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객체의 생성책임을 객체의 개념 자체에 부여하는 경우에 대한 의견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코드레벨에서의 관점이 될수도 있겠지만, 객체의 생성책임을 자신의 클래스객체에 부여하는 선택지에 대한 고견이 궁금합니다.저의 경우 기존처럼 설계없이 습관적으로 코드를 짰다면, ReservationService에서 Reservation.with(screening, user, amount)로 생성하고 저장하는 형태로 작성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게 수업에서 말씀하신 설계관점에서 생성책임부여 대상으로 괜찮은 것인지 고민이 들었습니다.제가 고려해보았을때, class객체를 예매 개념 이라고 명명하고 예매 개념이 객체의 생성책임을 부여하기 적절한 객체인지 판단해보자면,예매를 생성과 관련하여 가장 잘 알고있을것으로 생각되는 정보전문가로 보입니다.기록하거나 긴밀하게 사용하는 창조자패턴에 가장 부합하는 대상으로 보입니다.식별된 도메인모델을 기준으로 했을때는 '개념'이라는 객체가 새로 등장하게 되니 표현적차이는 상영보다는 다소 거리가 있어보이지만, 코드레벨에서 예매를 생성하라는 문맥에서 예매 class를 찾으면 되니 표현적차이를 줄임으로써 얻는 변경용이성은 해결되는것이 아닌가 생각했습니다.협력의 문맥을 책임으로 옮기고 적절한 객체를 식별한다고 할때 예매 개념 을 떠올리는건 뭔가 자연스럽지 않아보이긴 합니다.이런 판단으로 저는 예매 개념에 생성책임을 부여할것으로 판단했습니다.여기서 간과한 부분이 있거나 안티패턴은 아닌지 궁금합니다.설계가 정해진 답이있지 않고, 고차원적인 부분이다보니 판단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보고싶었습니다.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보고서 - 참여도 - 이벤트] 화면 변경점
강의랑 다르게 현재는 [보고서 - 참여도 - 이벤트]에서 [이벤트 이름별 이벤트 수] 카드가 안보이는데, 그냥 업데이트 돼서 그럴까요? 따로 볼수있는 방법이 있나요?그릭 [시간 경과에 따른 이벤트 이름별 이벤트 수] 카드에서도 직접 마우스 커서를 대야 비교 기간의 데이터가 보이는데, 이것도 디폴트 설정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접근제어자 문제 풀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접근제어자 문제풀이 강의 듣다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MaxCounter 클래스에서int count=0을 private 으로 제한하였는데요.Main클래스를 보면, int count = counter.getCount();와 같이 int count를 또 선언하고 있습니다.이 두가지는 다른 변수인가요?그렇다면, MaxCounter에서 public으로 설정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 아닐까 생각들어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실전! FastAPI 입문
ORM 연관관계
안녕하세요!Nest에서 Fast API로 컨버젼중입니다. Nest는 Many to Many, Many to One 등등이러한 연관관계를 설정해서 테이블을 생성합니다.Fast API에서는 아래 코드처럼 단순히 join만 걸어두고 사용하면 되는 걸까요?? class User(Base): __tablename__ = "user" id = Column(Integer, primary_key=True, index=True) username = Column(String(256), nullable=False) password = Column(String(256), nullable=False) todos = relationship("ToDo", lazy="joined")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후속강의로 어떤강의를 수강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c언어 강의를 전부 수강한뒤엔, c++를 수강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자료구조랑 알고리즘 강의는 지금 인프런에 없는거 같은데, 아직 공개가 안된걸까요?
-
해결됨절대강좌! 유니티6 - UGS를 활용한 백엔드 시스템 구축
구글 연동
강의 덕에 쉽게 ugs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의 보고 난 후 구글, 구글게임즈 연동도 시도해보고 있는데 잘 안되네요. 혹시 이와 관련된 강의 계획은 예정에 없으실까요?
