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ServiceTest db에 엔티티 추가X
package jpabook.jpashop.Service; import jpabook.jpashop.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jpabook.jpashop.domain.Member;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junit.jupiter.api.extension.ExtendWith;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annotation.Rollback;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jupiter.SpringExtension;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ExtendWith(SpringExtension.class)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class MemberServiceTest {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Rollback(false) public void 회원가입()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kim"); //when Long savedId = memberService.join(member); //then assertEquals(member, memberRepository.findOne(savedId)); } @Test public void 중복_회원_예외() throws Exception { //given //when //then } }Member 테이블에 추가가 안되네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JpaTransactionManager 사용할 경우 커넥션 로깅 질문
DataSourceTransactionManager의 로그에는 사용되고 있는 커넥션의 정보(ex. conn0)가 자세히 나오는데, JpaTransactionManager를 사용할 경우에는 위와 같이 몇번째 커넥션이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잘 나오지 않는 것 같습니다. JPA를 사용할 경우, 위 사진과 같이 스레드가 커넥션 풀에서 어떤 커넥션을 가져오고 반환하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react.js 프론트 소스 파일 부탁합니다..
웹을 구현하는데 프론트앤드가 필요한데, 프론트는 소스 코드를 제공하지 않는다는게 좀 의아합니어쨌든 프론트 소스코드 파일 react.js 부탁합니다..skii4@hanmail.net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내용]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은 아닌데 제가 commit에서 unversioned files에 있는 것들에 그동안 했던 작업들이 너무 쌓여있는 것 같아 delete를 했더니 intellij에 그동안 작업했던 작업물(패키지는 남아있고 자바 파일들이 모두 날라갔습니다) 혹시 복구할 방법은 없겠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p6spy 적용 시 gradle 프로젝트가 빌드되지 않습니다.
java 버전17.0.9이고 springboot 버전은 3.2.10-SNAPSHOT 입니다.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 build.gradle 파일에 로그 관련 부분 추가하니 아래와 같이 오류가 나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Caused by: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org/apache/maven/settings/building/SettingsBuildingRequest at org.gradle.api.internal.artifacts.DependencyManagementBuildScopeServices.createMavenSettingsProvider(DependencyManagementBuildScopeServices.java:289)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at org.gradle.internal.reflect.JavaMethod.invoke(JavaMethod.java:125) at org.gradle.internal.service.ReflectionBasedServiceMethod.invoke(ReflectionBasedServiceMethod.java:35) at org.gradle.internal.service.DefaultServiceRegistry$FactoryMethodService.invokeMethod(DefaultServiceRegistry.java:916)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단순 조회용 엔티티
안녕하세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도중 영한님 강의가 생각 나 궁금한 게 생겨 문의납깁니다. 테이블의 모든 값들을 전체 조회하며, 거의 변하지 않는 데이터를 단순 조회하는 용도로 쓸 때도 DTO를 통해 조회하는 게 좋을까요? (예시: 프로젝트 실행 시 csv파일 또는 엑셀파일을 통해 DB에 자동 저장되게 만든 도시 데이터 등을 확인하는 단순 get List, 여행•숙박 사이트에 기본으로 저장되어있는 지역 카테고리 등)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혹시 현업에서도 예외 테스트 시, Assertions.assertThrows 를 많이 사용하나요?
@Test void 상품주문_재고수량초과()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createMember(); Item item = createBook("시골 JPA", 10000, 10); int orderCount = 11; //when // orderService.order(member.getId(), item.getId(), orderCount); //then Assertions.assertThrows(NotEnoughStockException.class, () -> orderService.order(member.getId(), item.getId(), orderCount),"재고 수량 부족 예외가 발생해야 한다."); }Assertions.assertThrows 사용 시 파라미터 자체에 로직을 넣어줘야 해서, JUnit4 의 expected 옵션과 다르게 테스트의 when 항목을 적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 같아서요. 현업에서도 이 방식을 주로 사용하시나요?(+ 추가 질문)junit 과 assertj.core 라이브러리를 함께 쓰는 경우엔 이렇게 한 쪽을 지저분하게 쓸 수 밖엔 없나요? (isEqualTo와 assertThrows를 하나의 테스트 클래스에서 같이 쓰는 경우) @Test void 주문취소()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createMember(); Book item = createBook("시골 JPA", 10000, 10); int orderCount = 2; Long orderId = orderService.order(member.getId(), item.getId(), orderCount); //when orderService.cancelOrder(orderId); //then Order getOrder = orderRepository.findOne(orderId);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getOrder.getStatus()).isEqualTo(OrderStatus.CANCEL);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item.getStockQuantity()).isEqualTo(10); }
-
해결됨개발 입문을 위한 실무자가 알려주는 Spring Boot
Constants 가 맞을거 같습니다.
