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CloudNet@ - AWS 네트워킹 입문
loadbalancer와 route53 서비스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LB가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트래픽을 적절히 분배하여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이해하였는데,Route53서비스 에서도 가중치를 통해 대략적인 트래픽 분배를 하는것 같아 보입니다.LB와 Route53의 가중치로 인한 트래픽 분배가 차이점이 있나요?각각의 활용방안이 다른걸까요?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쿠키 정보 자동 포함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강의에서 모든 요청 정보에 쿠키 정보를 자동으로 포함한다 + 쿠키를 무조건 보낸다 이렇게 설명을 주셨는데요쿠키는 브라우저가 저장한다고 알고있습니다.즉 실제 보관되는 장소는 로컬 저장소(내 컴퓨터 드라이브)라고 이해하고 있는데요여기 저장소에는 구글에서 요청한 쿠키, 네이버에서 요청한 쿠키 등 많은 서버에서 요청한 쿠키가 저장되어있지 않나요?어떤 사이트에 접근할 때 해당 서버 측에서 필요한 쿠키만 선별해서 전송한다고 생각을 하는데요그러면 요청 정보에 쿠키를 담아 보낼때 어떤 쿠키를 담아 보낼지 클라이언트 측에서 판단하여 결정하나요? 아니면 서버가 판단하나요?그리고 어떤 쿠키를 보낼지 어떻게 결정하나요? 강의에서 설명해주신 path와 domain을 보고 판단하나요?1. 어떤 쿠키를 보낼지 결정하는 주체가 클라이언트 측인지 서버 측인지 궁금합니다2. 어떤 쿠키를 보낼지 어떻게 결정하나요?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HTTP가 왜 무상태인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TCP는 3 way handshake로 stateful인데TCP 기반으로 작동하는 HTTP가 왜 stateless인지 모르겠습니다stateful로 작동하는 TCP 위에서 HTTP가 어떻게 stateless로 작동한다는 것인지 이해가지 않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L3 계층의 라우터와 GW 호스트가 동의어인가요?
안녕하세요! 간단한 질문이 될 수도 있지만 궁금해서 남깁니다! 강사님의 L3 계층 관련 강의 챕터를 다 보았는데요! 영상 속에서 패킷의 생성-전달 과정을 택배 상황에 비유해서 들어주셨는데요! 여기서 '택배 기사가 GW며 GW가 라우팅을 한다' 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GW 호스트 = 라우터 인 것 맞을까요?? 생각해보면 호스트에는 엔드포인트와 스위치 호스트로 나누어지고, 라우터는 스위치 호스트에 해당할 것 같은데, 이 사고 과정이 맞는지 여쭤봅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캐시 데이터 저장 위치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설명해주신 캐시에 저장하는, 1.1M를 다운 받는 데이터들을 캐시에 저장할때 실제 클라이언트측 pc의 캐시 메모리에 저장이 되는것 인가요? 아니면 보조기억장치에 저장이 되는건가요
-
해결됨웹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보안 기초
저작권 및 출처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지금 몇 개의 수업을 들으면서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수업들으면서 정리한 걸 블로그에 작성해볼까 생각하는데, 출처 남기고 정리 노트같이 블로그에 올려도 될까요? 상업적인 용도는 아닙니다.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맥 주소라는게 정확히 왜 있는지 잘모르겠습니다.
라우터 사이사이 마다 인터페이스 맥 주소가 있는데 왜 있는지 모르겠고 라우터의 맥 주소를 사용해서 연결 하면 안되는 걸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패킷의 생성과 전달 목차 강의] 네트워크 통신 흐름 설명 부분 질문
안녕하세요~ 우선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질 좋은 강의에 감사인사부터 드립니다! 질문드릴 내용은 [패킷의 생성과 전달] 강의 내용에서 말미에 소개해주시는 네트워크 통신 흐름인데요! 필기해주신 그림을 기반으로 제가 이해한 내용으로 재구성하고자 아래 사진처럼 그려보았는데요. 궁금한 점을 좀 적어보았습니다. Q1. L2 -> L1 계층으로 갈때 붙는 헤더가 따로 있나요?Q2. 다른 분들이 해주신 질문의 답변을 보다가 NIC를 통과해서 라우터(L3 계층 장비)로 갈 때 L2 frame 헤더를 붙여주는 주체가 GW HOST라고 해주셨는데요? 이 말씀으로 일반화를 해보자면.. Encapsulate 하는 과정에서는 헤더를 붙이는 주체가 항상 이전 계층에 있는 요소 중 하나인가요? 예를 들어, L3 -> L2로 가는 과정에서 L2 header를 붙이는 주체는 이전 계층인 L3에 속하는 장치들 중 하나가 되는 건가요?반대로 그러면 Decapsulate 하는 과정에서 헤더를 제거하는 주체는, 예를 들어, L2 -> L3로 가게되면 L2 계층에 속하는 장치중 하나가 되는 걸까요? 네트워크 분야는 입문자라서.. 혹여나 질문이 이해가 안되신다면 답글 달아주세요! 감사합니다 :)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 연장 가능할까요?
