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az와 수평확장의 차이
안녕하세요k6 부하테스트 강의를 들었는데 그때 수평 확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웠습니다.인스턴스를 늘리는 거에 있어서 수평확장과 az별로 스프링부트 추가하는 거는 똑같지만 용도는 다르다는 것은 알겠어요인스턴스 늘릴때 수평확장은 단순히 복제 버튼 클릭하여 쉽게 스프링부트를 늘리는데az는 늘릴 때마다 매번 일일이 수동으로 다 설치해야하는건가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bation host 구성내용
안녕하세요 bation host 운영시 실무에서 그냥 단순히 최소 사양의 컴퓨터에 아무것도 설치 안하고 운영만 하나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Bation host의 보안성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제가 예전에 회사에 실무 뛸 때는 기본 VPC 사용해서 해당 subnet 서브넷에 RDS와 스프링부트 사용했습니다. 확인해보니까 기본 subnet은 public subnet이네요보안 그룹을 이용해서 RDS는 스프링부트와 회사 IP에만 허용하고 스프링 부트는 80포트 한해서 모든 IP 허용해서 사용해서 제한적으로 보안을 걸었습니다.private subnet에 RDS와 스프링부트를 배치하고 bation host를 통해서 접속하는게 보안적으로 뛰어나다는 것은 알겠는데public subnet에 RDS와 스프링부트를 배치 해두고 보안 그룹으로 IP 접근 제한하고 무슨 차이가 있나요?1차원적으로만 보면 bation host가 EC2 비용이 더 나가는 거 말고는 모르겠습니다.정확히 어떤면에서 더 보안적으로 뛰어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강의 질문
안녕하세요 2번째 예제에서 25.212.157.0/25의 네트워크 주소가 어쨰서 10.88.135.0 으로 바뀌는지 궁금합니다.아니면 노션 기록 오타인거 같습니다25.212.157.0 ~ 25.212.157.127이 아닌가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3 (#실무핵심 #Docker #Nginx #Minio #Longhorn)
이클립스에 해봤는데요
해당 github에 있는거 fork한후에이클립스에서 생성해보면 아래처럼 뭔가 gradle프로젝트로 인식을 못하는 것 같습니다.dependency도 제대로 못 가져오고...그냥 강사님이 알려주신 프로젝트 생성해서 이클립스에서 하면 잘되는데..git에서 가져와서 생성한 플젝만큼은 아예 되질 않네요 ㅠㅠproject우클릭 > gradle > refresh gradle project도 안먹히고요... gradle project로 생성했는데도 git에서 땡겨온 소스를 gradle project로 인식을 못합니다.아래 클릭해서 영상봐주세요gradle project보다시피 프로젝트 생성은 됐는데 말이죠 ㅠㅠ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3 (#실무핵심 #Docker #Nginx #Minio #Longhorn)
cni 구조 설명시 헷갈린점
calico설명하실때 cni에서 overlay network가 iptables랑 연결이 되고 이후 서버로 가야 하는데라고 말씀하실때가 VM을 말씀하시나요?아니면 호스트 PC를 얘기하시는걸까요?왜 헷갈리냐면 여기에 중간에 virtualBox의 가상네트워크가 또 있다고 해서요... iptables까지 연결된상태에서는 이건 vm의 os레벨의 영역이니까 vm자체 eth까지는 연결된게 아닌가 해서요..그래서 그림 그리신 가상의 네트워크는 vm과 호스트 PC간의 네트워크를 말하는거겠죠?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3 (#실무핵심 #Docker #Nginx #Minio #Longhorn)
술루션 엔지니어란 무엇인지요?
강의중간에 솔루션 엔지니어에게 기술지원을 받아서 kubernetes 위에 앱을 띄우고 배포하는 부분을 추가로 구축을 해준다음 매뉴얼을 만들어 운영팀에게 인수인계 하는 역할을 강사님경우 하신다고 했는데 여기에서 솔루션 엔지니어에게 무슨 기술지원을 받는다는건가요? 무슨 솔루션을 말씀하시는걸가요? 이해가 안되어서 질문올려봅니다.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ec2 수평적 확장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강의 잘보고 있습니다.해당 강의는 다 이해가 갔는데 만약에 로그인 유저일 경우에는 세션과 토큰을 사용했을 시 수평적 확장해도 자동으로 다 처리가 되나요 아님 따로 작업을 해야하나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강사님 Build 구성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예제로 주신 CI/CD 와 관련하여 질문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fork 한 강사님의 repository 에는 yaml 만 존재합니다. (build.graldle 또는 java 소스는 존재하지 않음)현재의 환경에서는 "gradle invoke" 를 통해 어떤 작업을 하는지 이해가 잘 가지 않아서요. 만약 그렇다면 gradle 이 어떤 것을 참조하여 gradle 이 어떤 동작을 질문 드립니다.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TPS 기준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저도 강의대로 실천해보니 3~4TPS가 나오는데 TPS가 얼마나 나와야 잘나오는지 기준을 잘 모르겠습니다. 데이터가 100만개가 있으면 원래 3TPS 정도가 나오는 건가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 ./output.log 2>&1 & ```
위의 명령어를 버그 잡으려고 썼다고 하셨는데 현재는 저거 안 써도 괜찮은지 확인해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dockershim 사용관련문의
