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spring data jpa로 반환할 때
작성
·
166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
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
(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EntityGraph를 이용하여 페이징 한계를 돌파할 때
리포지토리
public interface Ord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Order, Long> {
@EntityGraph(attributePaths = {"member", "delivery", "orderItems", "orderItems.item"})
Page<Order> findAll(Pageable pageable);
}
컨트롤러단
@GetMapping("/api/v3.1/orders") public List<OrderDto> ordersV3_page( @RequestParam(value = "offset", defaultValue = "0") int offset, @RequestParam(value = "limit", defaultValue = "100") int limit ) { Pageable pageable = PageRequest.of(offset, limit); Page<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pageable); return orders.stream() .map(OrderDto::new) .collect(Collectors.toList()); }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orderItems 이것이 @OneToMany관계에 있어 DB의 데이터가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orderItem개수에 따라) @EntityGraph(attributePaths = {"member", "delivery"}) 이렇게 적고 컨트롤러 단에서 동일하게 실행하게 되면 OrderDto::new 이것을 실행하게 되면서 Lazy전략으로 값을 가져오게 되어 페이징을 올바르게 처리할 수 있고, 만일 이때 값을 한번에 묶어서 가져오고 싶으면 @BatchSize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는데 올바르게 이해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염경호님.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찾아보았습니다. 다음 링크가 당신의 질문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OneToMany Many쪽의 페이지네이션 질문입니다:
- 이 질문과 답변에서는 OneToMany 관계에서 페이징을 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ManyToOne 관계로 변경하여 데이터수를 줄이는 것이 한 가지 해결책일 수 있습니다.
- 이 질문과 답변에서는 OneToMany 관계에서 페이징을 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ManyToOne 관계로 변경하여 데이터수를 줄이는 것이 한 가지 해결책일 수 있습니다.
현재 상황에서 OrderItem에 대한 조회가 왜 일어나는 지 잘 모르겠습니다.:
- 여기는
default_batch_fetch_size옵션을 사용했을 때의 동작과 이에 대한 설명을 다루고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DTO로 변환해서 반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여기는
-
- 이 질문에서는 페치 조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때 발생하는 문제들과 직접적인 해결 방법들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페치 조인과 지연 로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심도 있는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이 질문에서는 페치 조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때 발생하는 문제들과 직접적인 해결 방법들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페치 조인과 지연 로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심도 있는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