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y_train
y_train = train.pop("price")를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5회
이 과정은 왜 거치는 것이고, 왜 transmission을 택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일반적으로 for문이 들어가는 부분
강의를 듣다보면 for문으로 레이블인코딩을 쉽게 하는 걸로 배웠습니다 헌데 Scaling 할때는 for문이굳이 필요 없나요?cols = ['Age', 'AnnualIncome', 'FamilyMembers', 'ChronicDiseases'] display(n_train.head()) n_train[cols] = scaler.fit_transform(n_train[cols]) n_test[cols] = scaler.transform(n_test[cols]) n_train.head() 이런식으로 바로 cols를 집어넣으시던데,labelEncoding때에만 for로 하는 경우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간단질문
안녕하세요?1번 : statsmodels.api.stats 에서의 anova_lm 2번 statsmodels.stats.anova에서의 anova_lm 이 두개는 다른건지요? 일원분산분석을 할때는 2번으로,, 이원분산분석은 1번으로 되어 있어서요.. 차이가 있는건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2 - 라벨인코더
작업형2를 풀때, 라벨인코더를 해서 풀고 마지막에 오류로, Train에서는 라벨인코더가 되었는데.. Test데이터에서는 라벨인코더가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습니다. gpt는 이 이유가, train간 test데이터 사이에 항목이 달랐기 떄문에 이런 오류가 났다고 설명하는데...(예를 들어 train에 라벨인코더한 항목이 A.B.C로 되어있다면 test데이터는 A,B,C,D로 되어있어 나는 오류) 그럼 라벨인코더를 쓸때는 꼭, train, test간 데이터 종류/갯수가 같은것을 확인하고 쓸 수 밖에 없는건가요..?? 이런경우 그냥 더미변수처리를 해야하는걸까요?ㅠㅠ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학습 및 예측은 맞는데 데이터생성 시 에러발생합니다.
import pandas as pd train = pd.read_csv("https://raw.githubusercontent.com/lovedlim/inf/refs/heads/main/p4/3_2/train.csv") test = pd.read_csv("https://raw.githubusercontent.com/lovedlim/inf/refs/heads/main/p4/3_2/test.csv") # print(train.shape, test.shape) # print(train.head()) # print(test.head()) train=train.drop('Unnamed: 0', axis=1) test=test.drop('Unnamed: 0', axis=1) target=train.pop('TravelInsurance') # print(train.shape, test.shape) # print(train.isna().sum().sum()) cols=train.select_dtypes(include="O").columns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LabelEncoder # le=LabelEncoder() for col in cols: le=LabelEncoder() train[col]=le.fit_transform(train[col]) test[col]=le.transform(test[col]) # print(train.head())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 x_val, y_tr,y_val=train_test_split(train, target, test_size=0.2, random_state=0) # x_tr.shape, x_val.shape, y_tr.shape, y_val.shape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 rf=RandomForestClassifier(n_estimators=100, max_depth=5, random_state=0) rf.fit(x_tr,y_tr) pred=rf.predict_proba(x_val)[:,1] from sklearn.metrics import roc_auc_score print(roc_auc_score(y_val, pred)) pred=rf.predict_proba(test)[:,1] print(pred.shape) 0.8155945419103314 (497,) 그런데 pd.DataFrame({'y_pred':pred}).reset_index().to_csv('222.csv', index=False) print(pd.read_csv("222.csv")) 하면 에러가 뜨네요. 왜 그럴까요? --------------------------------------------------------------------------- Value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ipython-input-99-63ade06c177d> in <cell line: 37>() 35 pred 36 pd.DataFrame({'y_pred':pred}).reset_index().to_csv('222.csv', index=False) ---> 37 print(pd.read_csv("222.csv")) 15 frames /usr/local/lib/python3.10/dist-packages/pandas/io/formats/format.py in <listcomp>(.0) 1351 formatted = np.array( 1352 [ -> 1353 formatter(val) if not m else na_rep 1354 for val, m in zip(values.ravel(), mask.ravel()) 1355 ] ValueError: Format specifier missing precision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concat 관련
