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LinkedList 배열 선언에 관해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LinkedList<Integer>[] buckets = new LinkedList[CAPACITY] 에서 제네릭을 이용한 배열 초기화를 한 이 부분에서 보통 제네릭으로 선언하면 LinkedList<Integer> buckets = new LinkedList<>() 이렇게 생성하는 것으로 아는데, 배열로 만들면 <>()은 생략되는건가요? 배열의 크기만 정하면 되는건가요?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다시 정리하여 질문드립니다
질문1)한 트랜잭션 안에서 최초 getReference() 를 통해 가져온 애는 쭉 프록시 객체로, find() 를 통해 가져온 애는 쭉 일반 객체로 영속성 컨텍스트에 남는다고 보면 되나요? (두 경우 모두 별도로 영속성 컨텍스트를 비우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는다고 가정) 질문2)링크1 의 답변에 의하면 영속성 컨텍스트 안에 프록시 객체를 담는 Map 과 진짜 객체를 담는 1차 캐시 가 있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그럼 find() (getReference())는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동작하는 게 맞나요?프록시를 담는 Map 을 먼저 조회 (1차 캐시를 먼저 조회)있으면 프록시 객체를 가져오고 없으면 1차 캐시에서 조회 (있으면 진짜 객체 가져오고 없으면 프록시 담는 Map에서 조회)1차 캐시에 있으면 그대로 가져오고 없으면 DB에서 조회 (Map 에 있으면 그대로 가져오고 없으면 프록시 객체 생성) 질문3)링크2 의 답변을 통해 프록시 객체는 영속 대상이 아니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그렇다면 em.detach(프록시객체); 는 어떻게 이해하면 되나요?detach() 라는 것이 영속 상태인 것을 준영속 상태로 바꿔주는 것인데 프록시 객체는 애초에 영속 대상이 아니라고 말씀해주셔서 헷갈리네요전에 올렸던 다른 질문들인데요 AI 답변만 달려서 그런데 한번 확인부탁드립니다https://inf.run/EcpuQhttps://inf.run/75Xi1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앱 재시작 후 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말 도움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항상 앱을 재시작하고 같은 아이디(whiteship)로 회원가입을 하시는데 계속 성공하시는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혹시 앱을 재시작하면 회원 목록이 초기화되는 코드가 있으신가요? 제가 놓친 것 같지만 부득이하게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swich1에서 coupon이 변수 초기화가 안됐다는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뭐가 문제일까요 똑같이 타이핑 한 것 같은데 변수 초기화 오류 뜨네요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mac에서 발생하는 문제
"Cannot invoke 'jdk.internal.platform.CgroupInfo.getMountPoint()' because 'anyController' is null"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Mac Docker Desktop 환경OpenJDK 17 slim 이미지 사용 로컬에서 진행했을 때 gpt에게 물어봤을 때와 stackoverflow를 확인해봤습니다.이 에러는 Java 17 이상에서,JVM이 리눅스 컨테이너(CGroup) 안에서 리소스(CPU, 메모리 등) 정보를 가져오려고 할 때,Mac OS에서는 리눅스 CGroup 시스템이 아예 존재하지 않아서 발생그리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로메테우스를 비활성화하라는 답변을 주었는데, 해결방안을 적용해봐도 해결할 수 없었습니다.그래서 생각한게 리눅스 컨테이너 이미지인 slim 버전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고, Dockerfile의 이미를 교체했을 때 FROM eclipse-temurin:17-jdk정상적으로 실습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답변보다는 mac에서 진행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로 머리아플 분들을 위해 작성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 자료 요청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의 할 때 보여주시는 화면은 문서로는 없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빕문 챕터 9 매서드) 문제와 풀이 2 질문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Empt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balance = 0, depositAmount = 0, withdrawAmonut = 0; int chooose; while (true) { title(); chooose = sc.nextInt(); switch (chooose) { case 1: balance = deposit(balance, depositAmount, sc); break; case 2: balance = withdraw(balance, withdrawAmonut, sc); break; case 3: printNowBalance(balance); break; case 4: endSystem(); return; default: System.out.println("올바른 선택이 아닙니다. 다시 선택해주세요."); } } } public static void title() {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1.입금 | 2.출금 | 3.잔액 확인 | 4.종료");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선택: "); } public static int deposit(int balance, int depositAmount, Scanner sc) { System.out.print("입금액을 입력하세요: "); depositAmount = sc.nextInt(); balance += depositAmount; System.out.println(depositAmount + "원을 입금하였습니다. 현재 잔액: " + balance); return balance; } public static int withdraw(int balance, int withdrawAmount, Scanner sc) { System.out.print("출금액을 입력하세요: "); withdrawAmount = sc.nextInt(); if (balance >= withdrawAmount) { balance -= withdrawAmount; System.out.println(withdrawAmount + "원을 출금하였습니다. 현재 잔액: " + balance + "원"); } else { System.out.println(withdrawAmount + "원을 출금하려 했으나 잔액이 부족합니다."); System.out.println("최종 잔액: " + balance + "원"); } return balance; } public static void printNowBalance(int balance) { System.out.println("현재 잔액 : " + balance + "원입니다"); } public static void endSystem() { System.out.println("시스템을 종료합니다."); } }문제풀이 2를 최대한 메서드를 활용하기위해 이런식으로 해보고 김영한선생님 코드와 비교해봤는데 살짝 다르더라고요 비교해서 장담점이 어떤 것인지 실무에서는 어떤 스타일을 선호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CascadeType.ALL vs orphanRemoval=true
