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문득 영한님의 키세팅이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질문 내용]저도 mac os를 사용중인데 이번 문제 같이 String값을 대문자로 써야할때면 기본키가 Caps Lock키를 꾹 누르는거라 시간도 오래걸리고 사용하기 어려운데 다른 키로 사용하시는 걸까요? 뭔가 금방금방 바꾸시는거 같아서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활용 영역에 대한 문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를 통해 제가 최종적으로 이해한바로는,인터페이스의 경우는 다형성을 위해서 제약사항을 좀더 추가 된것과 더불어클라이언트 코드 입장에서는 내부 구현 클래스를 굳이 알 필요가 없고 확장성에 용이 하다는점.추상클래스는 객체 생성을 방지와 더불어, 자식 클래스에서 추상클래스 내의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한것으로 이해했는데요. 여기서 궁금한게 있습니다.보통 실무에서는 공통 모듈이나 공통 적인 유틸성 함수들을 구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경우는 추상클래스내의 추상메소도를 통해 구현해서 활용하는것이 더 효율적인지? 아니면, 꼭 추상클래스로 안해도 되는지? 추상클래스의 적절한 활용 범위와 더불어 런타임시(메모리 상에서) 처리 성능에 있어서 어느정도의 이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interrupt 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강사님! 간단한 질문이 있습니다!!shutdown 이나 shutdownNow 모두 작업중이 스레드에게 Interrupt 를 거니까, 100초 짜리 작업이 interrupt 체킹이 안되어있는 스레드였다면(sleep 함수가 아니라 실제로 작업이 100초짜리 걸려서, Thread.isInterrupted 같은걸로 체크가 없다면) (sleep 은 interrupt 를 잡음)shutdownNow 에도 동작을 안하나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댓글 신규 path 동시성 이슈
댓글의 path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public CommentPath createChildCommentPath(String descendantsTopPath) { if (descendantsTopPath == null) { return CommentPath.create(path + MIN_CHUNK); } String childrenTopPath = findChildrenTopPath(descendantsTopPath); return CommentPath.create(increase(childrenTopPath)); } 이런식으로 findChildrenTopPath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동시성 이슈가 발생할 수 있을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increase하는 함수에서도 동시성 제어를 하는 파트가 없어 동시에 같은 계층의 댓글이 생성되면 id가 겹칠 것 같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제네릭 연습문제 1번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isEmpty() 메서드 관련해서 제네릭은 실행 시점에 타입이 정해지는데 단순 null 인지만 확인하는것이 아닌 기본형,참조형 각각의 타입별로 비어있는지를 구현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아래와 같이 test를 해보면 잘못된 값이 나옵니다. public class Container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tainer<Integer> integerContainer = new Container<>(); System.out.println("빈값 확인1: " + integerContainer.isEmpty()); }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pa 책 질문있습니다.
강의에서 2015년에 나왔다고 하셨던거 같은데지금 책 구매해서 봐도 괜찮나요?에러라던가 버전이라던가 아니면 jpa 방식이 변했다던가 그런부분은 거의 없나요 ?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application.yaml 에 redis 정보
redis 분산락을 사용할때,application.yaml 에 아래와 같은 redis 정보가 없어도 정상동작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spring: data: redis: host: localhost port: 6379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JAVA] 함수, 생성자을 파악하는 기준
JAVA의 구조와 기초용어(13분 45초 ~ 13분 54초) 여기서 설명을 하실 때 함수같이 생긴 것이라고 말하셨는데 함수같이 생긴 것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다른 커리큘럼에서 말씀을 하셨다면 어디인지 알려주세요.감사합니다.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알림은 왜 pub sub 구조로 설계하나요?
