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AWS SAA-C03 자격증 대비-문제 풀이
선생님 정말 죄송하지만 수강기간 조금만 연장 안될까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는지 검색해보세요.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핑계지만 여러사정상 이제서야 수강 하려고 하는데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아서요...꼭 강의 듣고 합격해서 합격 수기 수강평 남겨놓겠습니다 ㅠㅠ부탁드립니다
-
미해결
수강 연장 문의
안녕하세요! 기한 내 강의를 다 듣지 못하였는데, 수강 연장이 가능할까요??올해 안에 꼭 완강하고 싶어 문의남깁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CSS&JS Master] - 트렌디한 감정기록 일기장 만들기
일기 만들기 노션 링크가 어디있나요?
마지막 섹션에 있는 강의 자료에는 코드만 있는데일기 만들기 노션링크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
미해결바닥부터 시작하는 STM32 드론 개발의 모든 것
Fs-i6 i-bus 수신 데이터 이상
터미널로 보이는 FS-i6 수신데이터가 이상합니다.i-bus 데이터가 20 40으로 시작해야하는데,저는 DC 05로 데이터가 시작합니다.그리고 데이터가 짧은 이유는 제가 FS-i6 펌웨어 업데이트를 안해서인가요? 또한, FS-i6을 켜놓고 1분정도 지나면 수신기랑 연결된 상태인데도 5초 주기로 삐리릭?하는 비프음이 주기적으로 들려요. 이건 왜 그런건가요?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함수나 변수 작성(선언?) 위치 선택 기준
아래의 코드를 기준으로 했을때, getMonthlyData함수는 Home 컴포넌트의 바깥에서 작성해주고 있고, 그외에 onIncreaseMonth같은 것은 Home 내부에 작성해주고 있는데, 매번 이런 작성 위치가 헷갈리더라고요. 작성 위치를 정하는 명확한 기준이 따로 있을까요??import { useState, useContext } from "react"; import { DiaryStateContext } from "../App"; import Header from "../components/Header"; import Button from "../components/Button"; import DiaryList from "../components/DiaryList"; const getMonthlyData = (pivotDate, data) => { const beginTime = new Date( pivotDate.getFullYear(), pivotDate.getMonth(), 1, 0, 0, 0 ).getTime(); const endTime = new Date( pivotDate.getFullYear(), pivotDate.getMonth() + 1, 0, 23, 59, 59 ).getTime(); return data.filter( (item) => beginTime <= item.createdDate && item.createdDate <= endTime ); }; const Home = () => { const data = useContext(DiaryStateContext); const [pivotDate, setPivotDate] = useState(new Date()); const monthlyData = getMonthlyData(pivotDate, data); const onIncreaseMonth = () => { setPivotDate(new Date(pivotDate.getFullYear(), pivotDate.getMonth() + 1)); }; const onDecreaseMonth = () => { setPivotDate(new Date(pivotDate.getFullYear(), pivotDate.getMonth() - 1)); }; return ( <div> <Header title={`${pivotDate.getFullYear()}년 ${pivotDate.getMonth() + 1}월`} leftChild={<Button onClick={onDecreaseMonth} text={"<"} />} rightChild={<Button onClick={onIncreaseMonth} text={">"} />} /> <DiaryList /> </div> ); }; export default Home;
-
미해결초보자도 딱 10일만에 쿠버네티스 감 잡기
라이브 채팅 오류