쿠버네티스에서는 CRI규격에 맞춰진 dockershim이 있으니까 docker를 그대로 쓸수있다고 답변을 한다고 하셨습니다.그게 1.5버전부터 dockershim이 들어갔구요. 그런데 그림을 보면 cri에 잇는 dockershim은 docker컨테이너와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건데강의 그림에서는 1.23이후로 dockershim이 deprecated되면 docker랑 화살표 그려지는 cri구현부부분에 dockershim이 빠지는건데 어떻게 1.24버전부터는 docker 컨테이너 런타임과는 연동을 할수가 없는거 아닌지요? 헷갈리네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런타임측 contribution
구현부는 쿠버네티스 프로젝트에 있는것이고, 이 프로젝트가 오픈소스이니까 각각의 런타임 측에서 docker나 rkt에서쿠버네티스 프로젝트에 소스를 contribution 하는 형태이다.라고 했는데쿠버네티스 프로젝트에 각 런타임쪽에서 소스를 만들어서...쿠버네티스 프로젝트로 기부했다는 말씀이신가요? 이해가 잘~~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App 배포하기 (helm) - 2232 에서 helm자동인식불가
argocd에서 kubeclt배포후 helm배포하기를 해보려는데 git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하단에 helm이 선택된다고 하셨는데...저는 제 경로나 강사님 git 경로 모두 해봐도..자동으로 인식이 되질 않네요...ㅠㅠ혹시 이유를 확인볼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k8s 세팅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설치 과정에서는 문제 없는데 세션연결이랑 대시보드 접속이 안되네요 ip상에 문제가 있는걸까요?와이파이로 접속된 노트북으로 했는데 공유기로 할당안받은 ip로 해서 문제인걸까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3 (#실무핵심 #Docker #Nginx #Minio #Longhorn)
질문드립니다( headless service)
안녕하세요 강사님해당 강의에서 headless service 통신 테스트를 해봤는데요deployment + headless service 상황에서pod내부에 아래 명령어를 했는데 찾지 못한다고하는데nslookup [pod명].[svc명].[ns].svc.cluster.local 혹시 statufulset만 가능한건가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소스파일이 안가져와지네요?
jenkinsfile을 보면코드가 주신대로 아래와 같고요여기에서 [소스파일 체크아웃] 부분이 지나면 jenkins디렉토리 workspace 밑으로 해당 소스파일이 가져와서 폴더가 생성되어야 하는게 아닌지..궁금합니다. 폴더가 일단 생성이 안되구요...맨밑에 이미지 추가한것처럼 helm쪽 파일만 릴리즈파일 체크아웃통해 받아진것 같아요.또한가지는 [소스빌드] 스텝인데 echo로만 그냥 찍는거지 실제 빌드하는거 아니죠?체크아웃자체도 안받아져서 빌드도 안될것 같구요.마지막으로 [컨테이너빌드] cp부분도 echo로 찍는부분이지 실제 copy명령어를 실행하는것도 아니고..그런데 docker build 명령어는 실제로 하는데...위에서 빌드도 문자열만 찍는거고 ...소스도 안받아졌는데 어떻게 docker build는 또 실제로 할수잇는지도 궁금합니다. stage('소스파일 체크아웃') { steps { // 소스코드를 가져올 Github 주소 git branch: 'main', url: 'https://inf.run/M45Zm' } } stage('소스 빌드') { steps { // 755권한 필요 (윈도우에서 Git으로 소스 업로드시 권한은 644) echo "chmod +x ./gradlew" echo "gradle clean build" } } stage('릴리즈파일 체크아웃') { steps { checkout scmGit(branches: [[name: '*/main']], extensions: [[$class: 'SparseCheckoutPaths', sparseCheckoutPaths: [[path: "/${CLASS_NUM}"]]]], userRemoteConfigs: [[url: "${GITHUB_URL}"]]) } } stage('컨테이너 빌드') { steps { // jar 파일 복사 echo "cp ./build/libs/app-0.0.1-SNAPSHOT.jar ./${CLASS_NUM}/build/docker/app-0.0.1-SNAPSHOT.jar" // 도커 빌드 echo "docker build -t ${DOCKERHUB_USERNAME}/api-tester:v1.0.0 ./${CLASS_NUM}/build/docker" } }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Deploy 트리거 관련 질문드립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프로젝트로 실습해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강의에서는 main 브랜치에 push가 일어나는 것이 트리거가 되는 경우를 설명해주셨습니다.만약에 main 브랜치 하위에 기능별로 브랜치를 나누어서feature/login, feature/post 식으로 브랜치가 존재하며프론트엔드 React 코드, 백엔드 Spring 코드의 별도 구분 없이 각각의 브랜치에 같이 존재한다면백엔드 코드만 ec2에 deploy 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short 옵션 안되네요?
[jenkins@cicd-server api-tester]$ kubectl version --shorterror: unknown flag: --shortSee 'kubectl version --help' for usage.short옵션이 안먹힙니다. ㅠㅠ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helm압축푼후 권한
curl -O https://inf.run/NjQJ4tar -zxvf helm-v3.13.2-linux-amd64.tar.gzmv linux-amd64/helm /usr/bin/helm 압축푼후 파일 소유권한으보면-rwxr-xr-x. 1 1001 docker 51220480 Nov 8 2023 helm네요..이걸 /usr/bin으로 옮겨놔도..권한땜에 안되는데요..root root 여야하나요?jenkins jenkins여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