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yarn add 후에 아래 에러가 발생하는것 같습니다.
[Nest] 39177 - 2025. 01. 23. 오후 2:27:12 LOG [RoutesResolver] CommonController {/common}: +1ms[Nest] 39177 - 2025. 01. 23. 오후 2:27:12 LOG [RouterExplorer] Mapped {/common/image, POST} route +0ms[Nest] 39177 - 2025. 01. 23. 오후 2:27:12 LOG [RoutesResolver] ChatsController {/chats}: +0ms/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153 throw new TypeError(`Missing parameter name at ${i}: ${DEBUG_URL}`); ^TypeError: Missing parameter name at 9: https://git.new/pathToRegexpError at name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153:13) at lexer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171:21) at lexer.next (<anonymous>) at Iter.peek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188:32) at Iter.tryConsume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195:24) at Iter.text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213:26) at consume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285:23) at parse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320:18) at /Users/hjlee/Documents/projects/node_study/nestjs_server/node_modules/path-to-regexp/src/index.ts:503:40 at Array.map (<anonymous>)yarn add하여 위 에러가 발생해서 찾아보니 express 5.0.0일때 나타나는 에러라고 하네요.25년 1월기준 yarn add 커맨드 입력당시 nestjs 10.x.x -> 11.x.x로 되면서 발생한 에러라서 다운그레이드하니 해결되긴 했습니다.다른 수강생들에게 도움이될까 하여 남깁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yarn berry 사용하고 데이터베이스 설정 값 .env로 분리
"devDependencies": { "@nestjs/cli": "^10.4.9", "@nestjs/schematics": "^10.2.3", "@types/express": "^4.17.17", "@types/jest": "^29.5.2", "@types/node": "^20.3.1", "@types/pg": "^8", "@types/supertest": "^6.0.0", "@yarnpkg/pnpify": "^4.1.3", "dotenv": "^16.4.7", "dotenv-cli": "^8.0.0", "jest": "^29.5.0", "source-map-support": "^0.5.21", "supertest": "^7.0.0", "ts-jest": "^29.1.0", "ts-loader": "^9.4.3", "ts-node": "^10.9.1", "tsconfig-paths": "^4.2.0", "typescript": "~5.3", "webpack": "^5.97.1" },dotenv랑 dotenv-cli 설치하고"start:dev": "dotenv -e .env nest start --watch", "start:debug": "dotenv -e .env -- yarn dlx @nestjs/cli start --debug --watch",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
해결됨[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디스코드 오류
코드팩토리 디스코드에 질문하면 더욱 빠르게 질문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코드팩토리 디스코드]https://bit.ly/3HzRzUM 위 코드는 만료됬다고 나옵니다.
-
해결됨[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Many To Many 궁금점
아래 처럼 Post 또는 Tag 테이블에 값이 들어가면서 post_model_tags_tag_model 테이블에 값이 반영이 되는데요실무에서는 실질적으로 Post 또는 Tag 테이블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값을 활용해서 post_model_tags_tag_model 테이블이 업데이트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즉, Post_1 이라는 Post 테이블의 값에 Tag_1만 적용되어 있었는데 추후에 Tag_2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무조건 Post 테이블에 값을 삽입하면서 post_model_tags_tag_model 테이블에 값을 넣어줘야 하나요? @Post('posts/tags') async createPostTags() { //post_model 테이블에 삽입 const post1 = await this.postRepository.save({ title: 'NestJs Lecture', }); // post_model 테이블에 삽입 const post2 = await this.postRepository.save({ title: 'Programming Lecture', }); // post_model_tags_tag_model 테이블에 삽입 const tag1 = await this.tagRepository.save({ name: 'javascript', posts: [post1, post2], }); // post_model_tags_tag_model 테이블에 삽입 const tag2 = await this.tagRepository.save({ name: 'typescript', posts: [post1], }); // post_model_tags_tag_model 테이블에 삽입 const post3 = await this.postRepository.save({ title: 'NestJs Lecture', tags: [tag1, tag2], }); return true; }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AccessTokenGuard, RefreshTokenGuard를 쓰는 모든 모듈에 AuthModule과 UserModule을 import 해줘야하나요?