안녕하세요!! 챌린지 참여하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오늘 라이브도 넘 유익했습니다! 제가 퇴근이 늦어져서 모바일로 참여했는데 이게 플랫폼 문제인지 채팅이 잘 전송이 안되더라구요ㅠㅠ (다른 참여하신 분들도 비슷한 문제를 겪고 채팅이 잘 안되지 않았을까 싶어요!) 라이브때 꼭 여쭤보고 싶은 질문이 있었는데 여기에 남겨봅니다 ㅎㅎ- 10일간의 챌린지 과정 이후에 어떤식으로 쿠버네티스 관련 학습을 이어나가면 좋을까요?- 현재 실무에서 AWS ECS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배포 및 관리하고 있는데 아직은 기초 부분만 배워서 그런걸 수 있지만 아직 가진 비슷한 기능 위주더라구요! 어느점이 가장 차이가 크고 (EKS 등의 쿠버네티스 기반과 비교해서) 그리고 어느 시점에 EKS로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해지는 시점이라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
해결됨PCB HW설계 실무 : STM32를 활용한 Mixed-signal 보드 설계 프로젝트
LDO Bulk cap 사용가능 여부
3.3V LDO 설계시 강의에서는 출력단에 10uF을 인가했는데, 입력단에는 EMC/EMI를 고려하여 데이터 시트보다 47uF cap을 인가해도 될까요?아니면 LD1117의 데이터시트에서 입력단에 100nF의 cap을 인가했는데 강의에서 인가한 10uF은 이미 큰 cap인가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백트래킹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수강생 조돌이입니다. :) 강사님께서는 백트래킹 정의를 "완전탐색(Brute Force)과 가지치기(Pruning)를 결합한 방식으로, 모든 가능한 해를 찾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탐색을 줄여준다." 라고 정의하시는데요. 원상복구 방식은 백트래킹 방식과 연관되지 않나요?예전에 백트래킹에 대해서 공부한 기억이 있는데, 강사님께서 말씀하시는 원상복구를 백트래킹이라고 이해하고 있었습니다.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_ _)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성능 측정시
이력서에 넣을 성능을 측정할 때단순한 쿼리 실행 속도나 API 응답 속도까지로컬이 아니라 aws에 띄워서 비교하는 게 좋을까요?
-
미해결코어 자바스크립트
setTimeout 에서 this
영상에서 setTimeout()함수 예제를 설명하실 때 setTimeout()은 this 를 별도로 처리하고 있지 않아서 전역객체로 나온다는 설명이 있는데 이 말이 setTimeout()에서 콜백함수를 별다른 처리없이 함수로써 호출하고만 있다는 뜻인가요?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one과 two의 값지정
🚨 필독) 질문하시기 전에 꼭 읽어주세요 (10초 소요)제목을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세요✅ 좋은 예 : 감정일기장 Home 구현중 xx 이슈가 발생합니다.⛔️ 나쁜 예 : 이거 왜 안되나요?, 오류나요 도와주세요 등비슷한 궁금함을 갖고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코드의 이슈는 전체 프로젝트를 "링크 형태"로 올려주셔야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깃허브, 구글드라이브 등의 수단을 통해 링크 형태로 전달해주세요직접 실행해보며 원인을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텍스트 형태로 붙여넣는건 삼가해주세요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답글 or 해결완료 버튼을 클릭해주세요비슷한 궁금함을 갖고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어요!제 답변이 여러분께 도움이 되었는지 저도 알고 싶어요 🥲 강의 내용에 궁금한 점이 있다면 몇 챕터의 몇 분 몇 초인지 알려주시면 더 좋아요더 빠른 답변이 가능합니다!2.4 강의 중rest매개변수 부분에서 // 2. Rest 매개변수 // -> Rest는 나머지, 나머지 매개변수 function funcB(one,two,...rest) { console.log(rest); } funcB(...arr1); 여기서 혹시 one과 two에 값을 지정할 수 있는 방법도 있을까요?? one = 10, two =20 해서 console.log()로 찍어봤을 때 10, 20 ,...이 되게 하는 방법이 있는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드 없이 피그마 디자인 그대로! Bubble.io로 웹사이트 만들기
시작하세요 색션 만들기
제가 너무 귀찮게해서 죄송합니다...컨테이너-그룹을 추가하면 위에 있는 그림과 그룹 사이에 여백이 생겨요 ㅠㅠ
-
해결됨React Native with Expo: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혹시 해당 강의 보면서 테스트용으로 사용할 맥북을 구매할 예정인데 어느정도 스펙 이상으로 사야 할지 의견 받아볼수있을까요?
