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Flutter 앱 개발 기초
flutter 에뮬레이터 실행 에러
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 What went wrong:Execution failed for task ':app:compileDebugJavaWithJavac'.> Could not create service of type UserHomeScopedCompileCaches using UserHomeScopeServices.createCompileCaches(). > Unexpected lock protocol found in lock file. Expected 3, found 0.*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BUILD FAILED in 1sError: Gradle task assembleDebug failed with exit code 1 에러는 우선 이렇게 나고 윈도우 기능 hyper-v나 하이버 바이저 프로그램 기능도 다 켰습니다.flutter doctor도 android studio 말고는 다 정상으로 설치 되 있습니다!gradle문제라길래 에러코드 검색해서 봤는데 하라는 대로 할려니 java version이 없다는데해결이 안됩니다 다음 진도 넘어가려니까 흑흑 -참고로 에뮬레이터 런칭까지는 됩니다. run without debugging 할때 에러가 뜹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완벽한' 프론트엔드 코스
09-02 graphql 에러
수정페이지에서 수정하기 버튼을 누르면 네트웨크에 이런 에러가 떠요미리보기{ "errors": [ { "message": "Unknown type \"Sting\". Did you mean \"String\" or \"Int\"?", "locations": [ { "line": 1, "column": 67 } ], "extensions": { "code": "GRAPHQL_VALIDATION_FAILED", "exception": { "stacktrace": [ "GraphQLError: Unknown type \"Sting\". Did you mean \"String\" or \"Int\"?", " at Object.NamedType (/frontend-api-example/node_modules/graphql/validation/rules/KnownTypeNamesRule.js:57:29)", " at Object.enter (/frontend-api-example/node_modules/graphql/language/visitor.js:323:29)", " at Object.enter (/frontend-api-example/node_modules/graphql/utilities/TypeInfo.js:370:25)", " at visit (/frontend-api-example/node_modules/graphql/language/visitor.js:243:26)", " at Object.validate (/frontend-api-example/node_modules/graphql/validation/validate.js:69:24)", " at validate (/frontend-api-example/node_modules/apollo-server-core/src/requestPipeline.ts:536:14)", " at Object.<anonymous> (/frontend-api-example/node_modules/apollo-server-core/src/requestPipeline.ts:302:32)", " at Generator.next (<anonymous>)", " at fulfilled (/frontend-api-example/node_modules/apollo-server-core/dist/requestPipeline.js:5:58)", " at 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105:5)" ] } } } ]}페이로드 09-03-boards/ [number] 페이지 코드 입니다"use client"; //상세 import { useParams } from "next/navigation"; import { gql, useQuery } from "@apollo/client"; import Link from "next/link"; const FETCH_BOARD = gql` query fetchBoard($mynumber: Int) { fetchBoard(number: $mynumber) { number writer title contents } } `; export default function BoardsDetailPage() { const params = useParams(); //useQuery는 중괄호, uesMutation은 대괄호 const { data } = useQuery(FETCH_BOARD, { variables: { mynumber: Number(params.number) }, }); console.log(data); return ( <div> <div> {Number(params.number)}번 게시글 상세페이지 이동이 완료되었습니다. </div> <div>작성자: {data?.fetchBoard?.writer}</div> <div>제목: {data?.fetchBoard?.title}</div> <div>내용: {data?.fetchBoard?.contents}</div> <Link href={`/section09/09-03-boards/${params.number}/edit`}> 수정하러가기 </Link> </div> ); } 09-03-boards-write 코드 입니다"use client"; import { useMutation, gql } from "@apollo/client";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useParams, useRouter } from "next/navigation"; const 나의그래프큐엘셋팅 = gql` # 타입적는곳 mutation createBoard( $mywriter: String $mytitle: String $mycontents: String ) { # 전달할 변수 적는 곳 createBoard(writer: $mywriter, title: $mytitle, contents: $mycontents) { _id number message } } `; //수정 const UPDATE_BOARD = gql` mutation updateBoard( $mynumber: Int $mywriter: String $mytitle: Sting $mycontents: String ) { updateBoard( number: $mynumber writer: $mywriter title: $mytitle contents: $mycontents ) { _id number message } } `; export default function BoardsWrite(props) { const router = useRouter(); const params = useParams(); console.log(params.number); const [writer, setWriter] = useState(""); const [title, setTitle] = useState(""); const [contents, setContents] = useState(""); const [나의함수] = useMutation(나의그래프큐엘셋팅); //수정 const [updateBoard] = useMutation(UPDATE_BOARD); //등록 const onClickSubmit = async () => { //여기서 그래프큐엘 요청하기 const result = await 나의함수({ //variables 이게 $역할을 함 variables: { mywriter: writer, mytitle: title, mycontents: contents, }, }); console.log(result); alert("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router.push(`/section09/09-03-boards/${result.data.createBoard.number}`); }; //수정 const onClickUpdate = async () => { //여기서 수정하기 하자!! const result = await updateBoard({ variables: { mynumber: Number(params.number), mywriter: writer, mytitle: title, mycontents: contents, }, }); console.log(result); alert("수정이 완료되었습니다."); router.push(`/section09/09-03-boards/${result.data.updateBoard.number}`); }; const onChangeWriter = (event) => { setWriter(event.target.value); }; const onChangeTitle = (event) => { setTitle(event.target.value); }; const onChangeContents = (event) => { setContents(event.target.value); }; return ( <div> 작성자: <input type="text" onChange={onChangeWriter} /> <br /> 제목: <input type="text" onChange={onChangeTitle} /> <br /> 내용: <input type="text" onChange={onChangeContents} /> <br /> <button onClick={props.isEdit ? onClickUpdate : onClickSubmit}> {props.isEdit ? "수정" : "등록"}하기 </button> </div> ); }
-
해결됨백엔드 애플리케이션 성능 테스트하기
기준이 뭘까요??