상수들을 모아 놓은 클래스이므로 Constants 가 맞는 이름일 거 같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영상 5분 7초 EAGER 패치 전략
비슷한 게시글을 봐도 이해가 잘 가지 않아서 재차 질문 드립니다제가 이해하는 상황이 맞는지 고견 부탁드립니다1. fetch = EAGER 쿼리가 두 번 실행이것이 프록시 강의영상에서 말씀하시는 (N+1) 문제인지 궁금합니다첫 번째 쿼리는em.flush(), em.clear() 실행되면 영속성 컨텍스트가 비워지고 이후 jpql 쿼리가 실행되면서 EAGER 패치 전략에 따라 Team도 함께 조회가 됩니다. 두 번째 쿼리는 영속성 컨텍스트가 비워졌고 EAGER 패치 전략으로 조회되어야 합니다. 실제 엔티티로 조회되어야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하지만 특정 시점에서 Team이 프록시로 로드 되었고 이후 프록시가 초기화되면서 다시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면서 발생한 쿼리로 생각이 듭니다
-
해결됨입문자를 위한 Spring Boot with Kotlin - 나만의 포트폴리오 사이트 만들기
한번만 도와주세요 오류를 못찾겠습니다.
사이드 바에 skill이랑 project만 페이지 오류가발생합니다. skill 들어갔을떄 오류 로그는 project 들어갔을떄 오류 로그 깃허브 주소:https://github.com/kimauto/portfolio-kimauto이렇게 오류가 뜨면 No static resource admin/skill저는 skill 컨트롤러,서비스,DTO 가서 제가 코드 실수를 했나 먼저 확인하고 용백님 깃헙 소스코드랑 비교하면서 오류 체크를 했습니다. 이렇게 오류를 접근하는 방식이 맞나요? 무슨 문제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build.gradle에 queryDSL 설정이 잘되지 않습니다.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3.1'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5' } group = 'jpabook'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17) } } //롬복 셋팅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implementation 'junit:junit:4.13.1'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1'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implementation 'com.fasterxml.jackson.datatype:jackson-datatype-hibernate5' implementation 'javax.persistence:javax.persistence-api:2.2'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 롬복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jvmArgs '-Xshare:off' // JVM 아규먼트 설정 } 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이렇게 설정해둔 상태인데 gradle을 다시로드했음에도 other에 compilequerydsl 설정이 생기지 않는 상황이고, 다른방식으로 설정도 했었는데, 그때는 또 우측 gradle의 other에 compileQeurydsl 설정이 보여서 설정을 진행했고 프로젝트 generated 디렉토리가 생성되긴 했지만, generated 디렉토리 하위 파일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커뮤니티의 내용들을 다 참고했지만 되지 않네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세션 10번 완성 소스가 잘못올라온거 같아요
세션 10번 강의 보면서 따라가고 있는데 org.springframework.dao.DataIntegrityViolationException: could not execute statement [(conn=335) Cannot add or update a child row: a foreign key constraint fails (`apidb`.`tbl_cart_item`, CONSTRAINT FKs7vg62w3nq7igdxgssq1u0biw FOREIGN KEY (`product_pno`) REFERENCES tbl_product (`pno`))] [insert into tbl_cart_item (cart_cno,product_pno,qty) values (?,?,?) returning cino]; SQL [insert into tbl_cart_item (cart_cno,product_pno,qty) values (?,?,?) returning cino]; constraint [null] 에러가 나오더라구요..그래서 제가 세션 10 완성 소스 보면서 잘못된 곳을 찾아 보려는데 ... 올라건 소스가 잘못된거 같아요... 세션 10의 소스가 아닙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LocalDateFormatter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public ResponseEntity searchLinkOrderNumberOutput( @ApiParam("주문 번호") @RequestParam(required = false) List<String> orderNumbers, @ApiParam(name = "startDate", value = "yyyyMMdd", required = true) @RequestParam String startDate, @ApiParam(name = "endDate", value = "yyyyMMdd", required = true) @RequestParam String endDate, @ApiParam(name ="confirmationStatus", value="확정여부(Y/N)") @RequestParam String confirmationStatus, @ApiParam(name = "pageSize", value = "한 페이지에 보여줄 주문 개수 (미 입력시 기본값 20)") @RequestParam(defaultValue = "20") int pageSize, @ApiParam(name = "pageNumber", value = "데이터를 조회 할 페이지 숫자 (미 입력시 기본값 1)") @RequestParam(defaultValue = "1") int pageNumber)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선생님 만일 controller에서 string으로 날짜값을 받으면 이제 별도의 파싱작업을 거쳐서 LocalDateTime 형식으로 변환해 줘야하는데 LocalDateFormatter을 사용하면 해당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건가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강의에서의 회원가입 테스트를 JUnit5 방식으로 바꾸면 이게 맞을까요?