-
미해결
홀 시작면 또는 메이트 커넥터 에러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돌출, 쉘, 홀 부분 강의 듣다가 마지막 실습의 홀이 아래 그림처럼 안되고 있습니다. 왜 안되는 걸까요?
-
미해결[개정판] 딥러닝 컴퓨터 비전 완벽 가이드
학습 방법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제 지식이 부족하여 이 강의는 제 수준보다 조금 높다는 생각이 드는데(뭔가 강의를 듣다 보면 미시적인 것들은 각각 이해가 되는데 큰 그림이 잘 안그려지는 것 같습니다..ㅠㅠ -특히 실습 부분..- 최대한 쉽게 설명해주시는 것은 느껴집니다.)선생님의 강의 중 선수강하면 이해가 잘 될 것이다 싶으신 강의가 있다면 추천 부탁드려도 될까요?이론부분만 골라서 마지막 세션까지 시청 후, 전반적인 내용을 머리에 넣은 다음 코딩 실습 부분만 따로 몰아서 시청하는 방법이 도움이 되려나요? < 애매한 질문이긴 하네요..
-
미해결Arm 아키텍처: 메모리 모델과 배리어 [저자직강 3부-3]
배리어 관련 질문
현재 메모리 모델에 대해 공부를 진행하고 있는데, 몇 가지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메모리 리오더링이라는 개념이 주로 나오고, DSB에서는 명령어 리오더링 개념도 한 번씩 나오는데, 이것에 대해서 Arm 아키텍처가 성능 향상을 위해 하드웨어적으로 out-of-order-execution을 수행하게 되고 그 일환으로, 각각 메모리 리오더링과 명령어 리오더링이 진행된다. 라고 이해해도 되는걸까요? 또한, 리오더링이라는 작업이 명령어를 파이프라인에서 fetch한 다음 그 안에서 순서를 바꿔서 실행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처음부터 바뀐 순서대로 fetch를 해서 실행을 시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dmb 배리어 명령어에 대해서, Arm 문서에는 dmb가 실행완료를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식으로 나와있는데, 예를 들어,strdmbldr 이런 순서로 명령어가 있을 때 실행 순서만 잡아주는 것이라면 str 이후에 바로 ldr이 수행되는데 ldr이 먼저 완료되는 경우도 있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이런 경우에는 str과 ldr의 실행 순서를 유지하는게 효과가 없을 것 같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어떻게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shareability에 대한 궁금증이 있습니다… shareability라고 하는 것이 배리어 명령어를 수행할 때 적용되는 범위인데, 그렇다면, 정확히 어떤 것에 대한 범위라는 것인지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위의 예시에서 dmb명령어가 있는 부분에 <qual>을 추가해준다고 할 때, 여기서 shareable의 의미가 배리어 명령어 이전의 작업을 모두 진행한 뒤에, 해당 데이터에 대해 정해진 범위에 동기화를 해준다고 이해하는 것이 맞을까요? 그렇다면 CPU0가 dmb/dsb/isb를 읽고 실행할 때, 동시에 CPU1이 ldr로 해당 영역에 접근하려고 하는 상황이 있다면 CPU0의 str 동작이 완료되고나서 접근하는 것인지, 그냥 업데이트되기 전의 str된 값을 읽어들이는 것인지 그런 부분들이 확실하게 이해가 잘 안됩니다. 또한, shareable domain의 영역에 대한 구분을 좀 알고 싶습니다..! 만약에 칩 안에 메인 클러스터와 서브 클러스터가 존재하고, 각각 클러스터에는 CA73 quad core, CA53 quad core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면 이런 상황에서는 non-shareable, inner-shareable, outer-shareable의 범위가 어떻게 정해지는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outer shareable domain과 full system domain이 영역이 어떤 부분부터 다른 건지 알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책이 나와있는 shareable domain에 적용하는 범위 중에서(591p), 배리어 실행 전/후 차이에서 스토어 명령어는 실행 후에 로드가 없고 스토어만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핸즈온 리액트 네이티브
