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4분 17초 private 접근
안녕하세요,4분 17초에서 conn1.count(); 하면 count++가 되어 conn1에 있는 count는 1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private int count; 라고 선언된 부분이 있는데, private인데 static도 없어서 클래스 외부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어 컴파일러 에러가 나지 않나요?
-
해결됨아직도 살아 있는 불사의 jQuery - 기초 부터 실무까지
실무에서 탭스 구현 시 어떤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탭스를 구현하기 위해 3가지 방법을 알려주셨는데 그러면 실무에서는 JQuery-UI를 사용하여 구현을 하는걸까요??그리고 지금 보니까 해당 강의 섹션 제목에 오타가 있는 것 같습니다. jQuery 가 아닌 Jqeury 로 되어있네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jwt 검증 로직 질문
강의 예제 코드에서는 user-service 라는 msa 에서 jwt발급 과정에서 user id를 Subject에 설정해서 발급하고이후에 gateway 에서 검증할 때 그냥 subject 만 추출하고 null 이 아니면 그냥 검증되는 식으로작성되어있습니다 그리고 강의에서 bearer 토큰으로 받은 값에서 subject 를 추출해서 그걸 user_id 랑 비교해서 검증하면 된다는 언급이 있습니다 여기서 의문인 건 비교할 실제 db 가 user-service 에있다는 점입니다추후 강의에서 msa 간 통신하여 user-service에 있는 db 에서 userId 가져와서 비교하는 식으로 처리가 되는 걸까요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
해결됨CloudNet@ - AWS 네트워킹 입문
강의 수강 연장 가능한가요?
제가 업무때문에 강의를 수강을 못했는데..강의 수강 연장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vercel function 리전을 서울로 하지 않아도 icn1이에요
말그대로 입니다.거의 마지막 강의에서 vercel 프론트엔드 앱에 들어가서 function의 리전을 서울이 아니라 도쿄로 바꾸고 배포했는데, 네트워크탭에 book/[id] 페이지의 문서의 X-Vercel-id는 icn1::~이 찍힙니다.다만 index 페이지의 문서는 icn1::iad1::~~ 으로 찍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리전은 도쿄로 하고 배포했습니다.) 또 icn은 인천의 약자인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9:16
안녕하세요, (기출) 2023년 1회 코드해석 문제 중 29:16초 질문 있습니다. public Car(String Val)로 넣을 때,앞서 부모 생성자를 거쳐야하는데, public Vehicle 이라고 되는 부분이 없어서 컴파일 오류 난다고 생각했습니다. 왜 컴파일 오류가 나지 않고 출력이 가능한건가요?
-
미해결핵심만 골라배우는 CSS3
섹션18 햄버거 애니메이션 영상이 재생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섹션 18 여행 블로그 - 햄버거 애니메이션 영상이 인코딩 중인 영상이에요. 문구가 뜨고 재생이 되질 않습니다. 확인 부탁 드리겠습니다.
-
미해결[2025년 출제기준] 웹디자인기능사 실기시험 완벽 가이드
A2 작업하는데 공지사항 내용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습니다.
