데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던 1은 수정되지 않는다...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1은 수정만 되지 않을 뿐 없어지지 않고 그대로 1이 저장이 되어있는건가요? 그리고 객체타입에서는 값을 변경하면 원본이 바로 변경되므로 안전하게 ... 스프레드로 값을 복사해서 사용한다라는 설명이 맞나요?
-
미해결웹 게임을 만들며 배우는 React
useMemo와 useCallback 사용 시기
안녕하세요.useMemo와 useCallback에 대한 사용 시기에 관련해서 여쭤보고싶습니다.useMemo와 useCallback을 사용한다면 특정상황을 제외하고, 기억된 값 또는 함수를 사용하여 성능을 올릴 수 있다는 부분까지 이해했습니다.질문 드리고 싶은 부분은 useMemo를 "복잡한 함수", 불필요하게 다시 실행되는 함수의 결과값을 저장하기 위해, useCallback은 함수의 생성 비용이 "크다"라고 생각될때 사용하는 것이라고 이해중인데, 이때 "복잡한"과 "크다"의 기준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복잡한"과 "크다"에 수치, 기준이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정확한 수치가 있는것인지, 주관적인것인지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Async와 await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강의를 듣다가 Async와 await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api요청과 같이 시간이 걸리는 작업은 비동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작업이 먼저 이루어지고 그다음 데이터가 불러오면 그 작업을 해야되므로 비동기로 만들어 주기 위해 async를 붙인다 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await은 비동기 작업까지 다 처리되고 결과값을 얻기 위해 사용이 되는건가요? 마지막으로 async는 함수 앞에 작성이 되는데 await은 어디에 작성이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debounce 함수 테스트 정확도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debounce 함수 테스트 관련 강의를 보고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debouncedFn이 300ms이 지난 후 실행되어야 함을 테스트할 때, 기존에 작성해주신 것 처럼 테스트할 시에는 함수가 300ms 후가 아닌 즉시 실행이 되거나 그보다 작은 시간이 지나고 실행이 되어도 테스트가 통과하게 됩니다. 그에 따라 아래처럼 작성하는 것이 더 정확한 테스트라고 생각이 되는데 이렇게 테스트하지 않는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it('특정 시간이 지난 후 함수가 호출된다.', () => { const spy = vi.fn(); const debouncedFn = debounce(spy, 300); debouncedFn(); expect(spy).not.toHaveBeenCalled(); // 즉시 호출되지 않았는지 확인 vi.advanceTimersByTime(299); expect(spy).not.toHaveBeenCalled(); // 299ms 후에도 호출되지 않았는지 확인 vi.advanceTimersByTime(1); expect(spy).toHaveBeenCalledTimes(1); // 300ms 후에 정확히 한 번 호출되었는지 확인 expect(spy).toHaveBeenCalled(); });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기본 강의
몽고db 연결 오류가 납니다 위에껀 입력한 코드, 아래껀 터미널이에요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5000 const mongoose = require('mongoose') mongoose.connect('mongodb+srv://newlifecode:1234@newlifecode.f0tau.mongodb.net/test?retryWrites=true&w=majority&appName=newlifecode' , { useNewUrlParser: true, useUnifiedTopology: true, }) .then(() => console.log('MongoDB Connected...')) .catch(err => console.error('MongoDB Connection Error:', err.message)); app.get('/', (req, res) => { res.send('Hello World!') }) app.listen(port, () => { console.log(`Example app listening on port ${port}`) }) PS C:\Users\USER\Documents\boiler-plate> npm run start > boiler-plate@1.0.0 start > node index.js (node:7628) [MONGODB DRIVER] Warning: useNewUrlParser is a deprecated option: useNewUrlParser has no effect since Node.js Driver version 4.0.0 and will be removed in the next major version (Use `node --trace-warnings ...` to show where the warning was created) (node:7628) [MONGODB DRIVER] Warning: useUnifiedTopology is a deprecated option: useUnifiedTopology has no effect since Node.js Driver version 4.0.0 and will be removed in the next major version node:events:496 throw er; // Unhandled 'error' event ^ Error: listen EADDRINUSE: address already in use :::5000 at Server.setupListenHandle [as _listen2] (node:net:1907:16) at listenInCluster (node:net:1964:12) at Server.listen (node:net:2066:7) at Function.listen (C:\Users\USER\Documents\boiler-plate\node_modules\express\lib\application.js:635:24) at Object.<anonymous> (C:\Users\USER\Documents\boiler-plate\index.js:19:5) at Module._compile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546:14) at Object..js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689:10) at Module.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318:32) at Function._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128:12) at TracingChannel.traceSync (node:diagnostics_channel:315:14) Emitted 'error' event on Server instance at: at emitErrorNT (node:net:1943:8) at process.