defaultProps 관련 문의 드립니당
아래처럼 defaultProps 가 곧 사라진다는 경고가 뜨는데요(NOBRIDGE) ERROR Warning: HeaderRight: Support for defaultProps will be removed from function components in a future major release. Use JavaScript default parameters instead.in HeaderRight (created by SceneView)in RNSScreenStackHeaderSubview (created by ScreenStackHeaderRightView)in ScreenStackHeaderRightView (created by SceneView)in RNSScreenStackHeaderConfig (created by ScreenStackHeaderConfig)in ScreenStackHeaderConfigin RNSScreen (created by Animated(Anonymous))in Animated(Anonymous)in Suspender (created by Freeze)in Suspense (created by Freeze)in Freeze (created by DelayedFreeze)in DelayedFreezein InnerScreen (created by Screen)in Screenin ScreenStackItem (created by SceneView)in SceneView (created by NativeStackView)in RNSScreenStack (created by ScreenStack)in Unknown (created by ScreenStack)in ScreenStack (created by NativeStackView)in RNCSafeAreaProvider (created by SafeAreaProvider)in SafeAreaProvider (created by SafeAreaProviderCompat)in SafeAreaProviderCompat (created by NativeStackView)in NativeStackView (created by NativeStackNavigator)in PreventRemoveProvider (created by NavigationContent)in NavigationContentin Unknown (created by NativeStackNavigator)in NativeStackNavigator (created by MainStack)in MainStack (created by Navigation)in ThemeProviderin EnsureSingleNavigatorin BaseNavigationContainerin NavigationContainerInner (created by Navigation)in Navigation (created by App)in UserProvider (created by App)in App (created by withDevTools(App))in withDevTools(App)in RCTView (created by View)in View (created by AppContainer)in RCTView (created by View)in View (created by AppContainer)in AppContainerin main(RootComponent)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웹 개발자와 정보보안 입문자가 꼭 알아야 할 웹 해킹 & 시큐어 코딩
monitor 이 안 켜져요
계속 이 메세지만 뜨고 모니터가 열리지 않습니다
-
미해결하루만에 배우는 express with AWS
postgres select 함수만들기의 51초에 await getNotes()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양식으로 남겨주세요.질문을 한 배경 :질문내용 : postgres select 함수만들기의 51초에 await getNotes() 실행하면Restarting 'database.js'/project/workspace/database.js:39await getNotes();^^^^^SyntaxError: await is only valid in async functions and the top level bodies of modules이런에러가 뜨고 다른곳에서도 펑션밖에서 바로 await를 사용하면 해당에러가 뜨는데 왜 선생님은 에러가 안뜨고 제쪽에서만 뜨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memberId 맴버변수를 String 으로 잡은 이유