이렇게 가로로 배치되어집니다. 뭐가 문제인걸까요 ㅠㅠ + 애초에 이렇게 공지사항 내용이 적힌 a 메뉴를 하나만 더 적어도 이렇게 가려집니다... ㅠㅠ심지어 저 상황은 지금 갤러리 css까지 다 지웠는데도 이럽니다.... ㅠㅠㅠ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link rel="stylesheet" href="css/stylesheet.css"> <title>A2</title>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header> <div class="header-logo"> <a href="#"> <img src="img/headerlogo.png" alt="header-logo"> </a> </div> <div class="navi"> <ul class="menu"> <li> <a href="#">재단소개</a> <div class="sub-menu"> <a href="#">설립취지</a> <a href="#">연혁</a> <a href="#">찾아오시는 길</a> </div> </li> <li> <a href="#">후원하기</a> <div class="sub-menu"> <a href="#">국내후원</a> <a href="#">국외후원</a> <a href="#">맞춤후원</a> </div> </li> <li> <a href="#">자료실</a> <div class="sub-menu"> <a href="#">서식자료실</a> <a href="#">사진자료실</a> <a href="#">후원양식</a> </div> </li> <li> <a href="#">스토리</a> <div class="sub-menu"> <a href="#">웹진</a> <a href="#">보고서</a> <a href="#">나의 후원</a> </div> </li> </ul> <div class="sub-back"> <!-- 슬라이드 부분을 가려야 하므로 따로 생성하기 (어차피 이 내비게이션 어려운거 맞음) 주의사항: ul 밑에 넣어야함!!! 형제 요소로 넣어!! --> </div> </div> </header> <div class="slide"> <div class="slide-items"> <a class="slide-item" href="#"> <img src="img/slide1.png" alt="slide1"> </a> <a class="slide-item" href="#"> <img src="img/slide2.png" alt="slide2"> </a> <a class="slide-item" href="#"> <img src="img/slide3.png" alt="slide3"> </a> </div> </div> <div class="items"> <div class="notice"> <div class="tab-inner"> <div class="btn"> <span>공지사항</span> </div> </div> <div class="tab"> <a href="#">Green 복지재단 공지사항1 2020.11.23</a> <a href="#">Green 복지재단 공지사항1 2020.11.23</a> </div> </div> <div class="gallery"> <a href="#"> <img src="img/gallery1.png" alt="gallery1"> </a> <a href="#"> <img src="img/gallery2.png" alt="gallery2"> </a> <a href="#"> <img src="img/gallery3.png" alt="gallery3"> </a> </div> <div class="banner"> <a href="#"> <img src="img/banner.jpg" alt="banner"><span class="banner-text">Banner</span> </a> </div> </div> <footer> <div class="footer-logo"> <a href="#"> <img src="img/footerLogo.png" alt="footer-logo"> </a> </div> <div class="copyright"> COPYRIGHTⓒ by WEBDESIGN. ALL RIGHTS RESERVED </div> <div class="familysite"> <select> <option>패밀리사이트1</option> <option>패밀리사이트2</option> <option>패밀리사이트3</option> </select> </div> </footer> </div> <script src="js/jquery-1.12.4.js"></script> <script src="js/custom.js"></script> </body> </html>@charset "utf-8"; body{ margin: 0; font-size: 15px; background-color: #fff; color: #333333; } a{ text-decoration: none; color: #333333; } /* .container{} */ .header-inner{ /* border: 1px solid red; */ background-color: #d58c71; } header{ width: 1200px; margin: auto; height: 100px; position: relative; z-index: 10; } header>div{ /* border: 1px solid blue; */ height: 100px; } .header-logo{ width: 200px; float: left; } .navi{ width: 600px; float: right; } /* .content-inner{} */ .slide{ width: 1200px; height: 300px; position: relative; overflow: hidden; margin: auto; } .slide-items{ width: 3600px; font-size: 0;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 .slide>div{ /* border: 1px solid green; */ height: 300px; } .items{ width: 1200px; margin: auto; overflow: hidden; } .items>div{ /* border: 1px solid purple; */ height: 200px; float: left; box-sizing: border-box; } .notice{ width: 500px; } .gallery{ width: 350px; } .banner{ width: 350px; } .footer-inner{ /* border: 1px solid red; */ background-color: #eee; } footer{ width: 1200px; margin: auto; overflow: hidden; } footer>div{ /* border: 1px solid purple; */ height: 100px; float: left; box-sizing: border-box; } .footer-menu{ width: 1000px; } .footer-menu div{ /* border: 1px solid palevioletred; */ height: 50px; box-sizing: border-box; } .familysite{ width: 200px; } /*모듈 이외 부분*/ .header-logo{ line-height: 130px; text-align: center; } .gallery a{ text-align: center; padding: 5px; } .gallery a img{ text-align: center; padding-top: 45px; transition: 0.1s; } .gallery a img:hover{ opacity: 50%; } .banner a img{ width: 350px; height: 200px; } .under-menu{ text-align: center; } .under-menu a{ line-height: 50px; padding: 10px; } .copyright{ text-align: center; line-height: 45px; } .familysite{ text-align: center; line-height: 90px; } .familysite select{ width: 100%; text-align: center; padding: 8px; } /*내비게이션*/ .menu{ margin-top: 59px; list-style: none; padding: 0; } .menu li{ /* border: 1px solid red; */ float: left; box-sizing: border-box; width: 25%; text-align: center; } .menu li>a{ /* border: 1px solid red; */ background-color: #a7634a; color: white; padding: 10px; display: block; transition: 0.5s; } .menu li:hover>a{ background-color: #e8a891; color: #333333; } .sub-menu{ height: 130px; display: none; } .sub-menu a{ background-color: #e8a891; padding: 10px; display: block; transition: 0.5s; } .sub-menu a:hover{ background-color: #a7634a; color: white; } .sub-back{ position: absolute; width: 100%; height: 200px; top: 100%; right: 0; background-color: #e8a891; z-index: -1; display: none; }
-
미해결Vue.js 끝장내기 - 실무에 필요한 모든 것
계속 따라하다가 안돼서 bash에 연결할떄 안되더라구요
따라하다가 자꾸 안돼서 보니까bash에 연결할떄 안되더라구요제 맥북에는 zsh? 여기에다가 해야 되더라구요이렇게 nvm 써도 문제없는건지 궁금하고왜 이렇게 다른걸로 하게 되는지 궁금해요!라고 물어보려다가 검색을 해보았습니다.macOS Catalina부터 기본 쉘이 bash에서 zsh로 변경되었다네요zsh에 설치하는게 맞는거였어요.맥OS 여러분 참고하세요~~
-
미해결카프카 완벽 가이드 - 커넥트(Connect) 편
debezium source connector에서 `poll.interval.ms` 파라미터
강의를 들으면서 헷갈리는 부분이 있는데요. debezium source connector등록시 설정하는 poll.interval.ms 파라미터는 debezium source connector가 source db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데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하는 걸까요? 아니면 debezium source connector가 kafka로 토픽을 전송하는데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하는 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JPA 소개 강의 관련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1)“JPA와 상속 - 조회” 부분에서,개발자는Album album = jpa.find(Album.class, albumId);JPA는 SELECT I.*, A.* FROM ITEM I JOIN ALBUM A ON I.ITEM_ID = A.ITEM_ID이렇게 처리해준다고 하는데, Album를 찾는거면 from album에 join이 item이 되어야 하는게 아닌건가요? 2)“지연로딩” 부분에서,실제로 team의 속성인 getName()을 사용할 때 생성되는 쿼리가 select * from team이 아니라,select * from team where member_id = ~~ 이런 쿼리가 날라가는게 맞지 않나요?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Pub/Sub & WebSocket 활용한 실시간 알림
SSE & Redis와 Pub/Sub & WebSocket을 비교하고 있는데요.실시간성과 정확성을 위해서라면 Pub/Sub & WebSocket을 더 많이 쓰나요? 알림의 특성상 채팅과 같은 양방향은 아니기 때문에 WebSocket이 적합한 선택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혹시 모든 강의가 720p로 진행될까요?
