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참조형변수 메서드 대입과 관련해 질문이 있습니다.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객체와 같이 참조형 타입의 변수를 메서드의 매개인자로 넘기게 되면 값이 "복사"되어 넘어가는 것 이라고 이해했습니다.그럴경우, 다음의 코드를 실행 했을 때 출력되는 결과는"abcd" 입니다.참조 값도 마찬가지로 "복사"를 통해 넘기기 때문에 가능한 부분일까요?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str = "abcd";changeStr(str);System.out.println(str);}public static void changeStr(String str) {str = new String("new String!");}
-
해결됨남박사의 파이썬으로 봇 만들기 with ChatGPT
본 강의 46째 라인에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if timeMin is not None: if isinstance(timeMin, str): timeMin = datetime.strptime(timeMin, "%Y-%m-%d") timeMin -= timedelta(hours=9) url += f"&timeMin={timeMin.isoformat("T")}Z" 마지막 줄을 실행하면 원래 쌍따옴표 내 쌍따옴표라서 오류가 떠야 하는데, 영상에서는 오류가 없습니다. 반면 제 환경에서는 예상대로 오류가 발생했고, 혹시 몰라 강사님 코드 원본을 실행해 봐도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오류 해결법이 아니라, 왜 영상에서는 해당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Future로 받아오는 방식이 자바스크립트의 await 비동기 방식과 유사한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우선 좋은 강의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해당 강의 공부 중에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 방식과 유사한 것 같은데 내부 동작은 물론 다르겠지만, 자바스크립트의 Promise나 await 방식과 같이 비동기로 처리해서 값을 가져오는게 유사한 것 같은데 맞는지 궁금합니다.강의 내용과는 다른 내용일 수도 있어서 죄송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여러 스레드의 실행 순서 질문 (start 메서드)
섹션3. 여러 스레드 만들기 - [1:40] HelloRunnable 스레드 3개 실행하는 부분 앞서 스레드의 start 메서드를 호출할 때 스레드는 스택 공간을 할당 받고 실행 된다고 이해했습니다.그럼 아래 코드를 실행했을 때 start 메서드를 순서대로 읽어서 순서대로 실행 되어야 하는게 아닌가요?? 왜 각자 동시에 실행 되어서 순서를 보장할 수 없는 것인가요? HelloRunnable runnable = new HelloRunnable(); Thread thread1 = new Thread(runnable); thread1.start(); Thread thread2 = new Thread(runnable); thread2.start(); Thread thread3 = new Thread(runnable); thread3.start();
-
해결됨iOS Clean Architecture & MVVM: RxSwift 완전 정복
안녕하세요 페이지네이션 구현 강의 중 질문있습니다.
다름이 아니고 UserListViewController에서 private func bindView() { tableView.rx.prefetchRows .bind { [weak self] indexpath in guard let rows = self?.tableView.numberOfRows(inSection: 0), let itemIndex = indexpath.first?.item else { return } if itemIndex >= rows - 1 { self?.fetchMore.accept(()) } } .disposed(by: disposeBag) }해당 코드 작성한 것을 확인했는데 이 상황에서 itemIndex >= rows - 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생각이 들어서요.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천천히 스크롤 할 때) 빠르게 스크롤했을때 rows 는 30이라고 할때 itemIndex는 24가 찍혀 self?.fetchMore.accept(())가 실행이 안되더라구요 그렇다면 prefetchRows를 쓰는게 좋은 방법인가에 대한 생각이 들어서 질문 드립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문제와 풀이2 질문이요. (분리-고치는 방법에대해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문제와 풀이2 번째 ShoppingCart 클래스를 만들면서 어떻게 해야 이 습관이 고쳐질까? 라는 생각에 질문을 드립니다.영한님의 ShoppingCart 클래스, displayItems()메서드를 보면, 전체가격합을 구할때 따로 메서드를 만들어서(calculateTotalPrice) 하시는 것을 볼수가 있었습니다.근데 저가 코드를 하는 것을 보면 displayItems()메서드 안에서 계속 합을 구하더라고요.public void displayItems() { int itemsTotal = 0; for (Item item : items) { System.out.println("상뭄명: " + item.getName() + ", 합계: " + item.getTotalPrice()); itemsTotal += item.getTotalPrice(); } System.out.println("전체 가격 합: " + itemsTotal); }이런식으로요.이것을 고치는 방법이 있을까요?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CAS연산3 강의 중 질문있습니다.