도메인의 Member 클래스 의 memberId 맴벼변수 타입이 String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jbdc에 대표 id 등록은 숫자형 타입이 아닌 문자형으로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정적 중첩 클래스 문의
정적 중첩 클래스같은경우일반 클래스와 마찬가지로클래스 정보는 메서드영역에 저장되고인스턴스 생성시 인스턴스는 힙영역에 저장되잖아요?그럼 정적 중첩 클래스를 많이 써도 어차피 인스턴스는 gc의 대상이니 대량의 데이터를 사용하지않는 한 메모리 부하를 주지는 않죠?궁금하네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FeignErrorDecoder 질문
FeignErrorDecoder 에 대해서order_is_empty를 수정한뒤에127.0.0.1:8000/actuator/busrefresh 를 호출하면Keys refreshed [spring.cloud.bootstrap.enabled, order_service.exception.order_is_empty]로그는 정상적으로 뜨며디버깅 모드로 코드를 추가해서 실행한결과List<ResponseOrder> orders= orderServiceClient.getOrders(userId);코드전에env.getProperty("order_service.exception.order_is_empty") 를 확인해본 결과는정상적으로 리프레시되지만 이후에 오류를 터트리고 FeignErrorDecoder 처리 로직에서switch(response.status()){ case 400: break; case 404: if(methodKey.contains("getOrders")){ return new ResponseStatusException(HttpStatus.valueOf(response.status()),env.getProperty("order_service.exception.order_is_empty")); } break; default: return new Exception(response.reason()); }getProperty("order_service.exception.order_is_empty")이부분이 새로운 환경 변수가ErrorDecoder 에서는 반영 안되는것같아서 해결이 안되서 질문남깁니다 ! UserServiceImpl 에서는 정상적으로 바뀐값이 나오는거보면 ErrorDecoder 문제 같은데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RefreshScope 이것도 해결책은 아닌것같아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
미해결React 완벽 마스터: 기초 개념부터 린캔버스 프로젝트까지
수강후기 작성법 문의
수강후기 남기는 창을 벗어나니 다시 수강후기를 남길수 있는 방법이 없는데요 수강후기 남길수 있는 링크좀 전달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4-8 지표 정의 연습문제
안녕하세요!카일님 과제 감사드립니다!! 풀면서 많은 생각과 공부를 하게 되었어요. 왠지 한 번 제대로 풀어두면 현업에서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에 열심히 풀긴 하였지만, 고민의 시간만 길어지고 있는 것 같아서 부족하지만 답변 제출합니다..!** 원본은 인프런 게시글 규정인 10,000자를 초과하여 요약 버전만 업로드 합니다. 지표 선정 이유 등 전문은 노션에 기입하였습니다. 내용이 길어진 점 죄송합니다..[인프런][카일스쿨] 4-8 지표 정의 연습 문제#1. 기능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배너 영역, 메뉴 카테고리, 이런 음식 어때요, 동네 맛집 기능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 하려면 어떤 지표를 확인 해야 할까요? 