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TestConfig에서 메서드와 return에 관한 질문입니다.
@Configuration static class TestConfig { @Bean public DiscountPolicy rateDiscountPolicy() {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Bean public DiscountPolicy fixDiscountPolicy() {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 }1. 여기서 메서드와 return의 관계는 DiscountPolicy rateDiscountPolicy = new RateDiscountPolicy(); 와 같이 다형성을 동반한 관계로 보면 될까요?2. 일반적으로 @Bean이 붙은 메서드의 이름으로 빈 이름이 지정되어 올라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구현체도 빈 안에 같이 구현된다고 보면 될까요...?타입으로 빈을 조회하는 경우에 메서드의 타입으로 생각을 해서 DiscountPolicy.class 타입으로만 조회하는 줄 알았는데 @Test @DisplayName("특정 하위 타입으로 조회") void findBeanBySubType() { RateDiscountPolicy bean = ac.getBean(RateDiscountPolicy.class); assertThat(bean).isInstanceOf(RateDiscountPolicy.class); }여기선 RateDiscountPolicy.class 타입으로 빈을 조회하는 것으로 나와서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프로토타입에 프록시 적용해보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 프로토타입 예시에 프록시를 적용해 보았습니다.의도한 대로 다른 인스턴스를 호출해주는 것 까진 되는 걸 확인했습니다.다만 로그에 CGLIB라는 라이브러리로 상속 받은 가짜 프록시 객체라고 나오지 않는 것 같고, addCount 로직이 적용이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프로토타입 빈에는 프록시를 적용하면 안되는 걸까요? 왜그런걸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Hashset 자료구조에 대해서 질문 있습니다!
김영한 멘토님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질문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HashSet 자료구조를 사용해 객체를 저장할때, HashCode와 equals를 재정의 해야한다고 말씀해 주셨는데요. 정말 멘토님 말대로 재정의 하지 않으면 값이 중복되어서 저장되었습니다. 근데 궁금한것은 HashSet 자료구조이기에 HashCode를 사용하는것은 아는데, 그 이전에 자료구조가 Set의 기반의 자료구조인데 Set은 원래도 중복된 값을 허용하지 않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근데 왜 HashCode를 재정의해야 그때서야 값이 중복되어서 저장되지 않는것인가요? 애초에도 Set 기반의 자료구조인데 말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중복 오류 테스트 시 assertThrows 사용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Test @DisplayName("타입으로 조회 시 같은 타입이 둘 이상 있으면, 중복 오류가 발생한다.") void findBeanByTypeDuplicate() { assertThrows(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class, () -> ac.getBean(MemberRepository.class)); }강의에선 assertThrows 를 사용하기 전에 먼저 터트려보고 예외 클래스 이름을 확인 후에 assertThrows를 이용하는 것 같은데 실제 테스트에서도 이렇게 진행되나요...?Assertions를 assertThat으로 축약시킬때 static 을 import 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있는데 항상 이렇게 Assertions부터 적고 단축키로 import 해서 바꾸는 순서로 진행해야할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똑같은 변수의 이름을 바꿀때 한번에 바꾸는 단축키가 먼가요? 강의에서는 shift + f6 이라고 나오는데 맥북은 단축키가 먼지 궁긍하네요 ㅠ
똑같은 변수의 이름을 바꿀때 한번에 바꾸는 단축키가 먼가요? 강의에서는 shift + f6 이라고 나오는데 맥북은 단축키가 먼지 궁긍하네요 ㅠ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아이템 장착 Pt.1 ~ Pt.2 파트 문의
안녕하세요 선생님유니티 왕초보 질문 드립니다.강의 수강 도중 Pt.1 마지막 부분 Equipment UI 창 부분에서아이템 클릭 시 모든 아이템의 백그라운드 이미지가 Legendary(빨강색)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Pt.2 파트로 넘어오니 작업한 게 없는거 같은데 각 아이템의 백그라운드 이미지가 등급에 맞게 조절되어 있는거 같습니다.현재 Pt.4 파트 수강 중인데 아이템 장착 / 탈착 시각 파츠에 EquippedItemIcon이 제대로 표기되지 않는거 같아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는 학생입니다. 섹션 7 - 옵션관리 강의를 들으면서 아래 링크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David님께서 답변해주신 대로 해서 해결은 했습니다. 하지만, 추가적으로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드려요! 왜 MemberServiceImpl에서 MemberRepository 주입 대상이 2개가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 에러 문구를 읽어보니 memoryMemberRepository와 memberRepository가 있다고 하는데 이해가 잘 안됩니다. 제가 강의를 들으면서 @ComponentScan에 대해 이해한 바로는 스캔 대상이 @Component,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Configuration인데 아직 @Component, Configuration 외에 다른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는 않았고, MemberServiceImpl에 주입하는 MemberRepository 타입에 해당하는 구체화된 클래스는 MemoryMemberRepository 클래스 하나밖에 없지 않나요? 제가 어디를 놓쳤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1328229/illegalstateexception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스캔범위질문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Core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CoreApplication.class, args); } }Coreapplication을 실행을 하면 1번과 2번중 뭐가 맞는 건가요??1. AutoConfig에서 @Configuration이 붙은 것은 스캔하지 않도록 설정했으니 AppConfig의 빈은 생성되지 않는다@SpringBootApplication 가 스캔을 하기 때문에 AppConfig의 빈도 성성된다. @Configuration @ComponentScan( basePackages = "hello2.core", excludeFilters = @ComponentScan.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Configuration.class) ) public class AutoAppConfig {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ppConfig관련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서 memberService()와 orderService() 둘 다 새로운 MemoryMemberRepository를 주입 시킵니다. 그러면 서로 다른 참조값인데 다른 저장소에 저장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getter메소드에 락관리
3:05에서 getBalance()에서 계속 동시성 관리를 하는 이유가 메모리가시화 문제 때문인가요? 만약 그런거라면 앞으로 멀티스레드환경에 노출된 인스턴스변수들은 단순 반환만하는 getter메소드에서도 무조건 volitile이나 락관리를 해야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질문
이런 문제들 너무 너무 좋은데, 혹시 영한님이 직접 손수 만드신 문제인가요?아니면 이런 문제들 풀 수 있는 전문적인 사이트라던가 참고할수 있는 링크나 문제집이나 강의 추천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LockSupport.park()의 isInterrupted() 질문
안녕하세요. 김영한님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바보 같은 질문일 수 있지만, Thread.sleep()과는 다르게 LockSupport.park()는 interrupt()를 이용해서 깨어나도 isInterrupted()가 true인 이유가 궁금합니다.그냥 단순히 InterruptedException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일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적성....
