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6:40 출력값
출력한다면 값이 어떻게 되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5 파이썬 input 문자형
전 영상에서는 파이썬 input 입력문은 문자로 받는다고 하셨는데.2:05에서 파이썬 문자형을 int로 왜 숫자로 명시 안해주시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계산과 형변환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질문 1int result = (int) 10.0 + 1;에서 (int)10.0 이 먼저 형변환 된채로 연산을 하는건()소괄호의 연산자 우선순위가 1순위인것과 관련 있는건가요?질문 2double intValue = 2 / 1 ;double doubleValue = 2.0 / 1 ;intValue 의 2가 int형인 이유가 이전 강의에서 숫자 리터럴은 int형으로 판단한다고 말씀해주셔서 2가 int형으로 연산되었다고 예상했는데doubleValue 의 2.0은 같은 리터럴인데 왜 double로 판단 후 연산이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더 연습해보고 싶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접근제어자 문제까지 풀었습니다. 잘 풀리는 문제들도 있고 부분부분 막히는 문제들도 있는데, 혹시 이런 비슷한 예제들을 풀어볼 수 있는 사이트나 문제모음은 없을까요? 요구사항을 보고 어떻게 코드를 구성하면 좋을지 더 고민해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interrupt() 호출 후 출력 결과 질문있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처음 예제 작성했을 때 출력 결과가 이렇게 나왔었는데, (강의 5분 10초, 10분 50초 참고)work] 작업 중 work] 작업 중 main] 작업 중단 지시 thread.interrupt() work] work 스레드 인터럽트 상태2 = false main] work 스레드 인터럽트 상태1 = true work] interrupt message=sleep interrupted work] state=RUNNABLE work] 자원 정리 work] 작업 종료이 상황에서는 main스레드에서 interrupt() 후 바로 work 스레드가 예외 처리해서 work 스레드의 인터럽트 플래그가 false 로 됐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main스레드에서 work 스레드의 인터럽트 플래그가 true가 출력되었는데 어떻게 false가 아닌 true가 출력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다운로드 소스코드 삭제 방법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혹시 다운받은 소스코드 삭제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강의 중 헷갈리는 개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9:12초 정도에 블록 내부에서 외부는 접근 가능하다고 했는데 블록 외부에서 생성된 변수가 블록 내부에 접근 가능한 게 아닌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예외클래스 파일 선언 질문..
NetworkClientException 클래스의 하위 클래스인 Send,Connect 예외클래스들을 별도 파일로 각각 만들지 않고,NetworkClientException 클래스 내부에 정적 중첩 클래스로 선언하는건 안좋나요? 상황에따라 다양한 종류의 예외들을 만들텐데, 그런것들 마다 별로의 파일로 만드는게 저는 디렉토리가 복잡해 보이기도 하고, 논리적으로 어떤게 부모클래스이고 어떤게 자식클래스인지 한눈에 들어오지 않을거같다는 생각이 문득 들어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에노테이션 정리에서 - 에노테이션 서블릿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질문을 드립니다. 정리에서 에노테이션으로 서블릿을 만들라고 해서 만들었습니다.근데 복사 붙여 넣기 한 코드들이라서 이렇게 해도 되는지 알고 싶어서 올립니다.이용한 코드는 영한님의 심플맵핑, 리플렉션 서블릿을 복사 붙여놓기 한다음 수정해서 하였습니다. 이렇게 해도 되나요?답변 부탁 드립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4년 1회 기출문제 중 자바 코드 실행순서문제 (23:51) 질문입니다.
해당 내용 중Parent parent = new Child(3); // 6 이 실행되면이후 3 -> 1 순서로 진행된다고 설명해주셨는데, 만일 아래코드와 같이 super를 명시적으로 호출하지 않고, 파라미터도 동일하다면 순서가 1 -> 3의 순서로 진행되는 것일까요??class Parent { int x; Parent(int x) { // 1 this.x = x; } ... } class Child extends Parent { int x; Child(int x) { // 3 this.x = x; } ... } ... 만일 위 내용이 맞다면, 아래와 같이, 같은 파라미터의 생성자이면서 super를 명시적으로 작성했을 경우에는 순서가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합니다.(child의 생성자 내부 코드라인에 super가 존재해서 child의 생성자 호출이 우선인 것인지, 혹은 super가 명시적으로 없어도 child의 생성자 호출이 우선인것인지가 헷깔립니다ㅜ)class Parent { int x; Parent(int x) { // 1 this.x = x; } ... } class Child extends Parent { int x; Child(int x) { // 3 super(x + 1); this.x = x; } ... } ...
-
미해결어쩌다보니 스프링부트
혹시 강의 기간은 무제한으로 해주실수 있나요?
가끔 기본이 기억안날때 보러오고 싶은 강의인데 기간이 제한되어있어서 아쉬운거 같아요. 기간을 무제한으로 그게 무리라면 기간을 좀 길게 만들어 주실수 있을까여?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파이썬 예외처리
예외처리 문서에 예외 처리 블록의 역할 부분에서 출력값이5.0인데 왜 5가아니고 5.0인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4년 1회 코드해석 문제 - 20:25
"It is 8"; 여기서 8도 결국 문자인데 아스키코드로 변환하면 몇 번인지 알아야 하지 않나요 ???계산식에서 isdigit 매서드로 숫자로 변경이 되어도(p[i] - '0' + 3)%10 + '0'이렇게 문자가 섞여서 계산을 해야 답을 구할 수 있지 않나요 ?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23년 2회 첫번째 문제 (5:55) 질문있습니다.
