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ava static class와 kotlin class
[질문 내용]kotlin으로 실습을 진행하고 있는데, java의 static class에서 static은 무슨 의미인가요? kotlin에서의 그냥 class와 같은 역할인 걸까요?
-
해결됨멀티 모듈 아키텍처로 구현하는 은행 서버 핵심 기능 [ Kotlin & Spring ]
CQRS 설계 팁
대규모 트래픽 환경에서 Write Service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CQRS 설계 팁이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완강 후 학습 방향에 대한 질문
쿠케님 안녕하세요!우선 좋은 강의 제작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강의 들으면서 대규모 시스템을 설계할 때는 어느 것을 신경써야 하고, 또 주의해야 하는지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있어요. 추석 연휴 동안 제 나름대로 열심히 들어서 이제 한 개 섹션만 남았는데, 완강을 한 뒤에 강의에서 얻은 것들을 토대로 대규모 트래픽을 가정한 서비스를 설계하고, 개발해보려고 합니다. 강의로만 듣고 넘기기에는 아까운 내용들이 많아서 확실하게 제 것으로 만들어야겠다 싶더라고요. 일하면서 써먹으면 더없이 좋겠지만 아쉽게도 그럴 환경은 안 되어서요.. ㅎㅎ 그래서 나름대로 구상을 해보면서 강의를 듣고 있는데, 문득 강의에서 다룬 아키텍처와 기술을 한 번에 다 도입하는 건 오히려 학습 효율을 떨어뜨리는 선택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어서요. 실무에서 Redis 정도는 사용해봤지만, 분산 데이터베이스나 MSA도, Kafka나 CQRS도 이 강의에서 처음 사용해봤습니다. 개념은 대충 주워 듣긴 했지만, 제대로 공부해본 적도 없고요. 결론적으로 하나씩 해보는 게 낫겠다 싶은데, 강의에서 다룬 내용 중 어느 것을 먼저 학습하는 게 좋을지 쿠케님께 조언을 구하고 싶어요. 물론 정답이 없는 문제지만, 지금 당장 제가 일하는 환경에서는 써먹을 일이 별로 없는 내용들이다 보니 무엇을 먼저 하는 게 좋을지 선택하기가 어렵네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부트를 이용한 웹 프로그래밍: 웹사이트 이렇게 만드는 거예요!
JWT 기반 인증
JWT 기반 인증을 사용하면 서버 확장 시 세션 관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하는데, 혹시 이 부분 관련되어 시간있으실 때 추가 강의 요청드려도 될까요?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 😀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최적화 순서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강사님, 최적화를 진행할 때 보통 어떤 순서로 고민하시나요?예를 들어 트래픽이 몰릴 때 먼저 어디를 확인하고, 어떤 기준으로 개선 방향을 정하시는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리프레시 토큰은 알아서 구현하면 되는건가요??
리프레시 토큰은 알아서 구현해야 하면 되는건가요?? 따로 없는데..
-
미해결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테스트 클래스명 을 강의처럼 만드신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보통 구현 클래스 뒤에 Test를 붙이면 Idea에서 자동 추적을 해줘서 Test로 빠르게 이동이 가능한데,POST_specs 같이 만드신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부트를 이용한 웹 프로그래밍: 웹사이트 이렇게 만드는 거예요!
properties 파일 질문입니다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spring.devtools.restart.enabled=truespring.thymeleaf.cache=false각각 자바코드, 타임리프코드 수정 시에 서버를 재시작 안해도 수정사항이 자동 적용시키는 거라고 이해를 했는데 실제 해보니까 자동 적용이 안되는데 추가적으로 설정을 해야하는 부분이 있을까요??그리고 혹시 강의 듣고 제 나름대로 정리해서 내용을 블로그나 노션에 올리거나 강의 들으면서 친 코드를 깃허브 private 레퍼지토리에 올리는게 가능할지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AI 시대에서 공부와 실무의 관계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토비님.강의에서 말씀하신 공부할 때는 AI 관련 도구를 끄고 지식을 습득 해야 한다는 부분이 인상 깊었습니다.이전에도 공부와 실무 사이에는 늘 간극이 있었고, 이번 강의는 그 간극을 인지하고 실무적인 관점에서 방향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신다고 느꼈습니다.그런데 요즘은 AI가 빠르게 보편화되면서, 공부와 실무의 관계가 또 다른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실제로 신규 업무나 개인 프로젝트에서 AI의 활용 방식과, 기존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거나 확장하는 과정에서의 AI의 활용 방식이 다르게 느껴집니다.이런 변화 속에서 AI를 새로운 학습 형태이자, 학습과 실무를 잇는 새로운 도구로 봐야 할지, 아니면 보조적인 수단으로 바라봐야 할지 고민됩니다.토비님은 실무에서 AI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계신지, 그리고 이 시대의 개발자가 어떤 균형점을 가져야 한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Elasticsearch 입문 (검색 최적화편)
60강 ProductDoument 코드 관련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바쁘신 와중에 질문드려 죄송합니다...단순한 질문 같지만 ProductDocument 코드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Elasticsearch 관련 Document 코드에 @AllArgsConstructor나 @Data같은 롬복(lombok) 애노테이션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을까요...?추가로 실제 실무에서 Document에 롬복을 사용하는지 강사님 코드대로 직접 생성자, getter & setter를 작성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도메인엔티티와 JPA 엔티티 분리 문의
안녕하세요. 도메인 엔티티와 JPA 엔티티를 아예 분리하는 case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Domain 패키지에는 순수한 도메인 클래스들만 모아놓고 JPA에선 도메인 엔티티 -> JPA엔티티로 변환해서 사용하는경우도 있나 궁금합니다.