AuthModule과 UserModule을 PostModule에 추가하면 Dependency 에러가 해결되는 것은 이해가 됐습니다.다른 질문이 생겼는데요.그러면 해당 Guard를 사용하는 모든 Module에 해당 Guard가 DI 받아서 사용하는 (여기서는 AuthService와 UserService) 모듈 (AuthModule, UserModule)을 import 해주어야 하는 건가요?만약 AccessTokenGuard 를 모든 controller에서 사용한다면, 모든 모듈에 AuthModule, UserModule을 import 해주어야 하는 걸까요?그리고 만약 Guard에 DI 가 새로 추가된다면, (예를 들면 NewModule의 NewService를 Guard가 필요로 한다면)다시 원래 Guard가 사용되고 있던 모듈들 전부에 NewModule을 import 해줘야하는 걸까요?제가 이해한게 맞다면, 의존성 측면에서 매우 좋지 않은 것 같아, 의문이 생겨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Resource 마다 Provider를 설정해줘야 하는 이유가 몰까요?
모듈마다 provider를 설정해줘야 되는 장점이 몰까요? 예를 들어 post.service 를 post.controller 에도 쓸수있지만 user.service 에도 post.service를 주입해도 쓸수있는데 그럼 user.module에 또 provider로 post.service를 추가 해야되는건가요? 그냥 IoC에서 등록만하면 되게 하지않았을까요?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confluent > skip 이 더이상 안되나봅니다.
이게 이제는 skip 으로는 안되나보네요..ㅎㅎ
-
미해결처음하는 파이썬 백엔드 FastAPI 입문 (FastAPI부터 비동기 SQLAlchemy까지) [풀스택 Part1-2]
실전 프로젝트 코드
- 강의 영상에 대한 질문이 있으시면, 상세히 문의를 작성해주시면, 주말/휴일 제외, 2~3일 내에 답변드립니다 (이외의 문의는 평생 강의이므로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강의 답변이 도움이 안되셨다면, dream@fun-coding.org 로 메일 주시면 재검토하겠습니다. - 괜찮으시면 질문전에 챗GPT 와 구글 검색을 꼭 활용해보세요~-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다운로드 방법포함)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이전에 수업에 관한 코드는 pdf파일로 공유 받았는데실전 프로젝트 코드는 어디서 받을수있나요????
-
미해결처음하는 파이썬 백엔드 FastAPI 입문 (FastAPI부터 비동기 SQLAlchemy까지) [풀스택 Part1-2]
강의자료
- 강의 영상에 대한 질문이 있으시면, 상세히 문의를 작성해주시면, 주말/휴일 제외, 2~3일 내에 답변드립니다 (이외의 문의는 평생 강의이므로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강의 답변이 도움이 안되셨다면, dream@fun-coding.org 로 메일 주시면 재검토하겠습니다. - 괜찮으시면 질문전에 챗GPT 와 구글 검색을 꼭 활용해보세요~-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다운로드 방법포함)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제공하신 강의자료는 다운받아서 코드로 있는데섹션9 FastAPI 리퀘스트(Request) 와 예외처리 FastAPI 예외처리와 HTTPException 클래스 4초에 보시면 왼쪽 화면에 08_exceptionhandling.md 와 같이 설명하는 파일은 강의자료에 없는데 어떻게 보는건가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timezone 관련
안녕하세요 선생님.질문이 있습니다! @CreateDateColumn({ name: 'mb_regs_tm', type: 'timestamp', comment: '등록일시', }) regs_tm: Date; @UpdateDateColumn({ name: 'mb_mod_tm', type: 'timestamp', nullable: true, comment: '수정일시', }) mod_tm: Date;위 데코레이션으로 만든 컬럼은 따로 시간을 지정해주지 않다보니 자동으로 UTC로 값이 설정되는데요.문제는 @Column({ name: 'mb_exp_tm', type: 'timestamp', nullable: true, comment: '만료일시', }) exp_tm: Date;이 컬럼의 경우 export function getExpirationDate(days: number): Date { const now = new Date(); return new Date(now.setDate(now.getDate() + days)); }위의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가 생성된 날로부터 90일을 더한 값으로 만료일을 설정하거든요.근데 mb_exp_tm 컬럼만 KST로 설정되고 나머지 mb_regs_tm, mb_mod_tm는 UTC로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https://github.com/typeorm/typeorm/issues/5841위 이슈에서도 제가 현재 고민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얘기하고 있지만 명확한 답은 아직 찾질 못해서요.혹시 위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들을 수 있을까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특정 post의 특정 코맨트 조회 API 관련 질문