둘의 차이를 테스트 해본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CascadeType.REMOVE 의 경우는 findParent.getChildList().remove(0) 를 해도 자식이 삭제가 안 되고 orphanRemoval = true 는 삭제가 된다. (대신, CascadeType.PERSIST 가 있어야지만 됨) 여기서 의문인 점이 있습니다. orphanRemoval = true 의 경우 왜 CascadeType.PERSIST 가 있을 때만 그렇게 작동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엔진 말고 추가 기능이 들어간다면 처리 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현재 자동차에 엔진만 사용되기 때문에 내부 클래스로 넣었는데, 만약 차량 실내 작업(계기판 켜지기, 엠비언트 라이트 점등) 클래스가 하나가 더 있다면 inner 클래스를 두개 만드는게 맞는걸까요? .. 아니면 엔진, 실내 작업 두개를 따로 독립적으로 만드는게 나은걸까요? 문의 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스레드 대기 ReentrantLock 설명부분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에서 ReentrantLock의 대기큐에서 관리할때 BLOCKED가아닌 WAITING에서 락획득을 대기한다고했는데 찾아봤을때 lock.lock()실행시에는 락을 얻기위해서 BLOCKED 상태이고 condition.await()실행되어야 WAITING상태로 기다리는걸로 알고있는데 혹시 잘못된 강의설명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HTTP 서버3 - 기능 추가는 url경로를 바꿀때마다 새로운 소켓과 연결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코드를 쳐보다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지난번 채팅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되면 연결된 클라이언트와 서버 소켓이 /exit할때까지 끊기지 않았는데요 이번 예시에서는 사용자가 /, /site1, /site2, /search?q=hello 이렇게 각각의 다른 url로 이동할때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연결이 새로되고 소켓도 새로 생성되는건가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30강 질문
repository를 user를 다룰때는 repository라는 패키지를 따로 만들어서 했는데, 지금 강의의 book에 관한 repositorty를 따로 만들지 않고 인터페이스만 객체와 같은 패키지에 만들어서 extends로 jpa를 받기 때문에 따로 만들 필요가 없어서 이렇게 만든거라고 이해 했는데 맞게 이해한걸까요? 즉, jpa를 익스텐즈한 인테페이스 덕분에 따로 sql문법을 작성하지 않았다는 말이 맞을까요?> 추가로 왜 객체가 있는 패키지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이유가 띠로 있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 DELIVERY 등의 테이블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현재 이렇게 까지만 생성이 되었습니다. 에러로그와 소스코드는 제일 하단에 있습니다! 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createNativeEntityManagerFactory(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java:390) ~[spring-orm-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buildNativeEntityManagerFactory(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419) ~[spring-orm-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afterPropertiesSet(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400) ~[spring-orm-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afterPropertiesSet(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java:366) ~[spring-orm-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vokeInitMethods(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65) ~[spring-beans-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itializ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14) ~[spring-beans-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607) ~[spring-beans-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29) ~[spring-beans-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39) ~[spring-beans-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371) ~[spring-beans-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37) ~[spring-beans-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207) ~[spring-beans-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70) ~[spring-context-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627) ~[spring-context-6.2.6.jar:6.2.6] a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context.