API 테스트시 레이턴시가 보통 몇 ms이상이면 오래걸리는 작업일까요? 혹은 몇ms이하여야 괜찮은 응답속도일까요?
-
미해결처음하는 딥러닝과 파이토치(Pytorch) 부트캠프 (쉽게! 기본부터 챗GPT 핵심 트랜스포머까지) [데이터분석/과학 Part3]
[Pytorch 기울기의 누적 곱? 누적 합?]
optimizer.zero_grad()를 호출하여 모델 매개변수의 변화도를 재설정합니다. 기본적으로 변화도는 더해지기(add up) 때문에 중복 계산을 막기 위해 반복할 때마다 명시적으로 0으로 설정합니다.파이토치 한국어 커뮤니티에서 봤었던 내용이랑 너무 헷갈려서 질문 드립니다. 강사님이 6:00 시작부터 왜 zero_grad()를 사용하는지 설명하시는 부분에서 새로운 출력값에 대한 오차값의 편미분이 누적해서 "곱"해지는 것 처럼 설명해주시는데 , 제가 이해한 바로는 기울기가 이전 반복의 기울기에 "더해지는 것"으로 알고 있거든요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아래가 제가 이해하고있는 과정입니다.(기울기 초기화를 하지 않을시 Pytorch의 누적 과정)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공공데이터 미세먼지
serviceKey 가 여러번 다시 시도해도 에러가 발생합니다그리고 위의 이미에서처럼 itemCode,dataGubun,searchCondition 항목이 안보이는데 신청을 잘못한걸까요?<OpenAPI_ServiceResponse> <cmmMsgHeader> <errMsg>SERVICE ERROR</errMsg> <returnAuthMsg>SERVICE_KEY_IS_NOT_REGISTERED_ERROR</returnAuthMsg> <returnReasonCode>30</returnReasonCode> </cmmMsgHeader> </OpenAPI_ServiceResponse>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2: 게임 수학과 DirectX12
렌더 타겟을 SRV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렌더 타겟을 SRV로 사용을 하려고 합니다.우선 결론을 말씀드리면 기존에 투명 파티클인 Bubble 파티클 뒤에 보이는 픽셀들에굴절 효과를 추가하려고 합니다.그러기 위해 렌더 타겟을 텍스쳐로 만들어서 SRV로 파티클 셰이더에 텍스쳐로 보내려고 합니다. 제가 시도해본 과정입니다.Scene의 RenderFinal 함수에서 shared_ptr로 renderTargetTexture을 가져와서제가 만든 Resources 클래스의 멤버 변수인 _renderTargetTexture에 Set 하였습니다.(원래는 리소스의 상태를 렌더 타겟에서 SRV로 수정을 했어야 하나, 결과가 똑같아서 제외하였습니다.)그리고 파티클 시스템의 FinalUpdate에서 RenderTargetTexture를 가져와서 0번 텍스쳐에 Set을 해주었습니다. 아래는 실행 결과입니다.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제가 기존에 만들어봤던 파티클들이고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렌더 타겟을 텍스쳐로 만들어 셰이더에 전달한 것을 출력하는 파티클들 입니다.결과를 보면 렌더 타겟에 보이는 빨간 부분 파티클들이 제대로 파란색 표시된 쪽에 출력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그러나 렌더 타겟으로 파티클을 띄웠으면 배경이나 (가운데 잘 안보이지만) 구 객체도 같이 출력이 되었어야 하는데 파티클들만 출력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아마 예상으로는 구나 배경(디퍼드 렌더링)을 찍는 0번 카메라와 파티클(포워드 렌더링)을 찍는 1번 카메라 중 1번 카메라만 렌더 타겟 텍스쳐로 전달이 되어서 발생하는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 PIX로 디버깅을 해본 결과여기는 또 이상하게 렌더 타겟에 보이는 모든 객체들이 셰이더에 SRV로 잘 전달이 되었다고 나오고 있습니다. 렌더링이 올바르게 되지 않는 결과를 알고 싶습니다.또한 투명 파티클 뒤의 픽셀들을 굴절시키는 다른 좋은 방법이 있다면 그것 또한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앨런 iOS 앱 개발 (15개의 앱을 만들면서 근본원리부터 배우는 UIKit) - MVVM까지