@Get(':commentId') getComment(@Param('commentId', ParseIntPipe) commentId: number) { return this.commentsService.getCommentById(commentId); }안녕하세요 코드팩토리님해당 강의 듣는중 CommentController의 getComment 메서드에서 분명 특정 post의 특정 comment를 가져와야할거같은데 보면 commentId로만 조회하는걸로 보여집니다.제가 이해하지 못하고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건지 반대인지 확인이 필요해보입니다. 상기는 해당 문제되어 보여지는 코드입니다. 강의에서는 postman을 사용해 해당 엔드포인트로 요청하는 장면이있는데 postId에 152? 게시글ID 값을 넣어서 조회하는데 코드대로면 의미가 없어보입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세션 10] FindOne 함수 이용해서 하나의 데이터만 찾기에서
http://localhost:3000/posts/:id 를 send하게되면NotFoundException()이 실행이 되야하는데 이런 에러가 나옵니다async getPostById(id: number) { const post = await this.postsRepository.findOne({ where: { id, }, }); if (!post) { throw new NotFoundException(); } return post; }잘 입력한 것 같은데 . 왜그런가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OneToOne Option OnDelete 작동
안녕하세요 코드팩토리님 NestJS에 관심이 생겨 최근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OneToOne 에서 onDelete 설정을 했을 때 계속 profile이 null 값으로만 변경되는데 제 코드에 문제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검토 한 번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user.entity.ts export class UserModel { // 자동으로 ID 생성 @PrimaryGeneratedColumn() id: number; @Column() email: string; @Column({ type: 'enum', enum: Role, default: Role.USER, }) role: Role; // 데이터가 생성되는 날짜와 시간이 자동으로 찍힌다. @CreateDateColumn() createdAt: Date; // 데이터가 업데이트되는 날짜와 시간이 자동으로 찍힌다. @UpdateDateColumn() updatedAt: Date; // 데이터가 업데이트 될 때마다 1씩 올라간다. // 처음 생성되면 값은 1이다. // save() 함수가 몇번 불렸는지 기억한다. @VersionColumn() version: number; @Column() @Generated('uuid') additionalId: string; ////////////// 이 부분 ///////////// @OneToOne(() => ProfileModel, (profile) => profile.user, { // find() 실행 할 때마다 항상 같이 가져올 relation을 정할 수 있다. eager: true, // 저장할 때 relation을 한번에 같이 저장 가능하게 한다. cascade: true, // null 값이 가능하게 한다. nullable: true, // on: ~했을 때 // 관계가 삭제 됐을 때 // no action => 아무것도 안함 // cascade => 참조하는 Row도 같이 삭제 // set null => 참조하는 Row에서 참조 id를 null로 변경 // set default => 기본 세팅으로 설정 (테이블의 기본 세팅) // restrict => 참조하고 있는 Row가 있는 경우 참조 당하는 Row 삭제 불가 onDelete: 'RESTRICT', }) profile: ProfileModel; ////////////// 이 부분 ///////////// @OneToMany(() => PostModel, (post) => post.author) posts: PostModel[]; } // app.controller.ts import { Controller, Delete, Get, Param, Patch, Post } from '@nestjs/common'; import { InjectRepository } from '@nestjs/typeorm'; import { Role, UserModel } from './entity/user.entity'; import { Repository } from 'typeorm'; import { ProfileModel } from './entity/profile.entity'; import { PostModel } from './entity/post.entity'; import { TagModel } from './entity/tag.entity'; @Controller() export class AppController { constructor( @InjectRepository(UserModel) private readonly userRepository: Repository<UserModel>, @InjectRepository(ProfileModel) private readonly ProfileRepository: Repository<ProfileModel>, @InjectRepository(PostModel) private readonly PostRepository: Repository<PostModel>, @InjectRepository(TagModel) private readonly TagRepository: Repository<TagModel>, ) {} @Get('users') getUsers() { // OntToOne에 eager: true 설정을 하면 relations 옵션을 여기에서 넣어주지 않아도 된다. return this.userRepository.find({}); } @Delete('user/profile/:id') async deleteProfile(@Param('id') id: string) { await this.ProfileRepository.delete(+id); } @Post('user/profile') async createUserAndProfile() { const user = await this.userRepository.save({ email: 'asdf@naver.com', profile: { profileImg: 'asdf.jpg', }, }); // cascade: true 설정을 하면 relation을 한번에 같이 저장하게 되서 더 이상 두번 save 할 필요가 없음 // const profile = await this.ProfileRepository.save({ // profileImg: 'asdf.jpg', // user, // }); return user; } }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1
[오타 제보] 선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분석
안녕하세요~!강의에 오타가 있는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e2 서브쿼리에 user_id도 select 절에 포함되야 할 것 같아요!select sum(sign_up) as signed_up, sum(complete_purchase) as completed_purchase, (sum(complete_purchase) / sum(sign_up) * 100) as conversion_rate from ( -- 1월에 새로 가입한 유저 목록 select user_id, 1 as sign_up, min(created_at) as sign_up_time from user_events where event_type = 'SIGN_UP' and created_at >= '2024-01-01' and created_at < '2024-02-01' group by user_id ) e1 left join ( -- 처음 결제한 시점 정보 목록 select user_id, 1 as complete_purchase, min(created_at) as complete_purchase_time from user_events where event_type = 'COMPLETE_PURCHASE' group by user_id ) e2 on e2.user_id = e1.user_id and e2.complete_purchase_time >= e1.sign_up_time and e2.complete_purchase_time < date_add(e1.sign_up_time, interval 7 day);
-
미해결처음하는 파이썬 백엔드 FastAPI 입문 (FastAPI부터 비동기 SQLAlchemy까지) [풀스택 Part1-2]
터미널에서 uvicorn명령어 칠때 자동완성
자동완성 되시던데요. 어떤 확장프로그램쓰시는걸까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basic, bearer 토큰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basic, bearer 토큰을 이미 범용적으로 널리 사용된다고 하셨는데 궁금한점이로그인할 때 id/pw 를 header 에 넣어서 보낸다고 하셨는데패킷을 탈취하면 너무 취약할 것 같아서요. 제가 웹개발자가 아니라 실무에선 실제로 어떻게 쓰는지 알고싶어서 질문남깁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debug 강의 질문입니다.
