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네트워크 프로그램 배포가 궁금해서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를 보다가 문득 궁금해서 질문드려요.네트워크 강의 코드를 작성할 때,하나의 프로젝트 폴더에 Server, Client 코드를 작성해서각각 실행시키는데요. 만약, 이 프로그램을 배포한다고 가정하면Server.jar 파일과 Client.jar 파일를 각각 만들고고객한테는 Client.jar 파일만 배포하면 되는거겠죠? Client.jar 파일에는 Client 코드만 있으면 되고Server.jar 에는 Session, SessionManager, Server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면 될 것 같은데..
-
해결됨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CPU 파이프라인 동작 코드 분석 중 의문점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파이프라인 동작 코드 분석 중 의문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다음의 다이어그램에서 보면, RegDST에 대한 명령이 ID 스텝에서 디코딩 된 후, EX 스텝까지 전달이 되어서 rt/rd중 선택하는 MUX를 통해 결정비트로 동작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코드 상에서는 ID step에서 해당 동작이 구현된 것 같습니다. 이 후 D FF을 통해 EX스텝으로 해당 비트가 전달되는 것은 동일합니다.혹시, EX가 아닌 ID 스텝에서 해당 기능을 구현하신 이유가 있을까요?질문이 많은데 늘 친절하게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vc1편에서 스프링부트 설치한적이 있는데 또 해야하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spring mvc1편에서 스프링부트 설치한적이 있는데 또 해야하나요?설치할때 artifact name부분이 다르긴 합니다mvc1편에서는 artifact, name이 servlet이였고 입문에서는 hello-spring이고packagename도 다르네요 새로 설치해야할까요?
-
미해결웹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표준, Web Animations API
스크롤 이미지 영역 넘어갈시 가로로 스크롤이 안되여
스크롤 이미지 영역 넘어갈시 가로가 움직여서 여러개의 이미지영역이 보이는게 안되여ㅠㅠ선생님 완성본 02.html도 안되는거같아요css@charset 'utf-8'; html, body, h1, h2, h3, h4, h5, h6, p, blockquote, code, img, dl, dt, dd, ol, ul, li, fieldset, legend, caption { margin: 0; padding: 0; border: 0; } div, span, article, section, header, footer, p, ul, li, fieldset, legend, label, a, nav, h1, h2, h3 { box-sizing: border-box; } html, body, div, span, applet, object, iframe, h1, h2, h3, h4, h5, h6, p, blockquote, pre, a, abbr, acronym, address, big, cite, code, del, dfn, em, img, ins, kbd, q, s, samp, small, strike, strong, sub, sup, tt, var, b, u, i, center, dl, dt, dd, ol, ul, li, fieldset, form, label, legend, table, caption, tbody, tfoot, thead, tr, th, td, article, aside, canvas, details, embed, figure, figcaption, footer, header, hgroup, menu, nav, output, ruby, section, summary, time, mark, audio, video { margin: 0; padding: 0; border: 0; } article, aside, details, figcaption, figure, footer, header, hgroup, menu, nav, section { display: block; } ol, ul, li { list-style: none; } table { border-collapse: collapse; border-spacing: 0; } img { max-width: 100%; height: auto; } html { font-size: 20px; font-family: Roboto; line-height: 1.6; } body { background: dodgerblue; } .wrap{ contain: paint; } .para { padding: 1em; font-size: 50px; } .gallery{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position: sticky; top: 0; width:350vw; max-width: 4000px; height: 100vh; border: 10px dashed deeppink; } .gallery-item{ width:70vw; max-width: 800px; flex-shrink: 0; } .gallery-timeline{ height:2000px; border:10px dashed mediumaquamarine; }02.jsimport './scroll-timeline.js' const gallery = document.querySelector('.gallery'); const galleryTimeline = document.querySelector('.gallery-timeline'); gallery.animate( [ {transform : 'translayeX(0)'}, {transform : 'translayeX(-100%)'} ], { fill : 'both', timeline : new ScrollTimeline ({ scrollOffsets : [ {target : galleryTimeline, edge : 'start' , threshold : 1}, {target : galleryTimeline, edge : 'end' , threshold : 1} ] }) } );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vercel 배포시 빌드 오류문제
src/app/(with-searchbar)/search/page.tsx Type error: Type 'Props' does not satisfy the constraint 'PageProps'. Types of property 'searchParams' are incompatible. Type '{ q?: string | undefined; }' is missing the following properties from type 'Promise<any>': then, catch, finally, [Symbol.toStringTag]vercel 명령어 사용시 build문제에서 에러가 생겼다고 하면서 위와 같은 타입 에러가 나오네요 ㅠ선생님께서 제공해주신 github에서 내용을 가져와 적용해보았으나 같은 에러가 나오게되어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텍스트 베리어블 오류 문제
텍스트 스타일 베리어블 등록이 첨부이미지 처럼 오류?가 나는데, 제가 텍스트 스타일 등록 내용을 볼드님이랑 다르게 하고 베리어블은 강의 내용대로 따라해서 그런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걍의 중 LogTrace 빈등록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에서 빈으로 등록된 LogTrace를 파라미터로 받았는데요, 이처럼 빈으로 등록된 객체를 파라미터로 받으려면 해당 메서드에 @Bean 애노테이션이 붙어있으면 이게 가능한건가요? 혹시 다른 경우에도 빈을 파라미터로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나요?강의에서 컴포넌트 스캔 범위를 "hello.proxy.app.v3"으로 한정지었기 때문에 LogTrace를 빈으로 등록한 ProxyApplication 클래스는 @SpringBootApplication에 @Configuration이 있지만 해당 클래스 자체가 컴포넌트 스캔 범위 밖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ogTrace가 빈으로 잘 등록될 수 있었던 건 컴포넌트 스캔과는 무관하게 @SpringBootApplication이 붙어있으면 그냥 무조건 빈으로 등록되기 때문에 ProxyApplication 클래스가 빈으로 등록되고 이 안에 있는 빈 등록 메서드를 통해 LogTrace도 따라서 빈으로 등록된는 건가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Helm편)
K8s 에서 Service, Pod, Container 의 Port 매핑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Helm 강의이긴 하지만 K8s 도 전문적으로 가르치시는 걸로 알고 있어서, K8s 질문을 조금 하게 되었습니다 (정말 주변에 물어볼 사람이 없어서..). Helm 질문이 아니라서 답변해주시기 어려우시다면 이해하겠습니다 ㅠ 기본기적인 질문인데, Service 가 Pod 내 Container 에게 어떻게 통신을 하는지 갑자기 이해가 조금 안됩니다.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 두가지가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1. Pod 내 단일 컨테이너,Service -> spec.ports.targetPort 에 1000 포트로 통신을 전달하도록 설정되어 있음"Service 는 selector 로 어떤 Pod 에게 보내야할지는 이미 알고 있고, Pod 내 targetPort 로 요청을 전달한다" 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Pod -> spec.containers.ports.containerPort 에 2000번 포트를 점유하도록 설정되어 있음>> 이런 시나리오인 경우에도, K8s 는 통신을 정상적으로 앱에 전달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containerPort 는 사실 큰 역할을 하지 않고, 실제 container 내부 Application 이 1000 포트에 런닝 중이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 Spring 경우 application.properties 내의 server.port=1000)>>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게 "왜 가능한지?" 