동일한 메시지를 여러 서비스에서 처리하는 것을 pub sub 구조로 이해하였는데요,알림이라는 하나의 서비스에서 처리한다면 pub sub 구조로 설계할 필요가 없는 걸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인기글 Consumer 구현 - 이벤트 핸들러 및 서비스 레이어 강의 질문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해당 강의 마지막 부분의 handleEventIfScoreUpdatedEventTest()에서given(event.getType()).willReturn(mock(EventType.class));위의 코드로 test하신 이유가 단순히 게시글 생성과 게시글 삭제만 아니면 되어서,그냥 아무 class로 테스트하신게 맞으실까요?? 아래 코드로도 가능하긴 하지만 그냥 게시글 생성과 게시글 삭제만 아니면, test 가능하니로 이해하면 될까요?given(event.getType()).willReturn(EventType.ARTICLE_UPDATED);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OAuth2AuthorizedClient 이해 및 활용 강의 내용 질문
1 의문 ................................................강의 내용중에서oauth2Login(Customizer.withDefaults())없이oauth2Client(Customizer.withDefaults())만 사용한 경우에는 인가 처리만 하기 때문에 따로 인증 처리를 해주는 과정을 보여주셨는데 2 배경지식 ................................................oauth2Client 와 oauth2Login 의 차이는 1단계 처리 필터 : OAuth2AuthorizationRequestRedirectFilter 로 동일2단계 를 처리필터: OAuth2LoginAuthenticationFilter 대신 여기선 OAuth2AuthorizationCodeGrantFilter 사용 즉OAuth2LoginAuthenticationFilter 를 거치지않아OAuth2LoginAuthenticationFilter에서 사용하는OidcAuthorizationCodeAuthenticationProvider에서IdToken 을 추출해OidcIdToken를 만들고 OidcUser 를 로드하는 부분의 유무가 핵심적인 차이라고 생각이드는데요 그리고 OAuth2User는 인가 개념만 있지 인증 개념은 없다고 들었습니다 3 질문 ....................................................... 단순히 OAuth2User를 만들어 OAuth2AuthenticationToken을 SecurityContextHolder에 수동 저장한다고 해서 "인증된 사용자"로 간주되는 않아서로그아웃도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물론 스프링 시큐리티 자체에서 세션,쿠키,SecurityContextHolder에 강제로 저장한 Authentication 없애기를 통해 일부는 처리는 되지만질문1 : keycloak 에서의 실제 세션은 로그아웃을 못하지않나요 ?@GetMapping("/logout") public String logout( 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 SecurityContextHolder.getContext().getAuthentication(); // 로그아웃 처리 SecurityContextLogoutHandler logoutHandler = new SecurityContextLogoutHandler(); logoutHandler.logout(request, response, authentication); // 로그아웃 요청을 위한 Keycloak 로그아웃 URL String logoutUrl = "http://localhost:8080/realms/oauth2/protocol/openid-connect/logout"; // 로그아웃 후 리디렉션할 URI String redirectUri = "http://localhost:8081/login"; // 로그아웃 후 돌아올 URL // 실제 ID Token을 가져오는 코드 // 로그아웃 URL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추가 String logoutRequestUrl = logoutUrl + "?id_token_hint=" + idTokenHint + "&post_logout_redirect_uri=" + redirectUri; // 로그아웃 요청을 Keycloak으로 리디렉션 return "redirect:" + logoutRequestUrl; }이런식으로 강제로 형식 만들려고 해도 mvc 에서 id_token을 참조할 수 있는 방법이없습니다 .디버깅으로 확인해보니scope 에 openId 를 추가해서 id_token이 있을거라고 생각했는데OAuth2AuthorizationCodeGrantFilter의 OAuth2AuthorizationCodeGrantFilter에서 authenticationResult 에 additionalParameters = {HashMap@7785} size = 4 "id_token" -> "ㅁㄴㅇㄹㄴㅇㅁㄻㄴㅇㅁㄴㅇㄹ" "session_state" -> "7a3b7dbb-ec62-4a07-8ef8-f67b17b2f3ac" "refresh_expires_in" -> {Integer@7818} 1800 "not-before-policy" -> {Integer@7820} 1746349855이런식으로 있긴하지만 사용하지않고 authenticationResult로부터 authenticationResult.getClientRegistration() 추출해서 OAuth2AuthorizedClient 만들어서 저장하고 끝내내요 private void processAuthorizationRespons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OAuth2AuthorizationRequest authorizationRequest = this.authorizationRequestRepository.removeAuthorizationRequest(request, response); String registrationId = (String)authorizationRequest.getAttribute("registration_id"); ClientRegistration clientRegistration = this.clientRegistrationRepository.findByRegistrationId(registrationId); MultiValueMap<String, String> params = OAuth2AuthorizationResponseUtils.toMultiMap(request.getParameterMap()); String redirectUri = UrlUtils.buildFullRequestUrl(request); OAuth2AuthorizationResponse authorizationResponse = OAuth2AuthorizationResponseUtils.convert(params, redirectUri); OAuth2AuthorizationCodeAuthenticationToken authenticationRequest = new OAuth2AuthorizationCodeAuthenticationToken(clientRegistration, new OAuth2AuthorizationExchange(authorizationRequest, authorizationResponse)); authenticationRequest.setDetails(this.authenticationDetailsSource.buildDetails(request)); OAuth2AuthorizationCodeAuthenticationToken authenticationResult; try { authenticationResult = (OAuth2AuthorizationCodeAuthenticationToken)this.authenticationManager.authenticate(authenticationRequest); } catch (OAuth2AuthorizationException var16) { OAuth2AuthorizationException ex = var16; OAuth2Error error = ex.getError(); UriComponentsBuilder uriBuilder = UriComponentsBuilder.fromUriString(authorizationRequest.getRedirectUri()).queryParam("error", new Object[]{error.getErrorCode()}); if (StringUtils.hasLength(error.getDescription())) { uriBuilder.queryParam("error_description", new Object[]{error.getDescription()}); } if (StringUtils.hasLength(error.getUri())) { uriBuilder.queryParam("error_uri", new Object[]{error.getUri()}); } this.redirectStrategy.sendRedirect(request, response, uriBuilder.build().encode().toString()); return; } Authentication currentAuthentication = this.securityContextHolderStrategy.getContext().getAuthentication(); String principalName = currentAuthentication != null ? currentAuthentication.getName() : "anonymousUser"; OAuth2AuthorizedClient authorizedClient = new OAuth2AuthorizedClient(authenticationResult.getClientRegistration(), principalName, authenticationResult.getAccessToken(), authenticationResult.getRefreshToken()); this.authorizedClientRepository.saveAuthorizedClient(authorizedClient, currentAuthentication, request, response); String redirectUrl = authorizationRequest.getRedirectUri(); SavedRequest savedRequest = this.requestCache.getRequest(request, response); if (savedRequest != null) { redirectUrl = savedRequest.getRedirectUrl(); this.requestCache.removeRequest(request, response); } this.redirectStrategy.sendRedirect(request, response, redirectUrl); }질문 2 : 강의(OAuth2AuthorizedClient 이해 및 활용)에서는OAuth2User를 만들어 OAuth2AuthenticationToken 을 저장하는 식으로 처리하셨는데 수업을 듣다 보니 이렇게 처리한 이유가 궁금해 질문 드립니다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Service의 .cancel() 메서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 부분 관련해서 반복적으로 학습중인데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 취소 */ @Transactional public void cancelOrder(Long orderId) { //주문 엔티티 조회 Order order = orderRepository.findOne(orderId); //주문취소 order.cancel(); }이 부분에서 orderId"주문 PK" 를 인자로 받아 주문에 대한 데이터 order 를 조회해왔습니다.그다음 order.cancel(); 메서드를 호출하는데해당 메서드에는 파라미터로 아무것도 넣지 않았습니다. //==비즈니스 로직==// /** * 주문 취소 */ public void cancel(){ if (delivery.getStatus() == DeliveryStatus.COMP)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배송완료된 상품은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this.setStatus(OrderStatus.CANCEL);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 }그 다음 위의 Order 엔티티의 cancel 메서드가 호출이 되는데예외처리 부분을 지나 이제"해당 주문에 포함된(저장된) 주문품목(OrderItem) 의 addStock() 하는 메서드까지 연결이 됩니다.OrderService > Order > OrderItem > Item 까지의 순차적인 cancel 및 addStock() 메서드까지 실행이 완료되면OrderService의 cancelOrder메서드의 트랜잭션이 종료가 되어 flush가 발생/DB 쿼리가 날라감까지 제가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혹시 틀린 부분이 있다면 말씀부탁드리겠습니다!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이건데,Order order.cancel() 이 부분에서order 라는 Order 엔티티 객체에 바로 cancel() 메서드를 사용했는데 /** * 주문 취소 */ public void cancel(){ if (delivery.getStatus() == DeliveryStatus.COMP)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배송완료된 상품은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this.setStatus(OrderStatus.CANCEL);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 }조회한 데이터는 Order 뿐인데 다음 코드가delivery.getStatus() 입니다.갑자기 delivery가 어디서 나온건지.. 모르겠습니다.예외처리가 끝나면 나오는 orderItem 또한 갑자기 무슨 데이터를 가지고 반복문을 돌리는지 모르겠습니다.제 짧은 지식의 추측상예외처리시에 delivery.getStatus() 는 Order엔티티와 1:1 관계이기에 delivery가 사용하게 될 때 지연로딩을 이용하여 delivery 데이터를 조회하여 사용하고OrderItem 또한 Order와 일대다관계이기에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이렇게 사용될 때 지연로딩을 이용하여Order pk를 가진 OrderItem 의 데이터를 가지고와 반복문을 돌리게 되는건가요??너무 헷갈리네요.. 제가 이해하고 있는게 맞나요?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AWS 환경 인프라 도표에서 private 서브넷 질문 드립니다 !
1. 현재 학습 진도몇 챕터/몇 강을 수강 중이신가요? 2챕터/5강 수강중입니다. 여기까지 이해하신 내용은 무엇인가요? 도커와 모니터링에 대해 전반적인 틀을 이해했습니다.질문 설명에서는 private subnet2에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배포 한다고 하셨는데 아래 도표에서 public서브넷으로 표기 되어있어서 혼동이 있습니다 ! private 서브넷이 맞는건가요 ?