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refresh(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java:146) ~[spring-boot-3.4.5.jar:3.4.5]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53) ~[spring-boot-3.4.5.jar:3.4.5]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39) ~[spring-boot-3.4.5.jar:3.4.5]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18) ~[spring-boot-3.4.5.jar:3.4.5]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362) ~[spring-boot-3.4.5.jar:3.4.5]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351) ~[spring-boot-3.4.5.jar:3.4.5] at jpabook.jpashop.JpashopApplication.main(JpashopApplication.java:10) ~[main/: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na:na]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na:na] at org.springframework.boot.devtools.restart.RestartLauncher.run(RestartLauncher.java:50) ~[spring-boot-devtools-3.4.5.jar:3.4.5]Caused by: 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Syntax error in SQL statement "create table delivery (delivery_id bigint not null, city varchar(255), street varchar(255), zipcode varchar(255), status enum ([*]), primary key (delivery_id))"; expected "INTERSECTS (, NOT, EXISTS, UNIQUE, INTERSECTS"; SQL statement:create table delivery (delivery_id bigint not null, city varchar(255), street varchar(255), zipcode varchar(255), status enum (), primary key (delivery_id)) [42001-232]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514) ~[h2-2.3.232.jar:2.3.232] at org.h2.engine.SessionRemote.readSQLException(SessionRemote.java:663) ~[h2-2.3.232.jar:2.3.232] at org.h2.engine.SessionRemote.readException(SessionRemote.java:646) ~[h2-2.3.232.jar:2.3.232] at org.h2.engine.SessionRemote.done(SessionRemote.java:620) ~[h2-2.3.232.jar:2.3.232] at org.h2.command.CommandRemote.prepare(CommandRemote.java:84) ~[h2-2.3.232.jar:2.3.232] at org.h2.command.CommandRemote.<init>(CommandRemote.java:56) ~[h2-2.3.232.jar:2.3.232] at org.h2.engine.SessionRemote.prepareCommand(SessionRemote.java:488) ~[h2-2.3.232.jar:2.3.232] at org.h2.jdbc.JdbcConnection.prepareCommand(JdbcConnection.java:1164) ~[h2-2.3.232.jar:2.3.232] at org.h2.jdbc.JdbcStatement.executeInternal(JdbcStatement.java:245) ~[h2-2.3.232.jar:2.3.232] at org.h2.jdbc.JdbcStatement.execute(JdbcStatement.java:231) ~[h2-2.3.232.jar:2.3.232] at com.zaxxer.hikari.pool.ProxyStatement.execute(ProxyStatement.java:94) ~[HikariCP-5.1.0.jar:na] at com.zaxxer.hikari.pool.HikariProxyStatement.execute(HikariProxyStatement.java) ~[HikariCP-5.1.0.jar:na] at com.p6spy.engine.wrapper.StatementWrapper.execute(StatementWrapper.java:115) ~[p6spy-3.9.0.jar:na]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exec.GenerationTargetToDatabase.accept(GenerationTargetToDatabase.java:80) ~[hibernate-core-6.6.13.Final.jar:6.6.13.Final] ... 44 common frames omitted 이런식으로 에러가 발생하는데mappedby, @Table 등 설정이 다 되어 있는데이러한 오류가 발생합니다.따로 설정한 건 없는데도 이런 오류가 발생을 하네요.. 확인부탁드립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XoIDg25sc6iJ0yxQK5RGylSvs38GpiA7/view?usp=sharing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내부클래스 활용의 강의 내용 car의 구성에 대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내부클래스 활용편에서 car, engine등이 서로의 역할을 강의에서 설정하여 설명하는데...클래스(설계)를 만드는 처음 구성 방법에 대한 설명은 없는지요? 피그마(?)를 사용해야 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십니까수업진행중 OrderItem 테이블에서 Orders 테이블이 생성되지 않아 id를 참조하지 못하는 에러가 발생하여 검색하여 이것저것 만졌는데,이제 CREATE 문이 아예 되지 않는 문제가 생겨 질문드립니다.에러로그는 남지 않고 CREATE문만 돌지 않습니다.jpashop-project 라는 명칭을 저는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 소스 파일 다운로드 링크 또한 함께 올려두겠습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XoIDg25sc6iJ0yxQK5RGylSvs38GpiA7/view?usp=sharing링크 아래에는 콘솔로그를 남겨두겠습니다. :: Spring Boot :: (v3.4.5) 2025-04-27T18:15:15.780+09:00 INFO 23859 --- [ restartedMain] p6spy : #1745745315780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6|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project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category(rn_ integer not null, category_id bigint, parent_id bigint, nam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category(rn_ integer not null, category_id bigint, parent_id bigint, nam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2025-04-27T18:15:15.780+09:00 DEBUG 23859 --- [ restartedMain] org.hibernate.SQL : 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item2(price integer, rn_ integer not null, stock_quantity integer, item_id bigint, dtype varchar(31) not null, actor varchar(255), director varchar(255), nam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2025-04-27T18:15:15.780+09:00 INFO 23859 --- [ restartedMain] p6spy : #1745745315780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project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item2(price