강의 내용처럼 그대로 따라 했을 때 다음과 같이 됩니다.1. 아래 사진 처럼 breakpoint 설정 시 빨간색이 아니라 빈원이 나옵니다. 실제 실행하였을 경우 break가 걸리긴 하는데 ts파일이 아닌 compile된 js 파일로 넘어갑니다. 인터넷 찾아보고 sourceMap 관련된거 같아서 tsconfig 파일에 sourceMap: true 넣고 launch.json에 sourceMaps: true 넣어봤는데도 변함이 없네요 어떤 부분을 확인해봐야할까요?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1
2강. VARCHAR(255) 저장되는 데이터의 길이 정보 질문
안녕하세요. 2강을 수강하면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글 남깁니다. VARCHAR(30) vs VARCHAR(255) 둘 중에서 데이터 타입을 선택할 때 실제 사용하는 길이만큼만 명시해 주는 게 메모리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VARCHAR(30)와 VARCHAR(255) 모두 저장되는 데이터의 길이 정보를 1 바이트(0~255 표현 가능)로 저장하는 것이 맞는걸까요?강의 자료에 VARCHAR(30) vs VARCHAR(255) 차이를 설명할 때 '디스크 공간 효율 차이도 미미하게 존재(1바이트 vs 2바이트)'라고 적혀 있어 VARCHAR(255)에서 저장되는 데이터 길이 정보에 2바이트의 공간을 할당한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서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7일완성]생각하는 데이터베이스모델링
쿼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26_학사관리시스템(SQL실습3)"에 있는 쿼리 중에 조인과 서브쿼리 중 대체적으로 어떤 방법이 성능에 더 좋은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두 가지 질의에 대해서 3가지 방법으로 조인과 서브쿼리를 섞어보았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교양엉어 과목을 수강 신청한 학생의 이름-- 1. JOIN 2번select s.student_namefrom student_course scJOIN student s on sc.student_id = s.student_idJOIN course c on sc.course_code = c.course_codewhere c.course_name = '교양 영어';-- 2. JOIN 1번, where 절에 subQuery 1번select s.student_namefrom student_course scJOIN student s on sc.student_id = s.student_idwhere course_code = (select course_codefrom coursewhere course_name = '교양 영어');-- 3. where 절에 subQuery 2번select s.student_namefrom student swhere s.student_id in (select student_id from student_coursewhere course_code = (select course_code from coursewhere course_name = '교양 영어' ));-- 가교수의 과목을 수강신청한 학생수를 출력-- 1. JOIN 2번select count(student_id) as cnt -- count(student_id) as cntfrom student_course scJOIN course c on sc.course_code = c.course_codeJOIN professor p on c.professor_code = p.professor_codewhere p.professor_name = '가교수';-- 2. JOIN 1번, WHERE 절에 subQuery 1번select count(sc.student_id) as cntfrom student_course scwhere course_code in (select c.course_code from course cJOIN professor p on c.professor_code = p.professor_code where p.professor_name = '가교수');-- 3. where 절에 subQuery 2번select count(sc.student_id) as cntfrom student_course scwhere sc.course_code in (select c.course_code from course cwhere professor_code = (select professor_code from professor pwhere professor_name = '가교수'));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1
LIMIT, OFFSET을 사용하는 것과 범위 기반 방식의 성능 차이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제가 이해한바로는 LIMIT, OFFSET은 앞에서부터 data를 순차적으로 읽기때문에 성능 상 좋지 않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범위 기반 방식을 사용한다고 이해하였습니다.범위 기반 방식은 직접 ID 값을 지정 해주는 방식이며, id 기반으로 5000단위로 조회한다고 가정하면1회차: select * from users where id > 0 AND id <= 50002회차: select * from users where id > 5000 AND id <= 1000위와 같이 구현될 것으로 예상됩니다.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요. 결국 두번째 쿼리를 실행 시 5000보다 큰 id를 찾는 과정에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id가 index로 지정되어있어 LIMIT, OFFSET 방식보다 빠르게 찾을 수 있는 것인가요??LIMIT, OFFSET 방식 사용 시 어떤 컬럼이 index로 지정되어있는지와 상관없이 무조건 순차 탐색이 일어나는 것이고 범위 기반으로 조회 시 index로 서치하기때문에 더 빠르게 시작점을 탐색할 수 있다고 이해하면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