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김태우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태우

작성한 질문수

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13.Routing모델-Direct Exchange로 Log 수집 (WebSocket, STOMP)

안녕하세요 섹션2. 12번 강의에서 질문 있습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35

0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섹션2 12번 강의에서 (관심사기반의뉴스레터발행/구독모델) 에서 질문 있습니다.

fanout exchange는 바인딩된 모든 큐에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이므로 모든 큐에 메시지가 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java 라는 특정 topic을 구독하면 java queue 에 있는 메시지만 계속 소비할텐데,
그러면 나머지 spring queue나 vue queue 에는 메시지가 계속 쌓여 문제가 되는 것 아닌가요 ?
발행/구독 모델을 왜 fanout exchange로 구현하신 건지 궁금합니다.

답변 2

1

코드빌런님의 프로필 이미지
코드빌런
지식공유자

수강자님 안녕하세요.

 

특정한 뉴스를 발행하는 경우 데이터가 쌓이는게 우려될 경우 Direct로 설계하는게 맞고, 회원 등급별로 후처리 등을 염두에 둘 경우 팬아웃으로 써도 무방하빈다.

pub/sub을 이용한 알람이 주 예제이고, 뉴스구독의 경우 fanout이든, direct이든 topic이든 구현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선택하시면 되는 문제라서 예제에서 단계별로 흐름을 설명하면서 각 exchange의 특징을 보여들릴 목적이지 뭘 선택하느냐는 실제 개발 환경에서의 목적에 따라 취사선택하시면 됩니다.

 

발행/구독 모델에 특정 사용자만 매칭해서 쏴야 할 경우, 전체에게 다 발행할 경우, 관심사 별로 유연하게 할 경우 해당 업무는 설계하는 목적에 따라 각각 direct, fanout, topic 을 선택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태우님.

Fanout Exchange와 관련된 궁금증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1. Fanout Exchange의 특성: Fanout Exchange는 메시지를 라우팅 키와 관계없이 바인딩된 모든 큐로 브로드캐스트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구독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효율적입니다.

  2. 발행/구독 모델에서의 Fanout 사용 이유:

    • 발행/구독 모델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구독자에게 같은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할 때 Fanout Exchange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뉴스 레터 시스템처럼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정보에 접근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 Fanout Exchange를 사용하면 ~모든 바인딩된 큐에 같은 메시지가 전송~되므로, 구독자가 여러 큐에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메시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큐에 메시지가 쌓이는 문제:

    • 특정 Topic(예: “/topic/java”)을 구독하면 해당 큐에 있는 메시지들을 소비하지만 나머지 큐의 메시지가 쌓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 이를 방지하기 위해 큐의 TTL(Time-To-Live)이나 정책을 설정하여 일정 시간이 지나면 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Fanout Exchange를 사용한 발행/구독 모델은 메시지를 구독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며, 큐 메시지 관리 문제는 별도의 해결 방법을 통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방법을 알고 싶으시면 다음의 질문들을 통해 추가적인 답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김태우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태우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