-
해결됨프로덕션 레벨 실시간 채팅 서버 구축: 분산 처리부터 성능 최적화까지 (Kotlin & Spring)
엔티티는 Data Class로 작성하면 안되나요?
아직 코틀린에 익숙치 않은데 어떤 경우 Data class를 선언하고 어떤 경우 일반 class를 선언하는지 감이 안잡히네요.추가로 object나 compainon object는 어떤 경우 사용하게 되나요?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cors, csrf 직접 구현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뜬금없는 질문하나 드려도 될까요? 스프링 시큐리티 없이 cors 구현, csrf 차단 기능 만드는게 좀 더 복잡하고 러닝커브가 높을까요? 스프링 시큐리티가 자동으로 해주는 설정이 많아 어렵게 느껴질 때가 있어서요.
-
미해결[1.5탄] 옆집 개발자와 같이 진짜 이해하며 만들어보는 첫 Spring Boot 프로젝트
@GetMapping은 단순 축약일까요? 다른 차이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이번 강의를 듣다가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강의에서 @RequestMapping(method = RequestMethod.GET)을 @GetMapping으로 축약할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이런 축약 어노테이션들이 단순히 가독성만을 위한 것인가요? 아니면 성능상의 차이도 있나요? 왜 굳이 이렇게 나뉘어져서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헥사고날 아키텍처와 DDD
5년차 백엔드 개발자 이며 현재 섹션5. 헥사고날 아키텍처의 사실과 오해를 학습하고 있습니다.현업에서 신규 프로젝트를 준비 하면서 어떤 아키텍처를 가져가는 것이 좋을지 고민중에 강의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부동산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개발 및 설계 단계에 있습니다. 제가 전부 리드하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젝트 전반적인 부분을 개발 리드분에게 권한을 받고 저와 팀원 둘이서 백엔드 구조를 설계 하고 있습니다.수천만건 그 이상이 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서비스를 계획 및 설계하고 있는데, 자바 스프링으로 서버를 구축 하려고 하는데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저와 팀원은 경험 하지 못하였는데, 확장성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헥사고날 아키텍처 기반으로 어떤 구조 설계를 하는 것이 좋을지 ,,, 조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후속 강의 출시 예정일 문의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파트2 강의는 언제쯤 나오는지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무한 뎁스 댓글 테스트 데이터 삽입 질문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2뎁스 댓글 목록의 테스트 데이터 삽입 시에는 계층 구조까지 파악할 수 있게끔 작성이 되었는데무한 뎁스 댓글의 테스트 데이터 삽입은 계층 구조로 생성하지 않으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Querydsl 도입
querydsl이 쿼리를 코드로 작성하여 컴파일 시점에 오류를 감지할 수 있는게 가장 큰 장점인데 Spring JPA와 혼합하여 사용할떄 그 외에 장점이 또 있을까요 레거시 쿼리는 이미 사용되고 있어 이를 전환하기 위해 먼가 더 장점이 필요할 것 같아서요 아니면 레거시는 두고 신규 추가되는 부분만 Querydsl를 도입하는 식으로 가면 될까요?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JWT 필터구현
안녕하세요 Jwt필터를 GenericFilterBean 대신 OncePerRequestFilter를 상속 받고OncePerRequestFilter의 shouldNotFilter 메서드를 구현하여 JWT 검증을 제외할 특정 경로를 추가 한다면 스프링 시큐리티의 설정( requestMatcher().permitAll())과 중복되는 기능일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게시글 정보와 게시글 조회수 동시에 필요한 API 조회 질문
현재처럼 서비스 구조가 거의 테이블 단위로 DB와 API 서비스가 분리될 때,이런 구조에서 화면에서 리스트 형태로 두 도메인 데이터를 함께 조회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것 같습니다.예를 들자면 게시글과 게시글 조회 수를 함께 보여주는 리스트 API가 필요한 상황에서,단건 조회라면 프론트에서 별도로 API를 호출해도 괜찮을 것 같은데,페이징 처리나 리스트 형태로 여러 데이터를 묶어서 조회해야 할 때,실무에서는 보통한 서비스에서 다른 서비스를 RestClient(Feign 등) 로 호출해서 데이터를 합치는 방식으로 처리하는지,아니면, 같은 도메인 서비스로 묶어버린다던지아니면 프론트엔드에서 각각의 API를 호출한 뒤 병합하는 방식으로 처리하는지궁금합니다.실제 현업에서는 이런 경우 어떤 접근 방식을 주로 사용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