여기서 concat을 사용하는 이유가 X_train과 y_train을 df로 합치기 위해서인데,labelencoding은 왜 X_train으로 진행하신건가요? X_train.select_dtypes(include = 'object')가 아닌df.select_dtypes(include = 'object')가 아닌짛 해서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iloc
iloc[0:,-2]0인 이유가 뭘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다중회귀모델 독립변수 인코딩
다중회귀모델을 학습할 때 독립변수에 포함된 범주형변수를 인코딩 안 하고 학습했을 때의 결정계수값과 인코딩 했을 때의 결정계수 값이 다르게 나오는데, 이런 경우 인코딩을 하고 계산하는 게 맞는건가요? 전자는 자동으로 처리가 된 것 같은데 시험에서는 어떤걸 정답으로 쳐주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uint8 , bool
bool이라고 나왔는데 맞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시나공 빅분기 교재관련 문의(p.177) 및 정오표관련
시나공 빅분기 교재관련 문의p.177 25번 문제에서시간간격이 1일 이하인 사용자를 제외하고 계산하라고 했는데cond1 = time_interval > 0 로 되어 있는데cond1 = time_interval > 1 이 되어야 하는게 맞지 않을까요??혹시 " > 0 " 으로 풀이한 이유가 있을까요?? ps. 교재관련 정오표를 찾고 있는데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2유형 성능향상(분할관련)
안녕하세요. 2유형에서 성능을 올리려면 데이터 분할을 안하면 된다고 들었는데요 그러면 분할자체를 하지않고 랜포에 rfr.fit(train) 이렇게 학습시키면되나요? 이런 케이스도 코드예시 올려주시면 좋겠어요 아에 분할을 안하는 2유형 전체코드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문제8, 문제9 풀이에서 numeric_only=True 옵션
문제8, 문제9 풀이에서 numeric_only=True 옵션에 대해서궁금해서 질문해요문제 8번 풀이에서df =df.groupby(['city','f2']).sum(numeric_only=True).reset_index()df =df.groupby(['city','f2']).sum(numeric_only=True).reset_index() 에서는 컬럼 'city' 와 'f2' 컬럼이수치형 자료라 numeric_only=True 를 설정해야 하는 건가요!? 문제 9번 풀이에서 groupby 로 월 별 데이터 개수를 구할 때는 count(numeric_only=True) 로 설정하면 오류나는 이유는 뭔가용..??? month 가 숫자형이어서 그런가요 아니면 count 가 설정할 필요가 없어서인가요 ? ㅠ.ㅠ numeric_only=True 를 어느 때 써야하고 안 써야하는지 구분하는게 정확히 어떤 기준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대비 (R 활용)
f1 스코어
rpart, lda, randomForest를 사용해서 각각 나온 f1 스코어의 평균이 높은 값을 사용해서 답을 제출하면 되나요?
-
미해결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대비 (R 활용)
작업 2유형 제출형식
실제 예측값의 제출형식이 0,1로 되어있으면 실제 predict 함수 사용 시 type="prob"를 삭제하면 되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들여쓰기
들여쓰기를 했는데도 에러가 뜨는 데 왜일까요?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한가지 방법으로 풀기
#train['환불금액']=train['환불금액'].drop#test['환불금액']=test['환불금액'].droptrain=pd.get_dummies(train)test=pd.get_dummies(test)target=train.pop('성별')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X_tr, X_val, y_tr, y_val = train_test_split(train,target,test_size=0.2,random_state=0)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model=RandomForestClassifier(random_state=0)model.fit(X_tr,y_tr)pred=model.predict(test)submit=pd.DataFrame({'pred':pred})submit.to_csv('result.csv',index=False)a=pd.read_csv('result.csv')print(a.head()) 위와 같이 한가지방법으로 풀기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는데 model.fit(X_tr,y_tr) 에서 오류가 납니다. 결측치가 있는 '환불금액'열을 삭제해도 동일한데 한가지방법으로 푸는 코드에 오류나 잘못된 부분이 있을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target 값이 object이면 검증하기전에 항상 int형으로 변경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target 값이 object이면 검증하기전에 항상 int형으로 변경해야되나요? RandomForest 나 lgb 사용할 경우에는 그냥 안해도 되는거죠....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다시 학습을 할 필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검증용 데이터로 나눈 후 학습을 하면 비교적 적은 데이터로 학습이 될텐데요. 그러면 성능 확인 후 검증용데이터로 나누기전의 데이터로 다시 학습시키는 것이 좋을까요?
-
미해결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대비 (R 활용)
작업형 2유형 인덱스값
구체적으로 설명이 될 줄 모르겠습니다... 앞에서 tst <- tst[,-1]로 X값을 날려서 tst로 새롭게 저장이 됐는데,,, 인덱스 생성을 위해 마지막 답안 제출 시 tst$X로 실행 시 왜 X가 살아있는건지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