냉정하게 적성이 없지만 꾸역꾸역 만들어가고 있는 사람입니다.. 여러분 화이팅!!!!!!!!!!!!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this 질문
그러면 main 메소드 내에Thread thread1 = new Thread(..);Thread thread2 = new Thread(..); 이걸 실행하면main 스택프레임내에 참조변수가 저장이될텐데thread1,thread2가 아닌 this로 저장된다는건가요? 그러면 예를들어, 참조변수 a의 메소드를 실행하게된다면 먼저 스택프레임내에서 참조변수에서 실제 인스턴스가 저장된 힙 주소를 꺼내어서 그 힙주소로 간다음 메소드를 가져오는게 아니라 참조변수 a가 아닌 this 인거죠?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getBeanDefinitionNames();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스프링 강의 중 bean등록 후에 test 에서 빈출력 부분 beanDefinition관련해서 질문드려요. 현재 자바 17버전 build, run using, tests using 전부 IntelliJ IDEA 인데, 밑에 에러처럼 TestDescriptor 를 찾을 수 없다고 에러가 계속 나고 있습니다ㅠㅠ... 구글링해보니 pom.xml 에서 Junit 버전을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고 돼있는데 pom.xml조차 제 프로젝트에서 찾을 수가 없어서 문의드려요.. 이 경우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강의 자료 어디에서 받아볼 수 있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수업자료 (문제풀이)만 보면서 직접 풀어보고 싶은데 자료는 어디서 받아볼 수 있을까요?
-
해결됨파이썬 알고리즘 트레이딩 파트2: Interactive Brokers API를 활용한 실시간 알고리즘 트레이딩
타임시리즈 데이터 가져오기에서 에러원인이 무엇인가요?
stock-trading-eda-scheduled.ipynb 파일에서데이트 타임을 당겨오면 아래와 같은 에러메세지가 출력됩니다. 어떤 현상인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스레드와 메모리영역 질문
1:31 경에 쓰레드1,2,3 3개의 객체를 만들고 실행하잖아요 그러면 1:49 그림에서 3개의 인스턴스가 그려져야하는거 아닌가요?반복문을 통해 Thread를 100개 실행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thread 참조변수에 Thread 객체를 생성하고 있던데, 그렇다면 for문 순회하나하고 블록 종료시점에 스택프레임이 제거되어 thread 참조변수는 제거될것이고 힙영역에 Thread 객체가 존재하다가 나중에 GC 실행시점에 Thread 객체가 지워질것으로 보이는데 맞나요? 만약 그렇게 Thread 객체가 지워진다면 실행중이던 스레드도 중단되나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메서드 영역에 static 변수?
자바 8부터 Heap 영역에 Static Object(Static Variable, static객체 , static method)이 존재하고MetaSpace에는 static reference만 저장한다고 아래 글에서 읽었습니다.https://openjdk.org/jeps/122어떤게 맞는건가요? 제가 오역한거같지는 않은게 다른 분들도 그렇게 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https://jgrammer.tistory.com/entry/JAVA-Java8%EB%B6%80%ED%84%B0%EB%8A%94-static%EC%9D%B4-heap%EC%98%81%EC%97%AD%EC%97%90-%EC%A0%80%EC%9E%A5%EB%90%9C%EB%8B%A4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12장 퀴즈 runnableSet 질문
퀴즈 풀이 진행시저는 _03_JOIN 에서 사용한 것 처럼 클래스 내부에 함수를 만들어서 호출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했습니다. 코드package chap_12; public class _Quiz_1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kg pkg1 = new Pkg(); Pkg pkg2 = new Pkg(); Runnable a = new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String name = "A"; int number = 1; for (int i = 1; i <= 5; i++) { pkg1.pack("A"); } System.out.println(" -- A 상품 준비 완료 -- "); } }; Runnable b = new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String name = "B"; int number = 1; for (int i = 1; i <= 5; i++) { pkg2.pack("B"); } System.out.println(" -- B 상품 준비 완료 -- "); } }; Thread pkgA = new Thread(a); Thread pkgB = new Thread(b); pkgA.start(); pkgB.start(); try { pkgA.join(); pkgB.join();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Dmz(); } public static void Dmz() { for (int i = 1; i <= 5; i++) { System.out.println("세트 상품 포장 시작 " + i + "/5"); } System.out.println(" == 세트 상품 포장 완료 == "); } } class Pkg { public int number = 1; public void pack(String name) { // 직원 1 : 3번방 청소 완료 System.out.println(name + "상품 준비 " + number + "/5"); number++; } } 영상에서는 이전과 다르게 Runn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서? 하는걸 보았습니다결과는 똑같이 나오는데 기능적으로나 프로그램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