안녕하세요. 방금 막 구매를 가입한 수강생입니다.첫번째 영상을 보는데 최대 해상도가 720으로 되어있어서요. 이런 안내는 없어서 약간 당황을 했습니다.혹시 모든 강의가 이렇게 진행되는지, 아닌지 먼저 여쭤보고자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메세지 전송 지연의 병목 지점 파악 방법2
client가 main-backend 서버로 Rest 요청(Http 요청)을 보내면, main-backend 서버가 이를 처리한 다음 sub-backend server로 Rest 요청을 보내고 sub-backend 서버는 해당 요청을 redis pub/sub을 이용해서 spring webflux로 구현된 websocket 서버로 전달한 다음 websocket 서버가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아야 하는 client 들에게 메세지를 전달해주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을 때, 만약 client가 응답을 늦게 받는 상황이 생겼을 때 어디에서 병목이 생긴 것인지 파악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그래서 main-backend 서버에서 sub-backend 서버로 요청을 보낸 시각, sub-backend 서버에서 이 요청을 받은 시각, 그리고 sub-backend 서버에서 이 요청을 다시 redis pub/sub으로 내보낸 시각, 그리고 websocket 서버에서 이 요청을 받은 시각, 그리고 client로 응답을 내보낸 시각을 다 측정하고 싶은데 어떤 식으로 하는 게 좋을까요?로그를 남긴다면 어떤 식으로 남기는 것이 좋을지 예제 코드가 함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그 외에 다른 방법이 있다면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시각화도 궁금하지만, 우선 구현 코드부터 알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메세지 전송 지연의 병목 지점 파악 방법
안녕하세요 김영한 개발자님강의 감사합니다!강의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을 수 있지만 질문이 있습니다...혹시 Spring 서버에서 또 다른 SpringMVC 서버 또는 Spring Webflux 서버로 요청을 보내고또 그 서버에서 Client로 요청을 보내는 구조에서 메세지 전송 지연이 발생했을 때어느 부분이 병목인지 파악하고자 한다면 어떤 방법을 사용하면 좋을까요....?제가 아직 지식이 짧아서 더 경험이 많으신 개발자분께서는 이런 상황일 때 어떻게 하실지 궁금합니다... ㅠ_ㅠRest 요청이 들어온 시점에 해당 시각을 로그로 남기고, 응답을 보내는 시점에 해당 시각을 로그로 남겨서 판단하는 방법 외에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MYSQL 연동오류 원인
application.propertesspring.application.name=apiServer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com.mysql.jdbc.Driver spring.datasource.url=jdbc:mysql://localhost:3306/apidb spring.datasource.username=apidbuser spring.datasource.password=apidbuser MySQLCREATE USER 'apidbuser'@'localhost' IDENTIFIED BY 'apidbuser';CREATE USER 'apidbuser'@'%' IDENTIFIED BY 'apidbuser'; GRANT ALL PRIVILEGES ON . TO 'apidbuser'@'localhost' WITH GRANT OPTION;GRANT ALL PRIVILEGES ON . TO 'apidbuser'@'%' WITH GRANT OPTION; 현재 데이터베이스 연결은 잘된거 같은데 연결할때마다 oading class com.mysql.jdbc.Driver'. This is deprecated. The new driver class is com.mysql.cj.jdbc.Driver'. The driver is automatically registered via the SPI and manual loading of the driver class is generally unnecessary.2025-03-16T15:58:11.685+09:00 INFO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ing...2025-03-16T15:58:11.687+09:00 WARN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c.zaxxer.hikari.util.DriverDataSource : Registered driver with driverClassName=com.mysql.jdbc.Driver was not found, trying direct instantiation.2025-03-16T15:58:11.855+09:00 INFO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Added connection com.mysql.cj.jdbc.ConnectionImpl@6077b0882025-03-16T15:58:11.856+09:00 INFO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 completed.2025-03-16T15:58:11.878+09:00 INFO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o.hibernate.jpa.internal.util.LogHelper : HHH000204: Processing PersistenceUnitInfo [name: default]2025-03-16T15:58:11.900+09:00 INFO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org.hibernate.Version : HHH000412: Hibernate ORM core version 6.6.8.Final2025-03-16T15:58:11.911+09:00 INFO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o.h.c.internal.RegionFactoryInitiator : HHH000026: Second-level cache disabled2025-03-16T15:58:12.010+09:00 INFO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o.s.o.j.p.SpringPersistenceUnitInfo : No LoadTimeWeaver setup: ignoring JPA class transformer2025-03-16T15:58:12.061+09:00 INFO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org.hibernate.orm.connections.pooling : HHH10001005: Database info: Database JDBC URL [Connecting through datasource 'HikariDataSource (HikariPool-1)'] Database driver: undefined/unknown Database version: 9.1 Autocommit mode: undefined/unknown Isolation level: undefined/unknown Min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 Max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2025-03-16T15:58:12.353+09:00 INFO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o.h.e.t.j.p.i.JtaPlatformInitiator : HHH000489: No JTA platform available (set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to enable JTA platform integration)2025-03-16T15:58:12.354+09:00 INFO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2025-03-16T15:58:12.369+09:00 WARN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JpaBaseConfiguration$JpaWebConfiguration : spring.jpa.open-in-view is enabled by default. Therefore, database queries may be performed during view rendering. Explicitly configure spring.jpa.open-in-view to disable this warning2025-03-16T15:58:12.506+09:00 INFO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o.s.b.d.a.OptionalLiveReloadServer : LiveReload server is running on port 357292025-03-16T15:58:12.522+09:00 INFO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o.s.b.w.embedded.tomcat.TomcatWebServer : Tomcat started on port 8080 (http) with context path '/'2025-03-16T15:58:12.526+09:00 INFO 58817 --- [apiServer] [ restartedMain] o.zerock.apiserver.ApiServerApplication : Started ApiServerApplication in 1.469 seconds (process running for 2.034) 이런 에러가 떠서 테스트를 실행해도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저장되지 않습니다 무엇이 원인일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섹션 1 spring boot 구동 안됨 (JVM 버전 오류)
안녕하세요! Spring boot 구동을 하려던 중 계속 문제가 발생해서 문의 남깁니다. 우선 저는 JVM15를 사용하고 있어서, 수업을 들으며 JVM 17을 다운 받아서 환경 변수 편집까지 완료하여 cmd 에서 jave -version 명령어 실행 시, 그리고 vs code 에서 java -version 명령어 실행 시에 17 버전으로 나오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그런데 이상하게 자꾸 JVM 15로 구현되었다고 해서 실행이 되지 않고 해결 해보려하였으나 해결이 되지 않아서 질문 남겼습니다
-
미해결
강의 로딩 안됨
갤럭시 23 사용자 입니다.수강신청한 모든강의가 로딩되질 않습니다.링크된 화면에는 빈 화면만 보입니다.조속한 조치 바랍니다
-
미해결[Level 1] Qt를 이용한 Python 프로그래밍: 입문편
Qt Resource를 사용하는 예제 구현 10:15 구간 질의
안녕하세요~! self.iconCopy = QImage(":/res/copy.png") self.iconCut = QImage(":/res/cut.png") self.iconNew = QImage(":/res/new.png") self.iconOpen = QImage(":/res/open.png") self.iconPaste = QImage(":/res/paste.png") self.iconSave = QImage(":/res/save.png")아이콘 변수와 = 사이에 간격을 일정하게 맞출 때, 한번에 단축키로 하시는 것 같은데, 단축키 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해결됨[풀스택 완성] Supabase로 웹사이트 3개 클론하기 (Next.js 14)
todolist할때 컴포넌트 분리 안했던 것 같은데...
✅ 모든 질문들은 슬랙 채널에서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로펀의 인프런 상담소” 슬랙 채널 가입하기 💡평일중에는 퇴근 이후(저녁 7시)에 답변을 받아보실 수 있고, 주말중에는 상시 답변드리고 있습니다.강의보고 todolist할때 컴포넌트 분리 안했던 것 같은데...dropbox (선택수강)UI구축에 보면 supabase-todo-list vscode에 컴포넌트폴더에 ui컴포넌트 들이 있네요... 혹시 추가 작업을 하셨던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