integer, rn_ integer not null, stock_quantity integer, item_id bigint, dtype varchar(31) not null, actor varchar(255), director varchar(255), nam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item2(price integer, rn_ integer not null, stock_quantity integer, item_id bigint, dtype varchar(31) not null, actor varchar(255), director varchar(255), nam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2025-04-27T18:15:15.781+09:00 DEBUG 23859 --- [ restartedMain] org.hibernate.SQL : 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orders(rn_ integer not null, delivery_id bigint, member_id bigint, order_date timestamp(6), order_id bigint, status enum (),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2025-04-27T18:15:15.782+09:00 INFO 23859 --- [ restartedMain] p6spy : #1745745315782 | took 1ms | statement | connection 8|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project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orders(rn_ integer not null, delivery_id bigint, member_id bigint, order_date timestamp(6), order_id bigint, status enum (),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orders(rn_ integer not null, delivery_id bigint, member_id bigint, order_date timestamp(6), order_id bigint, status enum (),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2025-04-27T18:15:15.782+09:00 DEBUG 23859 --- [ restartedMain] org.hibernate.SQL : 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item0(price integer, rn_ integer not null, stock_quantity integer, item_id bigint, dtype varchar(31) not null, artist varchar(255), etc varchar(255), nam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2025-04-27T18:15:15.782+09:00 INFO 23859 --- [ restartedMain] p6spy : #1745745315782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9|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project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item0(price integer, rn_ integer not null, stock_quantity integer, item_id bigint, dtype varchar(31) not null, artist varchar(255), etc varchar(255), nam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item0(price integer, rn_ integer not null, stock_quantity integer, item_id bigint, dtype varchar(31) not null, artist varchar(255), etc varchar(255), nam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2025-04-27T18:15:15.783+09:00 DEBUG 23859 --- [ restartedMain] org.hibernate.SQL : 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delivery(rn_ integer not null, delivery_id bigint, city varchar(255), street varchar(255), zipcode varchar(255), status enum (),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2025-04-27T18:15:15.784+09:00 INFO 23859 --- [ restartedMain] p6spy : #1745745315784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0|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project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delivery(rn_ integer not null, delivery_id bigint, city varchar(255), street varchar(255), zipcode varchar(255), status enum (),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delivery(rn_ integer not null, delivery_id bigint, city varchar(255), street varchar(255), zipcode varchar(255), status enum (),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2025-04-27T18:15:15.784+09:00 DEBUG 23859 --- [ restartedMain] org.hibernate.SQL : 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member(rn_ integer not null, member_id bigint, city varchar(255), name varchar(255), street varchar(255), zipcod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2025-04-27T18:15:15.784+09:00 INFO 23859 --- [ restartedMain] p6spy : #1745745315784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1|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project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member(rn_ integer not null, member_id bigint, city varchar(255), name varchar(255), street varchar(255), zipcod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member(rn_ integer not null, member_id bigint, city varchar(255), name varchar(255), street varchar(255), zipcod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2025-04-27T18:15:15.835+09:00 INFO 23859 --- [ restartedMain] o.h.e.t.j.p.i.JtaPlatformInitiator : HHH000489: No JTA platform available (set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to enable JTA platform integration)2025-04-27T18:15:15.835+09:00 DEBUG 23859 --- [ restartedMain] o.h.type.spi.TypeConfiguration$Scope : Scoping TypeConfiguration [org.hibernate.type.spi.TypeConfiguration@5574eb53] to SessionFactoryImplementor [org.hibernate.internal.SessionFactoryImpl@670ec66c]2025-04-27T18:15:15.836+09:00 TRACE 23859 --- [ restartedMain] o.h.type.spi.TypeConfiguration$Scope : Handling #sessionFactoryCreated from [org.hibernate.internal.SessionFactoryImpl@670ec66c] for TypeConfiguration2025-04-27T18:15:15.836+09:00 INFO 23859 --- [ restartedMain]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2025-04-27T18:15:15.850+09:00 WARN 23859 --- [ restartedMain] JpaBaseConfiguration$JpaWebConfiguration : spring.jpa.open-in-view is enabled by default. Therefore, database queries may be performed during view rendering. Explicitly configure spring.jpa.open-in-view to disable this warning2025-04-27T18:15:15.962+09:00 INFO 23859 --- [ restartedMain] o.s.b.a.h2.H2ConsoleAutoConfiguration : H2 console available at '/h2-console'. Database available at 'jdbc:h2:tcp://localhost/~/jpashop-project'2025-04-27T18:15:15.977+09:00 INFO 23859 --- [ restartedMain] o.s.b.d.a.OptionalLiveReloadServer : LiveReload server is running on port 357292025-04-27T18:15:15.991+09:00 INFO 23859 --- [ restartedMain] o.s.b.w.embedded.tomcat.TomcatWebServer : Tomcat started on port 8080 (http) with context path '/'2025-04-27T18:15:15.995+09:00 INFO 23859 --- [ restartedMain] jpabook.jpashop.JpashopApplication : Started JpashopApplication in 1.303 seconds (process running for 1.484)
-
미해결나도! 스프링으로 인공지능을 할 수 있다(인프1탄)
사용자 질의에 맞는 SQL 생성 시 여러 테이블 조인 쿼리 사용법
안녕하세요. 37_사용자 질의에 맞는 SQL 생성 강의에서는 DDL 스키마 단 한개로만 예제가 구성되어 있는데요. 실제로 한개의 테이블만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많으면 10개의 테이블까지 join 하는 케이스가 많을텐데,이 경우에는 어떻게 chatClient 를 사용하면 될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 매핑과의 관련
강사님께서 수업을 시작하면서 해당 장은 연관관계를 세팅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고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연관관게 매핑 시간에 배운 내용에 의하면 Parent 엔티티에 있는 childList 는 읽기 전용이 됩니다.하지만 cascade 속성에 의해 읽기 전용이 무력화? 되는 듯한 느낌입니다. 그래서 정리를 해보자면"연관관계 주인 반대쪽(mappedBy 를 쓰는 쪽)의 읽기 전용은 cascade 속성에 의해 소용이 없어질 수 있다."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
미해결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DLQ 재시도 로직 처리후 DLQ에 unacked 1건이 남는거에 대해서
안녕하세요.예시 학습 중에 DeadLetterQueue 수동 재시도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http 호출 이후에 추가적으로 DLQConsumer가 호출되지는 않는데, 처리 후 RabbitMQ 콘솔 확인해보니 DLQ에 unacked 한 건이 남아 있었습니다. 제 생각에는 DLQConsumer에서 정상적으로 메시지 소비했으면 마찬가지로 ack 처리 해줘야 하는게 아닌가 싶은데, DLQ에 unacked 상태로 남기는게 의도된 경우가 있을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order_completed_queue에서는 모두 처리되서 메시지가 보이지 않습니다. 예시 코드@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DLQConsumer { private final RabbitTemplate rabbitTemplate; @RabbitListener(queues = RabbitMQConfig.DLQ) public void process(String message) { System.out.println("DLQ Message Received: " + message); try { String fixMessage = "success"; rabbitTemplate.convertAndSend( RabbitMQConfig.ORDER_EXCHANGE, "order.completed.shipping", fixMessage ); System.out.println("DLQ Message Sent: " + fixMessage); } catch (Exception e) { System.err.println("### [DLQ Consumer Error] " + e.getMessage()); } } }
-
미해결고성능 JPA & Hibernate (High-Performance Java Persistence)
해당 내용에 대한 내용 요약
Hibernate Connection Lifecycle 수업은 해당 내용을 이해가 안되서 몇번 봤지만 결론적으로 디폴트 설정은 save할때 마다 오토커밋 때문에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해당 설정 hibernate.connection.provider_disables_autocommit=true 을 통해서 오토커밋을 방지하면 성능이 향상되는걸로 이해 하였고, 일관성 있는 트렉젝션 처리로 @transactional로 관리 한다,, 라고 이해 하였습니다 맞을까요,,? 혹시 해당 내용이 아니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덕분에 공부는 많이 되네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추상 클래스의 접근 제어자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복습을 하면서 질문이 있어서 남겨드립니다. 지금 강의중에서 접근 제어자를 전부 public으로 하셨는데 순수 추상 클래스는 상속 용도로만 사용이 가능한데 public이 아닌 protected로 두는게 더 명확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