가 궁금합니다. 2. Pod 내 멀티 컨테이너, Service -> 위와 동일Pod -> spec.containers 내부에 1000번 포트, 2000번 포트에 점유하는 두개의 컨테이너를 정의함 (각각 다른 앱)(물론 권장하는 상황은 아님)>> 이런 시나리오인 경우, 해당 Service 에 요청하면 containerPort:2000 인 컨테이너에게 요청을 전달하고, 해당 컨테이너에 점유중인 앱이 통신을 수신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 그럼 지금 1번 시나리오랑 다른 점인데, 멀티 컨테이너와 단일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Pod 간에는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건지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이런 경우에는 1번 시나리오에서 제가 이해한 컨테이너 내부 App Port 는 어떻게 아는지? 가 궁금합니다 만약 service 내부 containerPort 가 Pod 내 컨테이너가 점유중인 port 가 아닌, container 내부의 App Port 라면, Service 는 "Selector 를 통해 어떤 Pod 로 보내야 하는지 알 뿐 아니라 어떤 Container 로 보내야 하는지도 알고있다" 가 되는데, 이건 아닌 것 같았습니다. 혹시 어렵지 않으시다면, 제가 기본기가 좀 모자라서, 도움 한번만 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
미해결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42강 고양이끼리 소통 댓글 구현 중 Schema hasn't been registered for model 'comments' 에러 해결
async findAll() { const CommentsModel = mongoose.model('comments', CommentsSchema); const result = await this.catModel .find() .populate('comments', CommentsModel); return result; }cats.repository 파일 github에 되어있는 건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에러 발생이유는 모르겠으나 Nest 버전 차이로 보임 constructor(@InjectModel(Cat.name) private readonly catModel: Model<Cat>) {} async findAll() { const result = await this.catModel.find().populate('comments'); return result; }위처럼 바꿔주고 cats.schema에서 ref: 'comments' => 'Comments' 변경 _CatSchema.virtual('comments', { ref: 'Comments', localField: '_id', foreignField: 'info', }); _CatSchema.set('toObject', { virtuals: true }); _CatSchema.set('toJSON', { virtuals: true }); export const CatSchema = _CatSchema; 이렇게 해주니 해결 되었습니다
-
해결됨RAG를 활용한 LLM Application 개발 (feat. LangChain)
chroma vector db 생성에서 오류
안녕하세요. 지금 Chroma.from_documents(documents=document_list, embedding=embedding) 이 부분에서 에러가 나서 질문 드립니다. 개발 환경은 vscode에서 jupyter notebook 가상환경 만들어서 사용 중입니다. 사내에서 공부 중이라 drm으로 인해 txt 파일로 변경을 했고, ollama를 사용해서 embedding model을 생성했습니다. mxbai-embed-large 이 모델을 사용했고요. 일단 소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립니다. 그리고 1시간이 넘어가고는 canceled future for execute_request message before replies were done 이 에러가 뜨더라고요. 그래서 python으로 작성을 했더니 2시간 정도 걸리니까 생성은 되더라고요. 이건 좀 아닌 거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혹시 왜 이런지 아실까요?