@Sendable 키워드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앨런님 저는 현재 활용 76강을 듣고 있는데요! func getMethod(completion: @escaping ([Music]?) -> Void) { // URL구조체 만들기 guard let url = URL(string: "https://itunes.apple.com/search?media=music&term=bts") else { completion(nil) return } // URL요청 생성 var request = URLRequest(url: url) request.httpMethod = "GET" // 요청을 가지고 작업세션시작 URLSession.shared.dataTask(with: request) { data, response, error in // 에러가 없어야 넘어감 guard error == nil else { print("Error: error calling GET") print(error!) completion(nil) return } // 옵셔널 바인딩 guard let safeData = data else { print("Error: Did not receive data") completion(nil) return } // HTTP 200번대 정상코드인 경우만 다음 코드로 넘어감 guard let response = response as? HTTPURLResponse, (200 ..< 299) ~= response.statusCode else { print("Error: HTTP request failed") completion(nil) return } // 원하는 모델이 있다면, JSONDecoder로 decode코드로 구현 ⭐️ do { let decoder = JSONDecoder() let musicData = try decoder.decode(MusicData.self, from: safeData) completion(musicData.results) } catch { } }.resume() // 시작} 해당 코드에서 위와같은 에러가 발생하여 @Sendable을 붙이니 해결이 되었습니다. 강의에서는 에러가 안나는 이유는 버전 차이 때문에 그런거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JIRA를 활용해 더 효과적으로 프로젝트 협업하기
에픽/이슈 설명 기본값 설정
안녕하세요. 에픽과 이슈 설명칸에 특정 항목들을 기본 값으로 설정해놓고 싶은데요. 예를들면, 에픽의 설명에는프로젝트명기간 기타 등등이슈 설명에는 화면 경로디자인 기타 등등 혹시 방법을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앨런 iOS 앱 개발 (15개의 앱을 만들면서 근본원리부터 배우는 UIKit) - MVVM까지
클로저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앨런님 제가 강의를 순서대로 듣는게 아니고 중간 중간 듣고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혹시 강의에 클로저와 escaping 부분을 추가적으로 설명해주시는 부분들도 따로 있나요?강의 중간중간 이전에 이 부분은 설명했다고 나오는데, 확실히 어딘지 알 수가 없어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yarn add 후에 아래 에러가 발생하는것 같습니다.
[Nest] 39177 - 2025. 01. 23. 오후 2:27:12 LOG [RoutesResolver] CommonController {/common}: +1ms[Nest] 39177 - 2025. 01. 23. 오후 2:27:12 LOG [RouterExplorer] Mapped {/common/image, POST} route +0ms[Nest] 39177 - 2025. 01. 23. 오후 2:27:12 LOG [RoutesResolver] ChatsController {/chats}: +0ms/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153 throw new TypeError(`Missing parameter name at ${i}: ${DEBUG_URL}`); ^TypeError: Missing parameter name at 9: https://git.new/pathToRegexpError at name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153:13) at lexer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171:21) at lexer.next (<anonymous>) at Iter.peek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188:32) at Iter.tryConsume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195:24) at Iter.text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213:26) at consume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285:23) at parse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320:18) at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503:40 at Array.map (<anonymous>)yarn add하여 위 에러가 발생해서 찾아보니 express 5.0.0일때 나타나는 에러라고 하네요.25년 1월기준 yarn add 커맨드 입력당시 nestjs 10.x.x -> 11.x.x로 되면서 발생한 에러라서 다운그레이드하니 해결되긴 했습니다.다른 수강생들에게 도움이될까 하여 남깁니다.