혹시 해당 강의 보면서 테스트용으로 사용할 맥북을 구매할 예정인데 어느정도 스펙 이상으로 사야 할지 의견 받아볼수있을까요?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심화편)
이진탐색트리/AVL트리/RB트리를 바라보는 관점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지금 Red Black 트리까지 수강을 하였는데, 제가 이 강의 수강 이후 본격적인 코딩테스트 준비를 할 예정이어서 이와 관련한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이진탐색알고리즘, 이진탐색트리, AVL트리, RB트리까지 공부한 후에 사실 가장 먼저 느꼈던 점은 코딩테스트에 이러한 자료구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었습니다. 단순히, 이러한 복잡한 구현과정을 경험하고 기본적인 알고리즘 구현 역량을 향상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두는 것이 좋을지, 이러한 자료구조를 코딩테스트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에 대해 좀 더 공부해보는 것이 좋을지..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 좋을지 선생님께 문의드리고자 합니다(AI답변보다는 선생님의 생각이 더 궁금합니다..!). 자료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하지만 가볍지 않게 다룰 수 있도록 좋은 강의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블렌더 3D 미피 캐릭터 인사하는 애니메이션 만들기
연결은 잘 됐는데 팔과 눈이 같이 움직여요ㅠㅠ
막힌 부분의 시간(예를들면 3:24)과 안 되는 부분과 현상을 자세히 써주셔야 해결이 빠릅니다. 5강 16:00문제되는 물체를 선택한 상황에서 일부가 아닌 전체 스크린샷 사진을 첨부해주시면 훨씬 좋습니다.안녕하세요 선생님 연결은 잘 되었는데, 팔을 들면 눈이 살짝 움직여요ㅠㅠ
-
해결됨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데이터 로그 설계 과제 작성
안녕하세요! 강의로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ㅎㅎ로그설계 과제 3가지 고민해봤는데 보완할 부분이 있을지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tracking plan: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S36ZEYrGKfPNSSxDRyfEP8klFdYA0j42uE52zg9dTp0/edit?usp=sharing피그마 기획서를 보고 page별로 이벤트를 적는게 편해서 양식을 일부 수정했는데 이런 식으로 작성해도 괜찮을까요? [1] 기능이 잘 동작하는지 확인하기메인지표=각 영역의 클릭 횟수, 클릭률배너 영역: click_banner/view_home메뉴 카테고리 영역: click_food_category/view_home음식추천 영역: click_recommend_food/view_home동네맛집 영역: click_best/view_home잘 동작한다면배너 view_banner_content/click_banner=1 (banner_id별로 확인)메뉴카테고리 view_food_category/click_food_category=1 (food_category별로 확인)음식추천 ???/click_recommend_food=1 추천된 음식을 구분하는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동네맛집 ???/click_recommend_restaurant=1 마찬가지로 동네맛집 영역에 노출된 식당을 구분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2] 검색 만족도 지표만족 정의하기: 사용자가 검색을 통해 원하는 메뉴 또는 식당을 찾았다지표 정의하기① 검색기능 이용 비율=view_search_result/view_home② 검색 완료 비율=view_search_result/view_search (검색영역 진입 후 이탈하지 않고, 실제로 검색 수행까지 완료한 경우)③ 무결과 검색률 (무결과가 적을수록 검색의 질이 높은 것으로 판단)분자: view_search_result(result_number=0)분모: view_search_result④ 검색결과 페이지 내에서 특정 음식(예: 치킨 너겟)의 클릭율분자: click_food(food_name=”치킨 너겟”)분모: view_search_result [3] 검색 필터 기능의 활성화 지표필터 활성화 정의하기: 기본 검색보다 필터를 사용한 경우가 더 많다지표 정의하기① 필터 적용 비율=view_filter_result/view_search_result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삼성 싸피 (난이도 실버수준) 준비하려면 3주차까지면 충분할까요?