지표를 정의하고, 지표가 어떤 식으로 움직이면 잘 동작한다고 볼 수 있을까요? [1] 배너 영역주요 지표쿠폰 주문 전환율 : 쿠폰 다운로드한 사용자 중 배너의 할인 이벤트가 적용하여 주문한 사용자 수=(쿠푼 사용 주문완료수/쿠폰 다운로드수)그 외 주요 지표클릭율 : 홈 유입된 전체 사용자 중, 배너 선택하여 광고 이벤트 페이지까지 접속한 비율=(배너 클릭수/홈유입 사용자수)배너 전환율 : 광고 이벤트 접속한 사용자 중, 광고 이벤트 페이지에 안내된 ‘쿠폰 다운로드’ 클릭 등의 액션을 한 비율=(쿠폰 다운로드수/배너 클릭수)재방문율 : 이전에 배너 영역의 이벤트를 통해 주문을 완료한 사용자가 3개월 이내에 다시 이벤트 페이지에 접속하여 쿠폰 다운로드한 수=(배너 쿠폰 다운로드 수/3개월 이내 배너 광고로 주문 전환된 사용자수)3개월 : 배달 평균 구매주기가 3개월이라는 기사지표 성공 기준 : 주문 전환율 5% 이상, 클릭율이 3%, 배너 전환율 50% 이상, 재방문율 5% 이상[2] 메뉴 카테고리주요 지표메뉴 전환율 : 가게 리스트로 유입된 사용자 중, 가게 선택한 비율=(가게 클릭수/메카콘 클릭수)그 외 주요 지표클릭율 : 홈 유입된 전체 사용자 중, 메카콘 선택하여 가게 리스트까지 접속한 비율=(메카콘 클릭수/홈유입 사용자수)주문 전환율 : 가게 선택한 전체 사용자 중, 주문완료한 비율=(주문완료수/가게 클릭수)지표 성공 기준 : 메뉴전환율 50%이상, 각 메카콘 클릭율이 2.5%이상, 주문 전환율 5%이상[3] 이런 음식 어때요주요 지표주문전환율 : 이런음식어때요 영역에서 노출된 음식을 주문한 비율=(주문완료수/이런음식어때요 영역 선택 클릭수)그 외 주요 지표클릭율 : 홈 유입된 전체 사용자 중, 이런음식어때요 영역 선택하여 해당 상품 페이지(또는 리스트)에 접속한 비율=(이런음식어때요 영역 선택 클릭수/홈유입 사용자수)주문완료시간 : 홈에 유입된 시점부터 주문완료된 시점 사이를 측정=(사용자 주문완료 시점의 타임스탬프-사용자 홈 유입 시점의 타임스탬프)지표 성공 기준 : 주문전환율 5% 이상, 클릭율 2% 이상, 타 유입경로(검색, 배너, 메뉴카테고리)보다 30%이상 빠른 주문완료 시간[4] 동네 맛집주요지표평균대비 배달완료시간 : {(배달완료 타임스탬프 - 동네맛집을 통한 주문완료 타임스탬프)/평균 배달완료시간}그 외 주요 지표클릭율 : =(동네 맛집 클릭수/홈유입 사용자수)구매전환율 : =(주문완료수/동네 맛집 클릭수)지표 성공 기준 : 평균대비 배달완료시간 50% 이상 감소, 클릭율 2% 이상, 구매전환율 3% 이상 #2. 검색 만족도 지표고객이 검색 기능에 만족했는지 확인하려면 어떤 지표를 봐야 할까요? (요약 버전, 전문은 노션 참고 부탁드립니다.)주요 지표메뉴리스트 전환율 (메뉴리스트 페이지 → 상세메뉴 페이지 전환율)수식 =(상세메뉴 페이지 클릭수 / 메뉴리스트 페이지 유입 사용자수)만족 기준 : 전환율이 높으면 검색 만족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왜냐하면, 검색 기능의 목표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값을 제시하여 이탈하지 않고, 상세페이지를 탐색하도록 유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메뉴리스트 체류시간수식 : 체류시간=(상세 메뉴 페이지 타임 스탬프 - 메뉴 리스트 타임 스탬프)만족 기준 : 체류 시간(탐색시간)이 짧을 수록 만족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왜냐하면, 구체적으로 기대하는 결과값이 빠르게 도출될 수록 사용자는 메뉴리스트 페이지에서 체류하는 시간은 적고, 상세 메뉴 페이지로 전환할 것이기 때문이다. 상세메뉴 페이지로 전환된 사용자의 메뉴리스트에서의 필터 사용 횟수측정 기준 : 메뉴리스트 → 상세페이지 전환되기 직전 측정된 필터 사용 횟수만족 기준 : 필터 사용 횟수가 2회 이하일 경우, 만족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왜냐하면, 필터 사용 횟수가 증가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제공된 검색 결과가 사용자의 니즈(검색 전 기대한 결과값)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필터를 조정하는 등의 행위를 하며 체류시간이 증가할 것이다.메뉴리스트 페이지 → 검색 바 클릭 비율 & 시간측정 기준 : 검색 이후 노출된 메뉴리스트 페이지에서 검색 바를 선택하여, 재검색한 비율을 측정.수식재검색 비율 = (검색 바 재 클릭수 / 메뉴리스트 페이지 유입자수)재검색 간격 = (검색 바 클릭 타임 스탬프 - 메뉴리스트 페이지 타임스탬프)만족 기준 : 이 비율이 높고, 메뉴리스트 → 검색 바 선택 시간 간격이 짧을 경우 검색 품질의 문제가 있다고 추정할 수 있음. #3. 