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90:21) { code: 'EADDRINUSE', errno: -4091, syscall: 'listen', address: '::', port: 5000 } Node.js v22.11.0 PS C:\Users\USER\Documents\boiler-plate> npm run start > boiler-plate@1.0.0 start > node index.js (node:860) [MONGODB DRIVER] Warning: useNewUrlParser is a deprecated option: useNewUrlParser has no effect since Node.js Driver version 4.0.0 and will be removed in the next major version (Use `node --trace-warnings ...` to show where the warning was created) (node:860) [MONGODB DRIVER] Warning: useUnifiedTopology is a deprecated option: useUnifiedTopology has no effect since Node.js Driver version 4.0.0 and will be removed in the next major version node:events:496 throw er; // Unhandled 'error' event ^ Error: listen EADDRINUSE: address already in use :::5000 at Server.setupListenHandle [as _listen2] (node:net:1907:16) at listenInCluster (node:net:1964:12) at Server.listen (node:net:2066:7) at Function.listen (C:\Users\USER\Documents\boiler-plate\node_modules\express\lib\application.js:635:24) at Object.<anonymous> (C:\Users\USER\Documents\boiler-plate\index.js:19:5) at Module._compile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546:14) at Object..js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689:10) at Module.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318:32) at Function._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128:12) at TracingChannel.traceSync (node:diagnostics_channel:315:14) Emitted 'error' event on Server instance at: at emitErrorNT (node:net:1943:8) at process.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90:21) { code: 'EADDRINUSE', errno: -4091, syscall: 'listen', address: '::', port: 5000 }
-
해결됨손에 익는 Next.js - 블로그 만들기
배포 후, 조회수 증가 이슈
안녕하세요 조은님!강의 즐겁게 수강했습니다 🤓 다른게 아니라 배포 후 발견한 문제 때문에 질문 드립니닷!로컬에서는 문제없이 새로고침할 때마다 조회수가 1씩 증가하는데용배포 후에는 조회수가 3씩 증가 하고 있습니닷 🤔(포스팅 갯수도 3개여서 관련이 있을 거라고 생각되는데욤..) 제 코드는 강의와 약간 다른 점이 있습니닷!현재 Vercel에서는 기존 Vercel Postgres를 대체하는 Neon Marketplace 통합으로 변경되었는데요(자세히는 잘 모르겠습니닷.. 관련 링크를 첨부합니닷..)https://vercel.com/docs/storage/vercel-postgreshttps://vercel.com/changelog/neon-now-available-on-vercel-marketplace그래서 강의와는 다른 import { neon } from "@neondatabase/serverless"; 를 불러와서 사용 중입니닷"use server"; import { neon } from "@neondatabase/serverless"; import { unstable_noStore as noStore } from "next/cache"; const sql = neon(`${process.env.DATABASE_URL}`); export async function getViewsCount(): Promise< { slug: string; count: number; }[] > { if (!process.env.POSTGRES_URL) { return []; } noStore(); const rows = await sql` SELECT slug, count FROM views `; return rows.map((row) => ({ slug: row.slug, count: row.count, })); } export const incrementView = async (slug: string) => { noStore(); await sql` INSERT INTO views (slug, count) VALUES (${slug}, 1) ON CONFLICT (slug) DO UPDATE SET count = views.count + 1; `; };다른 분들도 저와 비슷한 오류가 생길지 궁금한데용.. 혹시 배포 후 조회수 증가를 확인해주실 수 있을까용..? 감사합니다!
-
해결됨[React / VanillaJS] UI 요소 직접 만들기 Part 2
스낵바를 만들 때 snackBarContext와 snackBarSetContext
스낵바를 만들 때 snackBarContext와 snackBarSetContext를 둘로 나누셔서 관리하는데 이렇게 하신 이유나 장점을 정확히 알 수 있을까요?단점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쇼핑몰 사이트 만들기[전체 리뉴얼]
오버로드 오류
강사님. 강의를 따라하다가 App.js에 오버로드오류가 나타나는데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난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msw 쿠키 관련 궁금증!
안녕하세요, 강좌들으며, msw를 프로젝트에 도입하다 궁금한점이 있어 남깁니다!현재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여, 로그인 성공시, 위와 같이, 데이터와, 쿠키를 동시에 세팅해주고 있는 상황입니다!실제로 아래와 같이, response들은 잘 넘어오나response headers에 쿠키가, 오지 않아, 실제로 스토리지에 쿠키가 담기지 않습니다!원래, 가상으로 심어주는 쿠키는, 브라우저의 쿠키에 담기지 않는건가요?? 궁금하여 질문남깁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무 중심! FE 입문자를 위한 React
Chapter 4-2 React랜더링과정 설명중 자료가 틀리게 적어져있네요..
Chapter 4-2 React랜더링과정 설명중 강의자료 코드 이미지가 잘못되있어요..강의자료 (처음부터 ~ 2분까지나오는 내용)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0);........중간생략 setValue((state) => state +1) 로 되어있는데.. => 틀린부분onClick 이벤트를 실행할때마다 value값이 1씩 증가하도록 setValue 값을 설정했다고 하는데.. setValue((value) => value +1) 로 되야하는건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