@ExtendWith(SpringExtension.class)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class MemberServiceTest {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void 회원가입()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kim"); //when Long savedId = memberService.join(member); Member joinedMember = memberRepository.findOne(savedId); //then assertThat(member).isEqualTo(joinedMember); } 이렇게 진행하면 될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ProductSearchImpl 관련 질문드립니다.
@Override public PageResponseDTO<ProductDTO> searchList(PageRequestDTO pageRequestDTO) { log.info("----------------------searchList-------------------------"); Pageable pageable = PageRequest.of( pageRequestDTO.getPage() -1, pageRequestDTO.getSize(), Sort.by("pno").descending()); QProduct product = QProduct.product; QProductImage productImage = QProductImage.productImage; // from 절 JPQLQuery<Product> query = from(product); // join // @ElementCollection을 join 할때는 아래와 같이 사용해야합니다. // product.imageList를 productImage로 사용하겠다. query.leftJoin(product.imageList, productImage); query.where(productImage.ord.eq(0)); Objects.requireNonNull(getQuerydsl()).applyPagination(pageable,query); List<Tuple> productList = query.select(product,productImage).fetch(); // 쿼리를 실행시키기 위함. long count = query.fetchCount(); log.info("======================="); log.info(productList); return null; }이 코드에서 return 값을 넘기고 싶어서 수정하는데 어떻게 해야 값이 넘어가는지를 잘 모르겠습니다...TodoSearchImpl에서는 new PageImpl<>() 사용하셔서 넘기셨는데 여기서는 어떻게 처리해야 될까요??2. ProductServiceImpl의 getList() 메서드와 동일한 역할인거같은데, ProductSearchImpl 에서는 querydsl을 사용하셔서 보여주신거고 ProductServiceImpl에서는 jpa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주신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GenerationType.IDENTITY 의문점
[질문 내용]Long 으로 잡았을땐 db에 데이터가 들어가지는데 왜 String으로 하면 오히려 테이블이 사라지나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api 게이트 웨이 오류
user-service에선 정상적으로 실행되지만 api 게이트웨이 오류가 납니다. 403 오류입니다 인강에서 token secret값이 주석 처리 되어 있는데 실제로 인강에선 어떻게 실행된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링크 :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VfZnK2GoZrg7pMOsahW0ERZVXFL_w_6X?usp=drive_link강의를 듣다가 의문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코드를 작성하여 table에 값들을 저장하고 이후에 update를 em.find()를 통해 하려하거나 그동안 저장했던 member값들을 em.createQuery하려할 때 모두 테이블 값이 초기화되면서 아무것도 값을 가져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설정 문제인지 계속 롤백이 되도록 되어있는 것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링크도 첨부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address 질문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질문이 있어서 올리게되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address는 엔티티가 아닌 값타입이라고 하셨는데주소를 수정하는개념이 아닌회원 하나당 주소를 여러개를 가져야 할 경우 주소를 entity로 사용해도 되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사용 이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연관 관계 편의 메소드 team의 addMember 혹은 member의 changeTeam메소드를 사용한 이후로는 em.flsush와 em.clear 따로 호출하지 않아도 정상작동한다고 이해햇는데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