검색 필터 기능은 잘 사용되고 있을까요 ? 필터 기능의 활성화 지표를 정의하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주요지표필터 사용자군과 미사용자군의 주문전환율 비교 시, 사용자군이 10% 이상 높을 경우필터 2회 사용자군의 주문전환율 =(2회 이상 필터 사용자 수 / 전체 주문완료 사용자 수)필터 미사용의 주문전환율 =(필터 기능 미 사용자 수 / 전체 주문완료 사용자 수)전환율을 비교필터 사용자군과 미사용자군의 주문 완료 시간 비교 시, 사용자군이 20% 이상 빠를 경우필터 2회 사용자군의 주문 완료 시간 = (주문완료 타임스탬프 - 필터 선택 시작 타임스탬프)필터 미사용자군의 주문 완료 시간 = (주문완료 타임스탬프 - 메뉴리스트(#문제2 이미지) 진입 타임스탬프)시간을 비교필터 사용 빈도 = (1회 이상 필터 사용자 수 / 메뉴 리스트 유입 사용자 수)사용자들의 필터 사용 상황을 확인할 수 있음.성과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는 모르겠습니다.. 사용률이 높다는 것은 기본 검색 값이 만족스럽지 않다는 것이고. 사용률이 낮다는 것은 필터가 쓸모 없다는 것을 의미로 해석해야 하나요..? #4. 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무엇일까요 ? 왜 그 지표가 중요할까요? 그것을 어떻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을까요 ? [1] 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사용자당 결제 횟수 (월간)[2] 해당 지표가 중요한 이유는,사업의 가장 중요한 사항인 매출 향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이며,장기적으로 사업을 개선 및 지속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주 찾는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배달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인 음식 주문 '**거래액'**을 중심으로 세부 항목을 분석하면 아래와 같다.서비스의 매출(수익)은 거래된 금액(거래액)에 일정 수수료 비율을 곱하여 산출된다. 사용자가 서비스에서 결제를 많이 할수록 서비스의 수익성이 좋아지고 성장한다.[3] 해당 지표를 늘리기 위한 방안은,사용자가 주문을 더 자주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방문자수와 거래 횟수를 늘리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방문자수는 기존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며, 서비스 방문 및 방문한 사용자에게 주문결제를 유도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푸쉬알림, 문자 알림 등을 이용한다.주요 컨텐츠는 3가지다.새로운 혜택 알리기 (서비스 또는 개별 음식점에서 진행하는 금전적 혜택)사용자가 기존에 관심을 표현한 음식점 의 이벤트 알리기(관심 : 찜, 주문, 후기 작성)시즌성 이벤트(아침점심저녁, 계절/날씨의 변화, 기념일)에 적합한 메뉴 추천거래 횟수는 방문 및 주문결제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에게 앱 재방문 및 주문 후 추가 주문를 유도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서비스(앱) 내에서의 추천 항목을 이용한다.주요 컨텐츠는 3가지다.기존 데이터(데이터 : 구매내역, 찜, 주문, 후기 작성) 기반 취향을 분석하여 관련 있는 카테고리의 메뉴 추천크로스셀링 메뉴 추천(메인 메뉴 주문 후 디저트 추천 등;실제 이와 관련한 유의미한 데이터가 있는지 분석한 뒤 적용 필요)3)시즌성 이벤트(아침점심저녁, 계절/날씨의 변화, 기념일)에 적합한 메뉴 추천 #5.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어떤 지표를 파악해야 할까요 ? 왜 해당 지표일까요 ?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한 주요지표 와 이유CTR 클릭전환율(=클릭수/추천영역 노출수), CVR 구매전환율(=구매자수/추천영역을 통한 제품 클릭수)추천 영역 CTR이 높다, 추천영역을 통한 CVR이 높다평가 : 추천 알고리즘이 잘 작동했다. 