incrementAndGet() 메서드에서, 스레드 두개가 들어가고 동시에 실행 됐을때마지막 스레드가 다시 compareAndSet(getValue, getValue + 1) 이 성공적으로 돌았을때 getValue의 값이 이미 2가 되는것으로 예상되는데결과는 1이 반환이 되고, return getValue + 1;로 인해 결과값이 2가 어떻게 나오는 지 궁금합니다.=========================================[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트레이딩 파트2: Interactive Brokers API를 활용한 실시간 알고리즘 트레이딩
open position 설정
거래 종목 업데이트에서, df_current_positions 가 비어있습니다.open position 설정을 따로 해두지 않아서 그런 것 같은데, 설정하는 방법을 알 수 있을까요? (part1을 듣지 않고 수강중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중급 4. LinkedList 궁금한점 있어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컬렉션 프레임 워크 - LinkedList MyLinkedListV1 에서이해 못하는 소스가 있어서 질문 드려요.아래 코드에서 x.item을 oldValue에 대입하고 반환하는지궁금합니다.그냥 x.item = element만 사용해도 되는거 아닌지? public Object set(int index, Object element) { Node x = getNode(index); Object oldValue = x.item; x.item = element; return oldValue;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try catch finally에서 핵심예외 반환 방법은?
try catch finally에서 finally에서 발생한 예외로 try에서 발생한 핵심예외가 없어지고 finally에서 발생한 부가예외로 변경되어서 예외가 리턴되는데요, try with resources 와 같이 핵심예외를 반환하면서 부가예외를 반환하는 방법은 따로 없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llArgsConstructor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AllArgsConstructorclass Order{ private final orderId; private OrderStatus orderStatus = Order.ACCEPTED}@AllArgsConstructor 사용 시위의 orderStatus와 같이 초기화된 필드 또한 생성자의 파라미터로 생성되나요?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트레이딩 파트2: Interactive Brokers API를 활용한 실시간 알고리즘 트레이딩
docker port
안녕하세요, docker 실습을 같이 해보려고 했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DockerfileFROM continuumio/miniconda3:latest RUN mkdir -p /quant이미지 빌드 후docker run -d -t —name quant -v $(pwd)/quant:/quant -p 7497:7497 miniconda3:latest컨테이너를 띄운 후에 진행했습니다.conda 가상환경 설정, 주피터 커널 연결을 마치고 노트북 실행 시 ib.connect() 셀 부분에서 발생한 문제입니다. "Connect call failed ('127.0.0.1', 7497)"위의 run 명령어와 같이 해주었을 때에는 desktop의 trader workstation에서 포트를 사용중이라는 팝업이 뜹니다.dockerfile에서 expose 만 설정(EXPOSE 1234) 해 주었을 때에도 동일하게 연결이 안됐습니다. 포트 설정을 어떻게 해주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도커, 포트 포워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구글링 해 봐도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도움 요청 남깁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강사님 질문이요. 평균적으로 하루에 얼마나 강의에 시간을 투자하시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말 그대로 입니다. 영한님은 하루에 자바 강의를 찍을 때 평균적으로 하루에 시간을 얼마나 투자하시나요?('어레이 리스트 에서 링크드리스트로 변환 할때 이런 것은 얼마나 생각을 해야지 나오지?(11:30~40)'라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을 합니다.)
