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윈도우 h2 연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늘 수업듣고 다음날 다시 컴퓨터를 켜서 h2db에 들어가면 URL을 앞으로 계속 빨간 네모친 걸로 접속하면 되는건가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트랜잭션 레벨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쿠케님 강의가 너무 유익해서 잘듣고있습니다!강의를 진행하면서 문득 생각이 든건데 실무에서 트랜잭션 레벨을 조절을 하기도 하나요???기본 트랜잭션은 REPEATABLE_READ인데 갭락이 걸릴것을 우려해서 COMMITED_READ로 바꾼다거나 이런식으로 트랜잭션 레벨을 조절하는 경우가 있나요???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 Part 2 : OOP와 JVM
교안 p.305 'throw 필수' 질문
교안 305쪽에 두 가지 예외 종류Checked예외처리 강제화catch 혹은 throw 필수라고 되어있는데 'throw'가 아니라 'throws'필수인 것 같아 글 남깁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객체타입은 값타입인가요? 엔티티타입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의에서,값 타입에서, 기본타입은 == 비교를 해도되는데,그 외에 객체타입이나 임베디드타입은 equals를 재정의해서 사용하여 비교해야한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앞서 강의에서도 객체타입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객체타입은 엔티티 타입으로 분류가 되나요? 아니면 값타입으로 분류가 되나요?엔티티 타입인거 같기도하고.. 값타입인거 같기도해서.. 어떤것으로 분류되는것인지 이유가 궁금합니다...ㅠㅠ값타입은 기본값타입, 임베디드타입, 컬렉션값타입이 있다고 앞선 강의에서 말씀해주셨는데, 그럼 강의에서 나오는 Address 객체타입은 어디에 속하는것인가요 ..?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char 대신 String만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char 대신 String만 쓸 수도 있나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그래프 최단거리(BFS) 질문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 푸는 방법에서 이해가 확실히 가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정점을 방문할 때 ch[] 배열에 방문했다 표시를 하고 dis[] 배열에 값을 집어넣는다는 건 지금 이 정점을 방문했다는 건 무조건 최단거리이다라고 확신하고 넣는거라고 이해했는데 왜 그렇게 되는지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처음 설명으로 이해하자면 레벨 관점에서 이미 전 레벨에서 해당 정점을 방문 했기 때문에(ex. 4번 정점을 방문했는데 지금이 2레벨이고 전 레벨인 1에서 4를 방문했을 때 ch[] 배열에 체크돼있음)라고 생각하면 되는걸까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10강 mysql 연결오류
맥북으로 다시 복습중인데 connection test를 누르면 DBMS: MySQL (no ver.) Case sensitivity: plain=mixed, delimited=exact[28000][1045]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 이 오류가 계속 뜹니다. mysql 서버를 재시작 하기도 해보고 비밀번호도 다시 변경 해보기도 하는데 안되네요 ㅠㅠ 왜 이럴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키워드 synchronized와 어노테이션 synchronized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의에서는 키워드 synchronized를 메서드 앞부분에 붙여 동기화를 구현하는데, 롬복의 @Synchronized 다른 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실무에서는 둘 중 어느 방법을 사용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수업자료 오타 확인 부탁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복습중 실행오류로 발견했습니다패키지가 oop 대신 oop1에 들어가야 할 것 같아요. 강의에도 oop1으로 되어있네요.p.12에 있어요++ 조금 명확히 하자면이 코드를 실행하는 main 클래스가 oop1에 있어서 저 클래스를 참조 못하는 것 같아요.이 자료는p.13 과 p.14에 걸쳐 있어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6강 복습중에 질문 있습니다
GetAPI를 만들때는 dto에 생성자를 만들었는데왜 post때는 생성자를 만들지 않나요?
-
미해결고성능 JPA & Hibernate (High-Performance Java Persistence)
섹션1 - Github Repository 실습 관련
Github Repository에서 Master branch를 내려받고 강의대로 mvn clean test-compile 을 실행하면 java: cannot find symbol 에러가 발생하네요.m1 맥 환경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cannot find symbol symbol: class Category_ location: package com.vladmihalcea.hpjp.hibernate.query.recursive.category.model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인스턴스 메소드 참조와 람다의 차이
강의 수강 중 궁금하여 실험한 내용 공유합니다. 2번 특정 객체의 인스턴스 참조에 관련한 내용입니다.강의자료에서는 () -> person.introduce가 person::introduce와 동일한 것처럼 설명된 것 같습니다. "그럼 person에 대한 캡처가 일어날까?" 하는 궁금증이 들었고,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했습니다.Person person = new Person("Kim"); Supplier<String> instanceMethod = () -> person.introduce(); person = new Person("Lee"); System.out.println(instanceMethod1.get());컴파일러가 person이 사실상 final이 아니라면서 컴파일해주지 않더군요. 다음으로는 람다 대신 메소드 참조로 바꾸어보았습니다.Person person = new Person("Kim"); Supplier<String> instanceMethod = person::introduce; person = new Person("Lee"); System.out.println(instanceMethod.get());이는 컴파일에 성공하고, "I am Kim"이 출력됩니다. Person 클래스에 setName을 추가하고 메소드 참조 이후에 호출해보았습니다.Person person = new Person("Kim"); Supplier<String> instanceMethod = person::introduce; person.setName("Park"); person = new Person("Lee"); System.out.println(instanceMethod.get());"I am Park"이 출력됩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person.introduce 에서는 person이 사실상 final이 되어야만 한다.person::introduce는 사실상 final이 아니어도 되며, 해당 메소드 참조는 정의 시 객체 참조를 유지한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synchronized vs ReentrantLock vs Atomic 너무 혼란스럽습니다..