-
미해결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2주차 성능테스트 관련 질문입니다.
상황 :같은 테스트를 진행했는데 저는 성능이 너무 안나와서 고민입니다.문제 :이전 개인 프로젝트에서도 클라우드상에서 기본 API 응답 시간이 2초 가량 소요됐었는데, 그 때 당시에는 비지니스 로직이 무거워서 그랬나보나 싶었는데이번 실습에서도 이렇게나 느린 걸 보면 개인 PC의 성능이 안좋은 것 같습니다.(게임도 잘 돌아가고 네트워크도 절대 느린 편이 아닌데 말이죠...)질문 : 이력서에 성능 시간에 관해 쓸 때 잘 만들어진 코드임에도 이렇게 느리면 담당관 입장에서는 "이렇게 느린데 무슨 성능 향상을 했다는거야?" 하는 생각이 들 것 같습니다.실제로 http_reqs가 1.036077/s로 1초에 1명밖에 받지 못하고 있는데, 이 상태로는 이력서에 쓰는게 의미가 없을 거 같아서 어떤 식으로 테스트를 하는 게 좋을지 궁금합니다.아 참고로 이 테스트는 Bad Test 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윈도우 gradlew build 실패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전부 해봤습니다. gradlew.bat 을 직접 폴더 내에서 눌러서 실행해보면 오류 코드고 뭐고 아무것도 확인할 수도 없이 바로 꺼져버립니다.jdk 24입니다. 그리고 커맨드를 열어서 cd 로 폴더 연결 후이대로 해보려고 해도 첫번째 사진처럼만 뜹니다. 다른 질문들을 다 찾아봐도 gradlew.bat 을 누르자마자 뭔가 보이기도 전에 꺼져버리는 케이스는 없어서 너무 고통스럽습니다. 도움을 주실 분 안 계실까요?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r2uKWeNTWgDPhZMBnix_aDlhLFZClxPO?usp=sharing 파일 드라이브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앞으로의 방향성
안녕하세요. 백엔드 개발자 전향을 위해 달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영한님 로드맵에 없는 디자인 패턴, 리팩토링, 이펙티브 자바 같은 부분도 스프링 학습 전에 학습하고 봐야하는걸까요? 아니면 스프링을 학습하고 추후에 봐도 무방할까요?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Receiver를 여러개 하려면 어떻게하나요?
@Bean public 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 container(ConnectionFactory connectionFactor, MessageListenerAdapter listenerAdapter) { 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 container = new 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 container.setConnectionFactory(connectionFactor); container.setQueueNames(QUEUE_NAME); container.setMessageListener(listenerAdapter); return container; } @Bean public MessageListenerAdapter listenerAdapter(Receiver receiver) { return new MessageListenerAdapter(receiver, "receiveMessage"); // Receiver의 메소드명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만약 하나의 큐에서 여러 컨슈머를 통해 동시에 여러개를 소비하고자한다면 Receiver를 추가해서 새롭게 MessageLisnterAdaper 빈을 추가하는걸까요? 어떤식으로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여러큐와 거기에 따른 여러 컨슈머 구성시에는 어떤식으로 환경설정하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연결리스트 직접 구현V3 삭제 부분 코드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예안녕하세요 직접 구현하는 연결리스트 3 추가와 삭제 2편을 복습하다 궁금한 점이 생겨 여쭤보게 되었습니다 ! 지금 Object remove 메서드에 else 구절을 보면 (첫번째 노드를 삭제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getNode(index-1).next = removedNode.next;로 구현이 되어있습니다 !여기에서 스스로 복습하는 과정에서 저는getNode(index-1).next = getNode(index+1);로 생각을 했었는데, 혹시 이 로직으로 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지가 궁금하네요 ..! 그리고 바로 하단에 removeNode.item = null;removeNode.next = null;로 직접 null 값으로 비워주는 이유가 있을까요 ?getNode(index-1).next = getNode(index+1);로 두면 삭제할 노드인 getNode(index)는 연결이 끊기기에 자동으로 GC의 대상이 된다고 생각해서 여쭤봅니다 ! 복습하면서 많은 것들을 처음에는 보이지 않던 것들을 많이 얻어가는 중입니다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전체 교재 PDF 파일은 어디서 받나요?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실기 접수한 수강생입니다! 전체 PDF 파일은 어디서 받을 수 있을까요?
-
미해결백엔드 개발자 성능 개선 초석 다지기
ngrinder 설치관련
안녕하세요 ngrinder 설치 할 때 window환경에서run_agent.bat 을 실행했는데 cmd창이 떴다고 바로 꺼지고 agentmanage에 아무것도 나오지 않습니다 제가 어떤 걸 놓쳤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