큰돌의터전님 혹시 단톡방 참여 못하나요?? 그리고 삼성 싸피 (난이도 실버수준) 준비하려면 3주차까지면 충분할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8강 8분 54초 Electric Car 문제 질문드려요
ElectricCar() 이 자식이라 부모를 불러와야한다는건 알겠는데 불러오는 부모가 class Car 을 불러오는건가요,아님 public Car() 을 불러오는건가요? public Car() 를 불러오는거라 "Car created" 만 출력하는거고 그 밑에 있는 startEngine() 은 부르지않는게 맞는건지 궁금해요
-
미해결React Native with Expo: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find' of undefined] 문제
제로초님 안녕하세요!! 강의에 나온대로 top tabs 적용중인데, withLayoutContext에 제네릭 타입까지 강의와 같이 적용하려고 했으나import type { TabNavigationState, ParamListBase } from '@react-navigation/native';위 코드에서 '"@react-navigation/native"' 모듈에 내보낸 멤버 'ParamListBase'이(가) 없습니다.ts(2305)ParamListBase를 불러오지 못해서 우선 타입스크립트 적용하지 않고 아래 코드와 같이 테스트했습니다.import { withLayoutContext } from 'expo-router'; import { createMaterialTopTabNavigator } from '@react-navigation/material-top-tabs'; import { Text, View } from 'react-native'; import { useSafeAreaInsets } from 'react-native-safe-area-context'; const { Navigator } = createMaterialTopTabNavigator(); export const MaterialTopTabs = withLayoutContext(Navigator); const GitCallbackLayout = () => { const insets = useSafeAreaInsets(); return ( <View style={{ paddingTop: insets.top }}> <Text>Callback Layout</Text> <MaterialTopTabs> <MaterialTopTabs.Screen name="index" options={{ title: 'GitHub' }} /> <MaterialTopTabs.Screen name="gitlab" options={{ title: 'GitLab' }} /> <MaterialTopTabs.Screen name="bitbucket" options={{ title: 'Bitbucket' }} /> <MaterialTopTabs.Screen name="devops" options={{ title: 'DevOps' }} /> </MaterialTopTabs> </View> ); }; export default GitCallbackLayout; 폴더 구조는 아래와 같고 index, gitlab, devops, bitbucket 컴포넌트는 모두 default export 돼있는 상태입니다.이 상태에서 페이지에 /settings/manage-git/verify 경로로 접근하면 ERROR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find' of undefined] Code: _layout.tsx 31 | <View style={{ paddingTop: insets.top }}> 32 | <Text>Callback Layout</Text> > 33 | <MaterialTopTabs> | ^ 34 | <MaterialTopTabs.Screen name="index" options={{ title: 'GitHub' }} /> 35 | <MaterialTopTabs.Screen name="gitlab" options={{ title: 'GitLab' }} /> 36 | <MaterialTopTabs.Screen name="bitbucket" options={{ title: 'Bitbucket' }} />이렇게 에러가 나는 상황인데,, 계속 해결이 안되네요ㅠ 어떤 문제인지 아시면 도움 부탁드려요
-
해결됨직장인에게 꼭 필요한 파이썬-아래아한글 자동화 레시피
한글 자동화 삽도 삽입!!
안녕하세요 강의 보면서 한글 자동화 겉핥기 중인 수강생입니다.현재 제가 관리카드 형식의 한글 자동화를 템플릿을 통해 만들고있습니다.엑셀에 로우데이터 입력 후 엑셀 입력된 데이터들을 한글 템플릿 표 안에 원하는 위치에 까진 입력을 한 상태입니다만.이후 한글 템플릿 표 안에 삽도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막혔습니다.ai를 통해 질문해보고 다시 코드를 짜보고 있으나 계속 삽도부분에서 막혀 질문드립니다.import os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from io import BytesIO import pandas as pd import win32clipboard import win32com.client as win32 from PIL import Image import time def init_hwp(visible=False): """ 아래아한글 시작 """ hwp = win32.gencache.EnsureDispatch("hwpframe.hwpobject") hwp.XHwpWindows.Item(0).Visible = True