관심사를 잘 찾았다. 추천 영역 CTR이 높다, 추천영역을 통한 CVR이 낮다평가 : 사용자들의 관심과 일치하는 제품이나 구매 과정에서 불편함상세페이지의 문제 확인 (썸네일과 제품의 일치성, 재고 등)이탈된 영역, 상세페이지 체류 시간 확인 추천 영역 CTR이 낮다, 추천영역을 통한 CVR이 높다평가 : 특정 유저에게만 적합한 컨텐츠(매니아틱), 타겟 재설정 필요 추천 영역 CTR이 낮다, 추천영역을 통한 CVR이 낮다평가 : 추천 영역의 위치가 문제인지, 컨텐츠 구성이 문제인지 파악 필요 그 외 주요 지표추천 제품과 그 외 경로로 구매된 제품의 반품율 비교커머스는 구매 이후 반품 환불이 가능하기 때문 (배송완료+7일 이후인 거래완료 이후에는 반품 불가)동일 카테고리, 동일 기간, 거래완료 이후 최종적으로 값을 산출하여 비교(=반품 거래건수/추천영역을 통한 주문건의 거래 완료수) vs. (=반품 거래건수/그외 경로를 통한 주문건의 거래 완료수)추천 제품 구매자의 추천 제품 재구매 비율 비교해당 추천 제품에 만족했을 경우, 추천 배너에 대한 신뢰를 갖게 되었을 것이고, 이를 다시 이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기 때문.동일 카테고리, 동일 기간, 재구매 주기 3개월(카테고리마다 달라질 수 있음) 비교 #6. 여러분들이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에서 제일 중요한 지표는 무엇일까요?왜 해당 지표가 제일 중요할까요? 그 외에 확인해야 하는 지표를 2개 더 뽑는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대상 서비스 : 당근[1] 제일 중요한 지표 : 행동 유저비율정의 : 탭에 접속한 뒤 이탈하지 않고, 각 탭에서 정의하는 광고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유의미한 행동을 한 사용자의 비율. (앱에 접속한 사용자(DAU)는 탭에 접속한 사용자와 알림을 받고 게시글 또는 채팅에 직접 접속한 사용자로 구분.)수식 : 탭별 광고 노출 유의미 행동한 사용자수 / 탭별 접속자수탭별 광고 노출 유의미 행동1탭 (홈, 중고거래 게시글) : 게시글 목록 스크롤 2회 이상홈탭 첫 화면에서 바로 광고 나오지 않고, 스크롤을 내리면 게시글 중간 광고 나옴보통 게시글 3개 → 광고 1개 → 게시글 3개의 규칙성을 가지고 있음(완전한 규칙은 아님)2탭 (동네생활, 이야기 게시글) : 게시글 조회 1회 and 스크롤 하단 내리기게시글 목록에는 광고 나오지 않고, 게시글 접속 후 하단 스크롤 내려야만 광고 나옴3탭 (동네지도, 업체 정보 검색): 검색창에 검색 or 스크롤 하단[2] 제일 중요한 지표인 이유해당 지표는 당근의 서비스 형태인 커뮤니티와 주요 수익구조인 광고 비즈니스모델을 모두 충족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행동유저비율은 사용자가 각 탭에 방문하여 게시글들을 탐색하고, 그 과정 중에서 광고를 발견을 많이 할 경우 올라갑니다. 해당 지표가 상승한다는 것은 커뮤니티 내에서 확인할 게시글의 개수와 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이를 통해 체류시간과 커뮤니티 참여율이 상승하고, 이것이 누적될 수록 당근에서 활용할 사용자의 로그 데이터 등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 당근은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는 줄이며 클릭할 확률이 높은 광고 컨텐츠를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광고 수익을 증대시키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3] 그 외 확인해야 할 추가 지표 2가지행동유저비율과 같이 사용자가 당근에서 탐색을 많이 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게시글의 수가 중요하다. 또한 양질의 게시글임을 측정하는 보조지표로서 체류시간 지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탭별 인당 게시글 작성 수탭별 인당 체류시간추가로, 문제를 풀며 헷갈렸던 부분을 질문 드립니다..