-
미해결
실리콘벨리 단기연수 + 데이터/AI 부트캠프 모집! (온라인 부트캠프 최초 구글취업사례보유)
반복되는 탈락, 경력 없는 신입으로 취업이 가능하긴 할까..😥길어지는 취준 공백기에 걱정만 산더미라면?지금, 슈퍼코딩 부트캠프 신청하고 인턴십 경력까지 쌓아 보세요!웹개발자, AI 부트캠프까지!IT 업계 인턴으로 일해 볼 수 있는 기회! (올해가 지나면 기회가 없대요😭)Q. 슈퍼코딩 부트캠프, 어떤 점이 좋은가요?✅현업 프로젝트로 경쟁력 있는 포트폴리오 준비✅ 실제 기업과 연계하여 실무 경험 가능✅ 현직 최고 전문가와의 네트워킹✅ 100% 취업지원지금 신청 가능한 부트캠프 확인👉 https://supercoding.net/Seller/Index/jacob취업 그거, 슈퍼코딩과 함께라면 너도 할 수 있어💪 슈퍼코딩 Jacob 디렉터가 여러분들의 DATA/AI분야 커리어 시작을 도와드립니다.(강의등록시, Jacob 코드 입력하시면 추가할인 적용 및 담당디렉터 우선 배정을 통해 빠른 상담 진행됩니다.)Jacob디렉터 상담연결할인적용 링크연결
-
미해결코틀린 고급편
abstract class Fish(name:String):Animal(name)
파라미터 name:String에서 val name 이 안되는데 이유가 뭔지 모르겠네요;;
-
해결됨C개발자를 위한 최소한의 C++
변수 바인딩에 대한 의문점
변수는 컴파일 단계에서 이름과 타입이 명확하게 정해지기에 정적 바인딩으로 이해하는데 값을 바인딩 하는 것은 코드 if을 통해서 달라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동적 바인딩인가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state부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수업을 듣다가 감정일기만들기에서 처음에 일기 내용을을 담는 data라는 것을 만들고 이걸 new, edit페이지 등에 전부 필요하니 전체 공급하기위해 context를 사용한다라고 이해를 하고 있는데 궁금한점이 나중에 혼자 코드를 작성을 할때에 state가 어느 컴포넌트에 필요해서 context를 사용하고 이런것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기초부터 따라하는 디지털포렌식
이 강의를 들으면 휴대폰 복구도 할 수 있나여?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이 강의릉 전부 결제 후 시청하면 복구 할 수 있는 카톡의 경우 자가복구가 가능할까요?
-
해결됨Azure Native로 나만의 GPT 만들기
webpubsub연결 오류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 front와 API를 연결하는 작업 도중, 계속 마지막에 토큰까지는 잘 받아오지만 웹소켓을 못 만드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문제가 무엇일까 계속 고민해보다가 이 강의 가장 처음에 강사님이 진행했던 =을 붙이는 작업이 떠올라 그 =을 다시 지워줬습니다. 그런데 해결이 됐습니다. 제 키에는 =가 마지막에 없더라구요... =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존재하나봅니다. =의 차이가 혹시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그냥 암호의 일부분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RepositoryTest를 junit5용으로 고쳤는데 오류가발생합니다 + junit4를 사용해야만 할까요?
https://drive.google.com/file/d/1PBHzDQJ0Odvh2KWMa_BTOu3PZqHrMJkj/view?usp=drive_linkMemberRepositoryTest를 실행하면 이렇게 됩니다. junit5로 하고 있는데 이런식으로 오류가 발생합니다. JPA와 DB 설정, 동작확인 13분경까지 들었습니다. JpashopApplication를 실행해도 오류가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블로그 포스팅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혹시 듣는 강의 에서 나온 내용직접 다 적으면서 수강중이긴 한데코드 내용을 일부분 적어서 블로그에 포스팅 하는것 괜찮나요?
-
미해결배달앱은 어떻게 내 주변의 맛집을 찾을까?
캐시 구현에서 Redis - MongoDB 스코프
제가 이해한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Request -> API -> Service -> Entity Redis에서 캐시 조회 실패하면 redis에서 몽고 db collection 관련 함수를 직접 조회 하는 게 아니라 서비스로 돌아가서 서비스단에서 몽고 db collection 관련 함수를 호출하는게 맞지 않나요? 아니면 주신 코드 처럼 Entity 단에서는 서로를 호출하면서 작동하는게 맞나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키생성 방식에 따른 성능
안녕하세요.문제점 해결하기 강의에서 실습을 잘 진행했습니다.실험을 하며 결과를 관측하던 중,@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RequiredArgsConstructor @Entity public class Coupon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위와 같이 @GeneratedValue를 적용하면로그패턴도 달라지고 성능이 급격하게 나빠지더라고요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로 지정하면 실습이 잘 진행됩니다.왜 이런차이가 발생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strategy를 선택하지 않으면 AUTO이며 이는 mysql에서 IDENTITY를 선택한 것과 같게 나와야하는데 예상과 달라 질문드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