hwp.RegisterModule("FilePathCheckDLL", "FilePathCheckerModule") return hwp def get_nst_table(n): """ n번째 표 앞으로 이동 n은 0부터 시작함. """ ctrl = hwp.HeadCtrl count = 0 while ctrl: if ctrl.CtrlID == "tbl": if count == n: hwp.SetPosBySet(ctrl.GetAnchorPos(0)) break else: ctrl = ctrl.Next count += 1 else: ctrl = ctrl.Next def insert_text(text): """ 문서에 텍스트 삽입 """ hwp.HAction.GetDefault("InsertText", hwp.HParameterSet.HInsertText.HSet) hwp.HParameterSet.HInsertText.Text = text hwp.HAction.Execute("InsertText", hwp.HParameterSet.HInsertText.HSet) def get_text(): """ 문서 선택범위의 문자열을 추출 """ hwp.InitScan(Range=0xff) total_text = "" state = 2 while state not in [0, 1]: state, text = hwp.GetText() total_text += text hwp.ReleaseScan() return total_text def append_hwp(filename): """ 문서 끼워넣기 """ hwp.HAction.GetDefault("InsertFile", hwp.HParameterSet.HInsertFile.HSet) hwp.HParameterSet.HInsertFile.KeepSection = 0 hwp.HParameterSet.HInsertFile.KeepCharshape = 0 hwp.HParameterSet.HInsertFile.KeepParashape = 0 hwp.HParameterSet.HInsertFile.KeepStyle = 0 hwp.HParameterSet.HInsertFile.filename = filename hwp.HAction.Execute("InsertFile", hwp.HParameterSet.HInsertFile.HSet) def 사진리스트추출(): """ '삽도폴더' 하위의 모든 서브폴더에서 모든 그림 파일 경로를 추출하여 단일 리스트로 반환합니다. """ all_pic_paths = [] # "삽도폴더"의 경로를 설정합니다. (현재 스크립트 위치 기준) 삽도폴더_경로 = os.path.join(os.getcwd(), "삽도폴더") # "삽도폴더"가 존재하는지 확인합니다. if not os.path.exists(삽도폴더_경로): print(f"경고: '{삽도폴더_경로}' 폴더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return [] # os.walk를 사용하여 서브폴더를 포함한 모든 파일을 탐색합니다. for root, _, files in os.walk(삽도폴더_경로): for file in files: # 이미지 파일 확장자를 확인합니다. 필요에 따라 추가/수정 가능합니다. if file.lower().endswith((".png", ".jpg", ".jpeg", ".gif", ".bmp")): all_pic_paths.append(os.path.join(root, file)) return all_pic_paths # 사용 예시: # 이 함수를 호출한 결과를 사진리스트 변수에 저장해야 합니다. # 예: 사진리스트 = 사진리스트추출() def 사진제목추출(): 제목사전 = defaultdict(list) 제목리스트 = [] for 사진파일 in 사진리스트: 파일명 = os.path.basename(사진파일) 본문, _ = os.path.splitext(파일명) if "_" not in 본문: continue 연번, 삽도종류 = 본문.split("_", 1) 제목명 = f"{연번}_{삽도종류}" if 제목명 not in 제목리스트: 제목리스트.append(제목명) 제목사전[제목명].append(사진파일) return 제목리스트, 제목사전 def 클립보드로_이미지_삽입(filepath): """ 한/글 API의 InsertPicture 메서드는 셀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는 반면(이미지가 찌그러짐) 클립보드를 통해 이미지를 삽입하면 이미지의 종횡비에 맞춰 셀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됨. """ 이미지 = Image.open(filepath) 아웃풋 = BytesIO() 이미지.convert('RGB').save(아웃풋, 'BMP') 최종데이터 = 아웃풋.getvalue()[14:] 아웃풋.close() win32clipboard.OpenClipboard() win32clipboard.EmptyClipboard() win32clipboard.SetClipboardData(win32clipboard.CF_DIB, 최종데이터) win32clipboard.CloseClipboard() hwp.Run("Paste") def 첫번째행으로_이동(): """ 표의 A2 셀로 이동 """ hwp.Run("TableColBegin") hwp.Run("TableColPageUp") hwp.Run("TableLowerCell") hwp.Run("TableCellBlock") def 위셀과병합(): """ 제목 그대로임 """ hwp.Run("TableDeleteCell") # 아래 셀 내용을 지운 후 hwp.Run("TableCellBlockExtend") # 셀 다중선택모드 