[계층구조도 이미지] CTR은 광고클릭수/노출수 로 계산하기 때문에 더 쪼개지 않았습니다..광고 소재, 광고 위치, 추천 적합도.. 와 같은 항목을 PM으로선 봐야하는 건가요?그렇다면 이러한 항목을 계층구조도에 ‘지표’로서 삽입할 수 있는 것인지는 또 잘 모르겠습니다..광고 클릭수 = 노출수 x 클릭율[질문 1번] 광고 노출된 사용자수는 중복을 포함하는데, DAU는 중복을 포함하지 않고 당일 방문한 사용자수 전체를 의미하므로, DAU는 적합하지 않은 지표일까요?[질문 3번] 사실 ‘게시글 작성 수’ 라고만 지표를 선정하면, 도배성 글이 작성되어도 지표를 달성했다고 생각하는 여지를 줄 수도 있기에 ‘양질의 게시글 작성수’라고 선정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양질’을 지표화 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 같아 일단 ‘게시글 작성수’로만 작성했습니다. #7. 퍼널 개선 프로젝트현재 가입 퍼널 프로세스의 전환율은 20%, 가입 퍼널에서 온보딩을 더 진행하는 기능 추가, 온보딩의 효과 파악을 위해 확인해야 할 지표는? 온보딩 개선 전(A군)과 개선 후(B군)의 사용자군을 나눈 뒤, 첫 1개월 동안의 서비스 재방문 주기를 비교한다.서비스 재방문 주기는, 재방문 성공 기준 대비 몇 %를 달성했는가를 비교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커머스 주 1회 방문 (월 4회 이상 방문) 을 성공 및 100%라고 기준을 설정한다면, 월 1회 방문은 25%, 2회 50%, 3회 75%, 4회 100%로 기준을 설정하고, A군과 B군의 비율을 비교한다재방문 주기는 서비스의 업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교육 : 주 4회 이상, 커머스 : 주 1회 이상, 모빌리티 : 주 5회, 배달 : 월 2회 이상 등등해당 재방문 주기 기준은 타사 통계 데이터 등에 근거를 둔다.첫 1개월을 기준으로 설정한 이유는, 온보딩은 첫 시작과 관련성이 있으며 이후 지속적인 서비스 사용은 앱 내 여러 장치를 통해 지표를 개선해야 하는 별개의 과제라고 생각했기 때문.온보딩 개선 전과 개선 후의 사용자군을 나눈 뒤, 서비스의 주요 지표와 관련도가 높은 행동을 하는 데까지 소요된 시간을 비교한다. 온보딩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가치를 이해했다면, 유의미한 행동을 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소요된 시간은 서비스의 업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교육 : 기본 서비스 이용, 구독 서비스 가입 | 커머스 : 제품 탐색 체류 시간, 제품 구매 | 모빌리티 : 위치 정보 검색, 관련 서비스 가입 | 배달 : 음식 탐색 체류 시간, 음식 주문문제 풀이 이후 공통 질문지표의 성공 기준을 수립하는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업계의 평균 수치 (구매전환율 3% 등..)과 비교해서 성공 기준을 보통 잡는 것 같은데, 이것이 맞는 기준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처음에 지표를 설정한 다음 테스트를 하면서 목표를 수정해 나간다고 하는데 처음 지표를 세우는 게 가장 어려운 것 같습니다. 현실적으로 KPI를 세워야 할 때 어떤 값을 기준으로 하는 걸까요?
-
해결됨3D 프린터 모델링 입문
create sketch
안녕하세요. 아무 지식 없는 상태에서 강의를 듣기 시작했는데요, 크리에이트 스케치를 생성하여 작업평면을 선택하면, 선택된 면이 노란색 사각형으로 보이는데 제 작업 화면에서는 아무것도 보이지가 않습니다.뭘 잘못한걸까요?
-
해결됨쉬운 모바일 테스트 자동화 시작하기 : Appium Studio
Appium Studio Comman 작성 후 다시 실행 오류
Android 모바일 웹 테스트 강의를 듣고 테스트 케이스로 코드를 작성 후 다시 실행을 하면위 사진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요?
-
해결됨쉬운 모바일 테스트 자동화 시작하기 : Appium Studio
Appium Studio Emulator 연결 오류
환경 변수 설정, 에뮬레이터 실행 모두 강의와 동일하게 진행했음에도 Appium Studio에서 에뮬레이터 디바이스 추가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