강의는 모두 완료했으나 "실전 문제 풀이" 부분을 전부 듣지 못했습니다.혹시 연장 가능할까요?
-
해결됨누구나 시작할 수 있는 네트워크 Step 3 (네트워크 만들기)
C3725 추가뒤 사용 오류
C3725 추가뒤 아래와 같이 사용 오류가 납니다.
-
미해결CloudNet@ - Amazon EKS 기본 강의
kube-ops-view 노드가 안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kube-ops-view가 화면은 뜨는데 노드는 안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ㅎㅎ^^아시는 분 계신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ㅎㅎ
-
미해결CloudNet@ - Amazon EKS 기본 강의
선생님
혹시 원클릭배포를 yaml파일이 아닌 테라폼으로 구현하실 생각이 있으신가요? 저도 테라폼의 장단점에 대해 자세히 아는 것은 아니지만, 아래 질문하신 분 사례처럼 yaml 생성은 매끄럽지 못한 부분도 있고, destroy도 조금 불편하긴 했습니다. 제가 가진 hcl은 eks까지 빌드할 수 있는데, 여기에 이어서 선생님의 프로메테우스 스택을 설치하려니 문제가 발생해서 사용을 못하고 있습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패치를 받아들이지 못하면 포스트를 사용하는 부분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패치는 리소스 부분변경을할 식별자가 있어서 어느 리소스를 변경할지 지정이 가능한데(members/100 처럼이요) post는 식별자가 없는데 패치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서버일 경우 post를 사용하면 된다고 강의 영상 마지막 부분에 설명해주신 부분을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콜백 방식에 비해 이벤트 방식의 단점?이 와닿지 않습니다
콜백 방식에 비해 이벤트 방식의 단점?이 와닿지 않아서 질문 남깁니다. 아마 제가 대규모 유저를 받는 환경의 코드를 아직 보지 못해서 그런 것 같아서 와닿지 않은것 같습니다. 설명해주신 내용은 클라 소켓 하나당 이벤트 하나를 대응시켜야 하는데 64개까지 제한이고, 여러명을 받는 서버의 코드는 코드가 간단하지 않다는 점을 단점으로 꼽으셨는데 와닿지 않습니다.정말 이벤트를 64개 넘게 관찰해야 하는 상황이 있나요?
-
미해결CloudNet@ - AWS 네트워킹 입문
압축 파일이 비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aws 수업 자료 파일이 비어있는 듯 하여 문의드립니다.제 환경은 윈도우11 입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304 Not Modified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304 응답의 경우 로컬PC에 저장된 캐시를 재사용한다고 말씀하셨는데그렇다면 304 응답을 보내기 위해서는 먼저 클라이언트의 캐시가 유효한지 확인해야하는 절차가 필요하지 않나요?클라이언트 임의로 캐시를 삭제할수도 있고 캐시 만료기한이 지나 유효하지 않은 캐시인 경우라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8:15] GetBytes, GetByteCount 문자열 파싱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GetBytes로 문자열을 파싱하는 과정에서 질문이 있습니다.위의 이미지를 보면 GetBytes 후 Length를 가져와도 8바이트가 나오는데 바이트를 먼저 가져온 후 Length를 가져오면 안 되는 것인가요? 길이를 파싱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돌려 보았는데 결과는 잘 나오는 것 같았습니다.여러 번 강의를 돌려봤지만 '몇 바이트가 와야 조립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두 단계로 나눈 것'이라고 들었습니다. 이 순서가 반대가 되면 조립 가능성 확인을 못하게 되는 것이 이해가 안 가서 질문 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네트워크
혹시 목적지 IP주소를 알면 해당 MAC주소도 알 수 있는 건가요?
짱구의 MAC주소는 어떻게 알고 라우터가 목적지 짱구의 MAC 주소를 설정할 수 있는 건가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3 - 네트웍 멀티플레이 프레임웍의 이해
Insight.bat 파일 실행 오류
배치 파일이 실행이 안됩니다 프로젝트 폴도 경로랑 공백을 확인해보았는데도 실행 오류가 뜹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Stateless와 비연결성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 복습하다가 궁금한 것이 생겨서 질문 남깁니다.Stateful에서 Stateless로 발전하게 된 이유는 중간에 서버가 끊기거나, 많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도 어느 서버가 투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버의 효율이 높아지게 되어 사용하게 된 것인가요? Persistent Connection가 생기게 된 배경은 연결성으로 하게 된다면 클라이언트가 사용하지도 않는데 서버와 연결이 되어 있으니 자원이 낭비되고,비연결성으로 하게 되면 자주 사용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면 3 hand shake로 인해 시간이 길어지고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그 중간인 Persistent Connection을 사용하게 된 것으로 이해하면 되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