hwp.Run("TableUpperCell") # 위 셀까지 선택 hwp.Run("TableMergeCell") # 선택된 셀 병합 hwp.Run("TableCellBlock") # 다시 셀 선택 모드 def 다음페이지로(): """ 표에서 나와서 문서 끝으로 이동 후 Ctrl-Enter를 통해 다음페이지로 넘어감 """ hwp.Run("Cancel") hwp.Run("MoveTopLevelEnd") hwp.Run("BreakPage") def 완료메시지(): msgbox = hwp.XHwpMessageBox # 메시지박스 생성 msgbox.string = "문서작성을 완료하였습니다." msgbox.Flag = 0 # [확인] 버튼만 나타나게 설정 msgbox.DoModal() # 메시지박스 보이기 if __name__ == '__main__': hwp = init_hwp() # hwp.Open(os.path.join(os.getcwd(), "예시파일.hwp")) hwp.Run("FileOpen") os.chdir(hwp.Path.rsplit("\\", maxsplit=1)[0]) # 현재 열린 문서가 위치한 경로로 이동 df = pd.read_excel(os.path.join(os.getcwd(), "관리카드 데이터 정리.xlsx")) 사진리스트 = 사진리스트추출() 사진리스트 제목리스트, 제목사전 = 사진제목추출() 제목리스트 제목사전 관리카드_리스트 = df pd.set_option('display.max_rows', None) 관리카드_리스트 # ===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NaN 값을 빈 문자열로 채우는 코드 === 관리카드_리스트 = 관리카드_리스트.fillna('') 훼손지_리스트 = [i.split("_")[0] for i in 제목리스트] 훼손지_리스트 삽도명_종류 = [i.split("_")[1] for i in 제목리스트] 삽도명_종류 for i in range(len(관리카드_리스트)): # ========================엑셀 내부 데이터 값 정의=============================== 연번_누름틀_값 = 관리카드_리스트.iloc[i]["연번_누름틀"] 순번_값 = 관리카드_리스트.iloc[i]["순번"] 토지이용현황_값 = 관리카드_리스트.iloc[i]["토지이용현황"] 소유구분_값 = 관리카드_리스트.iloc[i]["소유구분"] 당초차량진출입_값 = 관리카드_리스트.iloc[i]["당초차량진출입"] 검토내용_값 = 관리카드_리스트.iloc[i]["검토내용"] 도로포장_값 = 관리카드_리스트.iloc[i]["도로포장"] 교행여부_값 = 관리카드_리스트.iloc[i]["교행여부"] 검토결과_값 = 관리카드_리스트.iloc[i]["검토결과"] i_지적도 = 관리카드_리스트.iloc[i]["지적도"] i_항공사진 = 관리카드_리스트.iloc[i]["항공사진"] i_현장사진_1 = 관리카드_리스트.iloc[i]["현장사진_1"] i_현장사진_2 = 관리카드_리스트.iloc[i]["현장사진_2"] i_검토결과_사진 = 관리카드_리스트.iloc[i]["검토결과_사진"] # ========================표 내부 데이터 입력하기================================ append_hwp(os.path.join(os.getcwd(), "템플릿1.hwp")) # 문서 끼워넣기 # hwp.RenameField("연번_누름틀",연번_누름틀_값) # 누름틀 필드 이름 바꾸기 # hwp.PutFieldText(연번_누름틀_값,연번_누름틀_값) # 누름틀에 연번_누름틀 값 텍스트로 넣기 hwp.RenameField("순번",순번_값) hwp.PutFieldText(순번_값,순번_값) hwp.RenameField("토지이용현황",토지이용현황_값) hwp.PutFieldText(토지이용현황_값,토지이용현황_값) hwp.RenameField("소유구분",소유구분_값) hwp.PutFieldText(소유구분_값,소유구분_값) hwp.RenameField("당초차량진출입",당초차량진출입_값) hwp.PutFieldText(당초차량진출입_값,당초차량진출입_값) hwp.RenameField("검토내용",검토내용_값) hwp.PutFieldText(검토내용_값,검토내용_값) hwp.RenameField("도로포장",도로포장_값) hwp.PutFieldText(도로포장_값,도로포장_값) hwp.RenameField("교행여부",교행여부_값) hwp.PutFieldText(교행여부_값,교행여부_값) hwp.RenameField("검토결과",검토결과_값) hwp.PutFieldText(검토결과_값,검토결과_값) hwp.RenameField("지적도",i_지적도) hwp.PutFieldText(i_지적도,i_지적도) hwp.RenameField("항공사진",i_항공사진) hwp.PutFieldText(i_항공사진,i_항공사진) hwp.RenameField("현장사진_1",i_현장사진_1) hwp.PutFieldText(i_현장사진_1,i_현장사진_1) hwp.RenameField("현장사진_2",i_현장사진_2) hwp.PutFieldText(i_현장사진_2,i_현장사진_2) hwp.RenameField("검토결과_사진",i_검토결과_사진) hwp.PutFieldText(i_검토결과_사진,i_검토결과_사진) hwp.Run("MoveTopLevelEnd") hwp.Run("BreakPage") 위 코드를 실행하여 만든 결과물입니다. 지적도, 항공사진, 현장사진1,2, 검토결과_사진에 강의에 올라온 사진리스트 추출을 이용하여 삽도들을 삽입하고 싶습니다.어떻게 해야 할까요??ㅠ답변 기다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