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5:34 24bit 범위가 192.168.0 부분까지인지요?
1111 1111 .1111 1111 .1111 1111 . 0000 00002^8(8bit).2^8(8bit).2^8(8bit).2^8(8bit) 해서 총 32bit이며,이 중 /24 -> 24bit가 192. 168. 0 까지가 아닌가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Network ID가 이 부분까지라고 이 전 학습에서도 말씀해주셔서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DHCP broadcast domain
안녕하세요, 선생님. DHCP 서버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broadcast 도메인 안에 묶여 있어야 한다. 이 말은 broadcast는 GateWay를 넘어갈 수 없으니까,D HCP 서버는 GateWay 내에 있다는 말일까요 ?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패킷트레이서 다운로드
- 학습 범위를 넘어서는 개인적인 문의나 기타 회사 정책 및 운영에 대한 문의는 답변하지 않습니다.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지식공유 강사님 아직도 사이트에서 다운로드가 안되는대 어떻게 하나요..ㅜ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buffer 메모리
안녕하세요, 선생님.강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buffer가 메모리라고 하셨는데, 그럼 buffer는 가상 메모리인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IP 단위 MTU
안녕하세요, 선생님,IP MTU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MTU가 1500bytes정도 된다고 하셨는데.. IPv4 Data부분이 65515 bytes까지 될 수 있다고 하는데, 그렇게되면 1500 bytes가 넘어가는데... 이 부분이 잘 이해가 안가서 질문올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9:20 포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9:20분에 말씀하시길 유저모드에서의 포트는 프로세스 식별자라고 하셨습니다 그말씀은 PID와 Port가 같다는 말씀일까요??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다운타임
- 학습 범위를 넘어서는 개인적인 문의나 기타 회사 정책 및 운영에 대한 문의는 답변하지 않습니다.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패킷트레이서 다운로드 사이트가오늘부터 내일까지 다운타임 기간이라 다운로드가 안됩니다ㅋㅋㅋㅋㅋ 가는날이 장날이라고 ㅜㅜㅜㅜ 흑흑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인캡슐레이션과 멀티플렉싱
TCP 관련해서 공부하다가 문득 인캡슐레이션과 디캡슐레이션, 멀티플렉싱과 디멀티플렉싱의 개념이 모호해서 질문 남깁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잘이해가 안갑니다ㅜㅜ
자동차는 패킷(데이터)길은 네트워크(인터넷)갈림길(스위치)은 라우터(L3?)이정표(스위칭)는 라우팅테이블?다른댓글을 보면 ip주소기반으로 된것이L3라 하셨는데 라우팅테이블이 그럼 ip주소라는건가요?? 아니면 라우팅 테이블이란것이 있는데 그것이 ip주소를 목적지라고 알려주는 얜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프로토콜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프로토콜이란 것이 참 추상적이어서 감이 잘 잡히지 않는데요, HTTP, FTP, SMTP, POP3--------------------------TCP, UDP TCP와 UDP의 차이는 어떻게 구현하는 것이며,HTTP, FTP, SMTP, POP3 프로토콜과 TCP, UDP의 관계에서 비롯된 차이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 HTTP 프로토콜을 TCP로 구성한다고 했을 때, 또는 HTTP 프로토콜을 UDP로 구성한다고 했을 때 TCP 프로그래밍은 3 Hand - Shake 구조만 갖추면 TCP 프로토콜이라 할 수 있을지요? 또는 UDP 구조만 갖추면 UDP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을지요? HTTP, FTP, SMTP, POP3 프로토콜의 차이는 Client / Server 소켓 프로그래밍으로 프로그래밍을 달리 구성하는것에서 차이가 오는지요? 또 그것을 구현 중에 TCP 구조 UDP 구조를 택하는 것에서 차이가 발생하는지요? TCP/IP프로토콜이라는 말은 IP프로토콜 기반 TCP 프로토콜을 말하는 것이라 알고 있는데, HTTP/UDP 또는 HTTP/TCP 이렇게도 표기하는지요? 고맙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Socket에 대한 질문입니다.
서버측에서 연결 대기하는 소켓과 서버측에서 프로세스가 생성하고 오픈하는 소켓은 서로 다른건가요? 다르다면 그 차이는 무엇일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순서 번호(sequence number)에 관한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를 듣다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두 Host가 TCP IP 통신을 위해 3 way handshake 후 통신을 할때 sequence number는 이전 그대로인가요, 아님 새로운 임의의 숫자인가요?예를 들어 초기에 Host A(1234) / Host B(369)이면 3 way handshake 후 Host A(1235) / Host B(370)가 된다. Host A에서 Host B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sequence 번호는 1235인가요? 아님 새로 배정되나요?매번 질문에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ICMP와 방화벽
ICMP에서 운영체제의 방화벽이 Request를 버려버린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상대방측에서는 어떻게 통신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는지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당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host 에 대한 질문입니다!
Host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를 말하고, 이 host가 네트워크를 위한 기능을 하면 switch 라고 하고,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주체면 end-point 라고 하셨는데요 쉽게 말해 PC를 통칭 해 host라고 부르고,해당 PC가 네트워크 장비인 경우 switch라 하고, 일반 user가 사용하는 PC의 경우 end-point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
해결됨네트워크, 그림으로 이해하자(2022ver.)