synchronized, ReentrantLock, Atomic 모두 상호배제(동기화)를 구현하지만, 락을 "획득하고 해제하는 과정" 자체도 동시 접근이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임계영역처럼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 락 자체 또한 어떻게 동기화하는지 궁금합니다.핵심적으로,synchronizedJVM이 모니터 락을 통해 상호배제를 구현하는데 내부적으로CAS 연산 + OS의 스레드 대기 관련 시스템 콜 + JVM 내부 스레드 대기 큐 을 활용 상호배제를 구현한다.즉, 락 획득과 해제 과정의 동기화는 JVM 수준에서 구현한 것이다. OS는 단지 스레드를 잠재우고 깨우는 역할만 담당→ 이 이해가 맞는지?ReentrantLock자바에서 명시적으로CAS 연산 + OS의 스레드 대기 관련 시스템 콜 + 스레드 대기 큐을 활용하여 상호배제를 구현한다.즉, 락 획득과 해제 과정의 동기화는 자바 코드 수준에서 직접 구현한 것이다. OS는 단지 스레드를 잠재우고 깨우는 역할만 담당→ 이 이해가 맞는지?Atomic자바에서 명시적으로CAS 연산 활용하여 상호배제를 구현한다.즉, 락이 없고, 시스템콜도 없다. CAS 한 줄이 동기화의 전부→ 이 이해가 맞는지?
-
해결됨옆집 개발자와 같이 진짜 이해하며 만들어보는 첫 Spring Boot 프로젝트
[막강] IoC방법 공부를 할 때?
스프링 IoC를 공부하려면 @Configuration+@Bean 학습을 하려고 하는데, @AppConfig같은 것으로 공부를 해야하는지, 어떻게 해야할지 조그만한 힌트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고성능 JPA & Hibernate (High-Performance Java Persistence)
질문 올려도 되는지..?
여기 내용에서 대부분 통합 테스트시 h2 디비 인메모리 기반으로 테스트를 하는게 아니라,,docker 기반 mysql 설치후에 볼륨을 tmpfs 로 마운트한다음에 해도 빠르다는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오라클 jdk21 버전이 없어서 이클립스 21 하려 했는데 둘 다 없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오라클 jdk21 버전이 없어서 이클립스 21 하려 했는데 둘 다 없습니다.찾아보니, 25년 초쯤에 오라클 24버전이 나와서 없어진듯 한데.,. 그 버전으로 해도 무방한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다대다를 일대다,다대일로 풀어낼 때 항상 양방향?
링크위 질문의 AI 답변을 보면 다대다를 일대다,다대일로 풀어낼 때 양방향 매핑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근데 Member나 Product 입장에서 MemberProduct 를 알 필요가 없으면 단방향으로 해도 되지 않나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스트림: read()가 int를 반환하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byte는 -128~127이고 int는 0~255 범위라 음수 부분이 전혀 겹치지 않는데, read()에서 어떤 방식으로 byte를 int로 변환하는 건지 대략적인 기준이 궁금합니다. 아스키 코드의 0~126까지는 그대로 int로 변환이 되고 그 외 byte의 음수가 그대로 int 나머지 범위(127~255)까지 배정되는 방식일까요? +)아스키 코드(0~126)에 포함되지 않는 byte -128~-1까지의 대략적인 의미가 궁금합니다. 얘네는 영문 외 외국어나 추가 특수 문자들 같은 걸까요?
-
해결됨실전 jOOQ! Type Safe SQL with Java
jooq+flyway에서 질문드립니다
도커 컨테이너를 사용하여서 실행 시키는걸로 진행하셨는데 저는 도커를 데스크탑이 아니라 olima로 실행시키고 있어서 환경변수 에러가 나오더라구요 export로 변수 바꿔줘도 안돼서 데스크탑으로 실행해 보니 되기는 하는데, olima로 실행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그리고 도커 컨테이너를 사용 안하고 flyway만 따로 설정하는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dev.monosoul.jooq-docker 이걸로는 도커가 무조건 설정되어있어야 하는거 같은데,nu.studer.jooq + flyway 조합으로 가는게 좋을까요? 1.olima로 인텔리j에서 dev.monosoul.jooq-docker 설정에 맞게 실행 시키는법2.도커 없이 flyway 사용할때에는 nu.studer.jooq + flyway 이 조합으로 하는게 권장되는 방식인지?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NotificationMessage가 필요한 이유 질문
학습중 궁금한 것은 언제든 문의 하세요.질문을 최대한 자세히 남겨주시면 반드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도 요청해주시면 강의 자료를 업데이트 해서 제공할 예정입니다.Pub-Sub 모델을 이용한 실시간 알림 part2에 질문이 있습니다 ! package com.example.messagequeue.step2.step2; public class NotificationMessage { private final String message; public NotificationMessage() { message = ""; } public NotificationMessage(String message) { this.message = message; } public String getMessage(){ return message; } }짊여기에서 NotificationMessage DTO를 만들어주셧는데, 뭐 때문에 만드신걸까요 ? 직렬화, 역직렬화와 관련이 있는거 같은데, 잘 이해가 안되네요 ㅎㅎ 답변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