-
해결됨얄코의 떠먹여주는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파사드 패턴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파사드 패턴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얄코님이 올려주신 예시에선 다음과 같이 두 상황이 나온다고 이해했습니다.다양한 서브 시스템을 파사드 클래스로 조합해 하나의 새로운 로직을 만듦.여러 서브 시스템을 생성시키고 세부 로직을 파사드 클래스에 위임.1번의 경우는 일종의 추상화로 이해하였으며, 2번의 경우 서브 시스템에 대한 의존성 주입을 파사드 클래스에 위임 및 세부적인 로직을 캡슐화하는데 의의를 두었다고 이해했습니다. 만약 의존성 주입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3-layer 아키텍쳐에서 파사드 패턴을 도입할 경우 이미 service 레이어에서 내부 로직에 대해 캡슐화가 되었으므로 다양한 서브시스템을 파사드 클래스로 조합하는 것(ex. 1번)에만 집중하면 될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Member 클래스와 HashMap에 관하여 질문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스프링 강의를 잘 듣고 있는 사람입니다. 회원 만들기 예제1을 따라 만들던 도중 궁금한 점이 생겨 문의 드립니다. 문의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Member 클래스를 만들때 Member를 Entity라고 표현을 하시고 클래스 다이어그램에선 Member에 대한 내용이 없어서 이 부분이 궁금합니다. 각 클래스마다 Member를 따로 객체로 생성하지 않고 main문에서 member 객체를 생성하기에 클래스 다이어그램에 들어가진 않은거 같은데, 이 Member 클래스를 왜 Entity라고 표현하시는지 궁금합니다. MemberRepository를 구현하는 MemoryMemberRepository의 해쉬맵의 put을 보면 Long 타입 하나와 Member 하나를 저장할 수 있는 해쉬맵인데요, 근데 Member엔 이미 ID를 저장할 수 있는 private Long id가 있고 main문에서 객체를 생성할때 값을 집어 넣어주는데, 굳이 Member.getId()를 통해 Id 값을 저장해주었는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입출력 테스트 관련 질문 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우선 강의로 너무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로드맵을 따라 해당 강의와 테스트 코드 작성 강의를 모두 수강했는데 현재 지뢰찾기와 스터디카페에서는 콘솔에서 입출력을 받게 되는데 입출력에 대한 예외처리를 InputHandler가 하는 것처럼 다가왔습니다.이부분에서 테스트를 작성하려고 하는데 입출력에 대한 테스트를 작성하기 어려워서 과연 InputHander가 입력에 대한 검증 책임까지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서 궁금하고 만약 분리해야 한다면 어떻게 분리하는 것이 좋을 지도 궁금합니다. 또한 현재의 경우 콘솔로 입출력을 받아 테스트가 어렵게 다가오는데 이런 경우이때 만약 전체 서비스가 외부에서 유저의 입력을 문자열을 받는 형태로 분리해야하는데 이 경우에 외부에서도 입출력을 하고, 내부에서도 입출력을 하게 되어 어떻게 하면 좋을지 고민이 되고혹은 현재 그대로 콘솔로 테스트 하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콘솔에서 입출력을 받을 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도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테스트 강의의 테스트 환경의 독립성을 보장하자 강의에서 테스트 코드에서는 객체를 생성할 때 생성자로 생성해서 테스트해야한다고 말씀을 하셨는데 만약 특정 필드가 기본값을 가져야 해서 생성자를 private로 막은 후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이용해 생성된다면 이러한 경우 기본값을 가지는 특정 필드를 어떻게 특정 값으로 세팅해서 테스트 할 수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이런 경우 생성자, getter 같은 테스트만을 위한 코드를 넣어도 된다고 하셨는데 이런 경우 원하는 객체의 불변성이 깨지는 것 같아서 어떻게 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지역변수 인라인화
안녕하세요 우빈님!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강의를 보다가 사소한 부분이지만 궁금증이 생겨 여쭤봅니다! 강의 시간 30:58초쯤 위 사진처럼 findCell을 지역변수로 뽑아내셨는데 이렇게 하면 가독성 측면에서 유리한가요?! 지역변수를 인라인화 시키는게 좋다고 들은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동등 연산자 (==) 객체 비교 질문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동등연산자에서 객체비교중 의문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아래 이미지에서 다른 객체 인스턴스 끼리는 동등연산 자체가 컴파일 에러나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동작은 해야 정상이 아닌가 싶은데,,, 다형적 참조가 가능한 객체끼리만 가능한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직접 구현하는 배열 리스트1- 시작의 MyArrayListV1 구현 질문이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직접 구현하는 배열 리스트1- 시작의 MyArrayListV1 구현문제를 예외 처리하고 싶은데 아무리 해도 안돼는데 해결책좀 try { list.add("f"); System.out.println(list); } catch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e) { System.out.println("배열의 범위를 벗어났습니다"); System.out.println("예외 발생 위치: " + e.getMessage()); e.printStackTrace(System.out); }그리고 아래 MyArrayListV1에 이렇게 작성하면 되긴 돼는데 저는 유지보수를 위해서 try~catch를 하고 싶거든요. 그래서이렇게 질문 남겨요public void add(Object e) { if (size >= elementData.length) { // 배열이 가득 찼는지 체크 throw new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용량을 초과했습니다. 현재 크기: " + size + ", 최대 용량: " + elementData.length); } elementData[size] = e; size++;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조회되는 빈이 2개 이상이더라도 문제가 없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AllBeanTest에서 DiscountService에 의존 관계를 주입할 때, Map과 List를 사용했기 때문에, RateDiscountPolicy, FixDiscountPolicy 두 가지 빈이 등록되어 있어도 문제가 없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