전송 계층에서 연결 확립 및 종료 단계 관련 질문
전송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결 확립 과정과 연결 종료 과정을 거친다고 이해했습니다.연결 확립 과정은 3 way handshake를 통해서 진행되고, 연결 종료 과정은 4 way handshake 과정을 통해서 진행되고요. 그러면 이 과정도 캡슐화 와 역캡슐화가 이뤄지는 건가요? 그렇다면 연결 수립 과정과 종료 과정에서 데이터 신호가 서버측까지 캡슐화와 역캡슐화를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이라 이해하면 될까요? 또한, OSI 7 layer 기준으로 session layer와 representation layer는 그러면 무슨 역할을 하는 건가요? 강사님께 여쭤보는 이유는 블로그마다 내용이 사뭇 다르고 정확도가 떨어져서 직접 여쭤봅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process의 버퍼 크기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tcpip 통신에서 process의 버퍼의 크기는 개발자가 결정한다고 하셨는데 고정인가요? 가변인가요?좋은 강의 항상 감사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해결됨네트워크, 그림으로 이해하자(2022ver.)
DNS 챕터 관련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DNS를 학습하면서 든 의문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닏다.1. DNS의 계층 구조 명칭 질문보여주신 그림을 보자면 다음과 같이 이해했는데요.root -> TLD -> Sub domain -> host name이에 대해서 구글링을 해보면 어떤 사람은 naver를 Second Level domain이고, cafe 나 search를 sub domain이라고도 하는데 이를 어떤 게 정확하게 맞는 건가요?host name은 제일 하단에 있는 부분이라고 이해하면 되는 걸까요?제 생각에는 이런 문제가 발생된 이유가 DNS가 트리형인 계층적 구조로 되어 있어서 계속 밑으로 내려갈 수 있기 때문에 어디부터 어디까지를 Second level domain, sub domain, host name이라고 하기 어려워서 그런 것 같습니다. 2. DNS 질의 원리 강의해주신 질의 방식에는 재귀와 반복이 있다고 하셨는데, 재귀의 경우, DNS client가 root에 질의한다음 root에서 한 층씩 내려가는 걸로 이해했는데요. 그러면 예를 들어서 www.naver.com 이라고 하면 root 계층에는 없으니 TLD 으로 내려가고 여기서 일치하는 com이 있으니 com 에서 더 낮은 계층으로 내려가서 탐색하고 거기서 naver가 일치하니 naver에서 하위 계층으로 이렇게 내려가는 식으로 탐색한다는 건가요?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더 하위 계층으로 내려간다는 게 이해가 안가서 질문 드립니다. 더 아래로 내려갈려면 무조건 상위 도메인이 일치해야 내려가는 게 아닌가요? 그리고 반복적 질의에 대해 제가 잘 이해했는지 확인하고자 질문드립니다.예를 들겠습니다.1. 브라우저의 url 창에 www.lab.glasscom.com 을 입력하여 로컬 DNS 서버에 먼저 질의2. 로컬 DNS 서버에서 모를 경우, Root DNS 서버에 질의한다. (`www.lab.glasscom.com`의 IP 주소는?) 그러면 Root DNS 서버에서 `com` 의 IP 주소를 로컬 DNS 서버에 응답한다.3. 로컬 DNS 서버는 `com` TLD DNS 서버에 동일하게 질의한다. 그러면 `com` TLD DNS 서버에서 `glasscom`의 IP 주소를 로컬 DNS 서버에 응답한다.4. 로컬 DNS 서버는 `glasscom` DNS 서버에 동일하게 질의한다. 그러면 `glasscom` DNS 서버에서 `lab`의 IP 주소를 로컬 DNS 서버에 응답한다.5. 로컬 DNS 서버는 `lab` DNS 서버에 동일하게 질의한다. 그러면 `lab` DNS 서버에서는 `www.lab.glasscom.com`의 IP 주소를 로컬 DNS 서버에 응답한다.6. 로컬 DNS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10번에서 얻은 IP 주소를 전달위와 같이 이해하면 될까요? 마지막으로 재귀와 반복 질의 각각 언제 사용되는 건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L2 스위치(L2 Access와 L2 Distribution)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L2 스위치는 L2 Access와 L2 Distribution이 있는데 이들은 같은 네트워크인가요? 즉, IP 주소에서 network id는 같은건가요?네트워크가 처음이고 많은 개념이 들어오니 막 헷갈리네요ㅠ
-
해결됨네트워크, 그림으로 이해하자(2022ver.)
TCP 흐름 제어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에 대해 몇 가지 질문 드리고자 합니다.A의 윈도우 크기 250은 B의 윈도우 크기가 250이여서 맞춰져서 그런 건가요? 아니면 그냥 가정으로 250이라고 한 건가요?확인 응답이 ACK 101인 이유는 100 byte 데이터 크기를 보냈기 때문에 이에 +1 값을 보낸 것이라 이해하면 될까요?A에서 보낸 데이터 50 바이트를 B가 버퍼에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에서 50바이트를 처리했다고 했는데, 이는 A로부터 마지막으로 받은 데이터를 사용된 게 아닌 그보다 먼저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했다고 이해하면 될까요?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가 사용했다고 말씀하신 후 윈도우 크기가 이동되었는데, 좌측 경계선은 저장되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되고, 데이터가 사용되어 오른쪽 경계선이 오른쪽으로 갔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그리고, TCP 혼잡 제어 파트에서 오타가 있습니다. 0:36 시간대에 '이를 통하여 혼자 회피를 합니다' 라고 나와있는데 제가 이해한 바로는 '혼잡 회피'인 것 같은데 맞나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이더넷(Ethernet) 가상화
안녕하세요, 선생님. L2관련 질문입니다. osi 7계층에서 data link(L2)를 구현한 Ethernet 프로토콜은 H/W를 통해 물리적으로 설명이 되는 네트워크라고 이해했습니다. 또, 선생님께서 L2는 보통 Driver와 NIC 펌웨어에 해당된다고 하셨는데요,(섹션0. 유저모드와 커널모드) 그럼 이더넷은 가상화를 통해 Virtual machine 형태로 구현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