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6
0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코드에서 마지막에 s=s.substring(7);이 있는데(9번째줄) i가 for문에서 n-1까지 갔을 때 뒤에 남은 String이 없는데 index out of bound exception이 안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코드 똑같이 했다고 생각했는데(똑같지 않으니 에러가 나겠지만요 ㅠㅠ) 해당 에러가 떠서 여쭤봅니다. 혹시 이 에러가 떴다면 어느 부분에서 차이가 나는 걸까요?
답변 3
0
0
정확한 문자열 길이 확인 -> 선생님 코드에는 7이상인지 확인하는 조건이 없는데 왜 에러가 안난 걸까요?
초기화: n은 동일하게 설정한 것 같습니다.
도와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clzkwpaak2님.
질문하신 index out of bound exception
에 대한 부분은 주로 잘못된 문자열 인덱싱에서 발생합니다. s = s.substring(7);
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남은 문자열의 길이가 7 미만일 때 잘라내기 때문에 해당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을 인덱싱할 때의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점검이 필요합니다:
정확한 문자열 길이 확인: 각 반복문이 실행되기 전에 문자열 s의 길이가 7 이상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substring(7)
연산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초기화 제대로 확인: 코드에서 n
의 초기값이나 설정된 값이 정확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잘못된 값이 설정되면 반복 조건이 예상과 다르게 동작할 수 있습니다.
질문에서 언급한 상황에 대해 비슷한 문제를 경험한 사례도 참고하면 좋습니다:
nextLine
메서드와 관련된 문제를 설명합니다.해당 답변에서는 nextInt()
이후 nextLine()
을 사용하여 줄바꿈 문자를 건너뛰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누락되어 있다면, 예상치 못한 문자열 입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