-
미해결쥬쥬와 함께 하루만에 끝내는 스프링 테스트
성적 저장 어플 만들기 강의 관련 질문
강의 17분쯤에 save메서드를 postman에서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Internal Server Error가 떠서 확인해보니cannot deserialize from Object value (no delegate- or property-based Creator) 에러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기존에@Gette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SaveExamScoreRequest { private final String studentName; private final Integer korScore; private final Integer englishScore; private final Integer mathScore; }이렇게 써져있는 코드를@Getter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SaveExamScoreRequest { private String studentName; private Integer korScore; private Integer englishScore; private Integer mathScore; }이렇게 바꾸니 정상적으로 응답을 반환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알아보니 해당 에러는 jackson생성자가 빈 생성자가 없는 객체를 만드는 법을 모르기 때문에 뱉는 에러라고 설명되어있어서 @NoArgsConstructor어노테이션을 추가하였고 final을 지워주었습니다.근데 강사님의 코드는 잘 돌아가는데 왜 제 코드는 저런 에러가 발생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스프링 버전하고도 관련이 있나요? (저는 현재 spring boot 3.4.1 버전을 사용하고 있기는 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스위치에 대하여
강의 중 스위치에 관해 궁금해서 글을 남깁니다.여기서 나오는 스위치가 L1,L2,L3 ~ 이 스위치를 말씀하신 걸까요 ? 그리고 스위치를 네트워크 그 자체를 이루는 호스트라고 이 표현이 정확하게 이해가 가지않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코드 질문입니다
#주어진 리스트의 최대값 - 최소값을 구하는 함수를 만드시오#listbox = [15,46,78,24,56]아래와 같이 코드를 짜봤는데 오류가 왕창 뜨더라구요혹시 뭐가 잘못되었나요listbox = [15,46,78,24,56] def maxmin(data): max = max(data) min = min(data) t = max-min return t print(maxmin(listbox))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질문이 있습니다 begin() 함수와 [0]의 차이점
선생님 안녕하십니까 문제를 풀다가 의문이 들어서 질문을 한번 하려고 합니다.string 에서 begin()을 사용 했을 때와 [0]의 인덱스를 사용 했을때 차이점이 있나용...?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콘솔창에 warn이 안떠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콘솔창에 warn이 뜨지 않습니다. 스프링을 먼저 실행한 후에 http://localhost:8080/hello-mvc에 들어가서 오류가 나와도 콘솔창에 warn이 나오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10.Pub-Sub모델을 이용한 실시간 알림 (WebSocket, STOMP 이용) part 1 의 자료
학습중 궁금한 것은 언제든 문의 하세요.질문을 최대한 자세히 남겨주시면 반드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도 요청해주시면 강의 자료를 업데이트 해서 제공할 예정입니다. 안녕하세요~! 10.Pub-Sub모델을 이용한 실시간 알림 (WebSocket, STOMP 이용) part 1해당 자료가 다운이 되지 않습니다!
-
미해결3. 웹개발 코스 [Enterprise Architecture(EA) X 전자정부프레임워크]
Egov_WEB3 로그인을 하면 에러가 납니다.
context-datasource쪽도 포트와 비밀번호 모두 맞게 수정하였는데도 오류가 납니다.org.springframework.jdbc.BadSqlGrammarException: Error attempting to get column #3 from callable statement. Cause: java.sql.SQLSyntaxErrorException: (conn=119) No output result; bad SQL grammar []; nested exception is java.sql.SQLSyntaxErrorException: (conn=119) No output result라는 오류가 뜨는데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oinColumn
[질문 내용]즉시 로딩과 지연 로딩 영상에서 문득 지난 강의 과정에서 연관관계의 주인인 필드 객체는 @JoinColumn 에 name으로 TEAM_ID로 외래키로 지정하여 연관관계를 매핑시키는걸로 알고있는데 1분 3초 쯤에 김영한 강사님의 코드에서는 그냥 @JoinColumn만 되어있고 따로 name은 부여하지 않은걸로 보였습니다. 굳이 name을 따로 지정하지 않아도 상관없는 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정적 중첩 클래스 질문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static 멤버들은 원래 인스턴스 멤버들을 사용못하는데, static클래스도 내부에서 외부의 인스턴스 멤버들을 호출 못하는데, 인스턴스 변수는 왜 생성할 수 있나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4 - 게임플레이 어빌리티 시스템
TA
언리얼에서 어빌리티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중입니다.플레이어가 도끼를 휘둘러 몬스터가 넉백되는 시스템을 구현할때 플레이어가 도끼를 휘두르는 것을 GA, AT, TA로 구현했습니다. (광역 공격)현재 상황은 TA에서 AddForce로 몬스터를 넉백처리 해주는데, AddForce로 몬스터를 넉백하는 것을 몬스터의 넉백 어빌리티로 구현하는것이 좀 더 괜찮은 코드일까요? 아니면 기존처럼 TA에서 몬스터의 넉백을 구현하는 것이 나을까요...?몬스터에게 ASC를 생성하고 어트리뷰트까지 달아준 뒤 넉백 어빌리티를 만드는거는 너무 과한 코드일까라는 생각이 들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