해당 문제의 해설을 보기 전에 i==4 ? n[0] : n[i+1] 과 같은 형태로 답을 작성했는데, 실제 시험에서 이렇게 작성한 경우 답으로 인정될까요?? 혹시 알려주신 답처럼 n[(i+1)%5] 과 같은, 시험에서 답으로 인정되는 형태가 있는지 아니면 출력값만 맞으면 답으로 인정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5분대 평균을 구해보는 함수 예시에 대한 질문
sum += arr[i]가 누적이 아니기 때문에 1부터 5까지 더하는 것의 평균을 구하게 된다는 것은 이해했습니다! 다들 헷갈리게 되는 부분이 누적이 되는가 안 되는가 때문인 거 같은데, 그럼 만약 누적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함수를 적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8:38 업캐스팅 질문
헷갈려서 여쭈어보려고 합니다 ㅠㅠ즉, 업캐스팅 형식에서 자식에 기본생성자가 없으면 부모의 기본생성자를 먼저 호출하는 것이고5:28 문제처럼 자식의 기본생성자가 있을 경우에는 부모의 기본생성자를 호출하지 않는건가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스프링 sql오류
insert부분이랑 select부분에 저렇게 네모로 표시가 되고 오류가 떠서 웹에 사용자를 등록하면 서버 오류라고 뜨네용 ㅠㅠ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vs 이론공부 질문드립니다!
선생님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기출문제 강의는 2022년 3회~2024 3회 까지 있던데 , 2022년 3회 이전에는 기출 유형이 바뀌었다던가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기출문제를 다 풀고난뒤 이론공부를 할까 2022년 3회 이전의 기출문제 더 풀어볼까 고민입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H2 사용 시 ddl-auto update 설정하고 age 컬럼 alter 쿼리 발생 안 할 때
평소 같으면 그냥 업무할 때의 개발 환경과 동일하게 설정해서 할텐데...무슨 바람인지.. 이번엔 그냥 영한쌤 강의 보면서 그대로 따라해야지 하고 별생각 없이 강의를 듣던 중...ddl-auto create, create-drop까지 무난했음..ddl update로 하고 id , name 컬럼 생성 create문 정상 여기까지도 무난...ㅎ그러나 대망의 age 컬럼 추가하려고 하니?? alter문 왜 안 날라감? 했습니다...이것 저것하다가 해결되서 공유합니다..ㅎ영한 쌤이 실제 사용중인 H2 버전이랑 의존성 추가할 때 버전 맞추라고 하셨는데Hibernate 버전은 말씀이 없으셨습니다..그래서 H2 버전이 2.3.232 사용중이기 때문에 pom.xml 설정 중 hibernate 버전 6.4.4.Final 로 변경하고모든 import jakarta로 변경하니 잘되네요(JDK21 사용)```<!-- pom.xml --><!-- hibernate --><dependency><groupId>org.hibernate.orm</groupId><artifactId>hibernate-core</artifactId><version>6.4.4.Final</version></dependency><!-- Jakarta Persistence API --><dependency><groupId>jakarta.persistence</groupId><artifactId>jakarta.persistence-api</artifactId><version>3.1.0</version></dependency>```이후 모든 import문 jakarta로 변경Maven Refresh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챕터9 문제와 풀이2 이렇게 메서드 사용해서 이렇게 풀어도 괜찮은건가요..?
package method.ex;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ethodEx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balance = 0; while (true) { printMenu(); int option = getMenuOption(scanner); balance = processOption(option, balance, scanner); if (option == 4) { break; } } } public static int getMenuOption(Scanner scanner) { System.out.print("선택: "); return scanner.nextInt(); } public static int processOption(int option, int balance, Scanner scanner) { if (option == 1) { return deposit(balance, scanner); } else if (option == 2) { return withdraw(balance, scanner); } else if (option == 3) { showBalance(balance); } else if (option == 4) { printFinish(); } else { printError(); } return balance; } public static void printMenu() {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1.입금 | 2.출금 | 3.잔액 확인 | 4.종료"); System.out.println("---------------------------------"); } public static void printFinish() { System.out.println("시스템을 종료합니다."); } public static void printError() { System.out.println("올바른 선택이 아닙니다. 다시 선택해주세요."); } public static int deposit(int balance, Scanner scanner) { System.out.print("입금액을 입력하세요: "); int deposit = scanner.nextInt(); balance += deposit; System.out.println(deposit + "원을 입금하였습니다. 현재 잔액: " + balance); return balance; } public static int withdraw(int balance, Scanner scanner) { System.out.print("출금액을 입력하세요: "); int withdraw = scanner.nextInt(); if (balance >= withdraw) { balance -= withdraw; System.out.println(withdraw + "원을 출금하였습니다. 현재 잔액: " + balance); } else { System.out.println(withdraw + "원을 출금하려 했으나 잔액이 부족합니다."); } return balance; } public static void showBalance(int balance) { System.out.println("현재 잔액: " + balance + "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