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vitest 설치했는데
이렇게 발견된 테스트가 없다면서 8:39 화면처럼 테스트확장에 리스트가 출력되지않습니다.. 브랜치받고 npm ci 까지 한 상태입니다.커서 ide 참고로 0.2.42 버전 없어서 제일낮은 0.3 버전사용해도 못찾습니다 .. Vitest v0.33.0 is not supported. Vitest v1.4.0 or newer is required. 이렇게 출려되는데 버전을 올릴까요 ?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36:40 초 부근에 tearDown 없어도 통과하는 이유가 궁금해요
@DisplayName("신규 상품을 등록한다. 상품번호는 가장 최근 상품의 상품번호에서 1 증가한 값이다.") @Test void createProduct() { // given Product product = createProduct("001", HANDMADE, SELLING, "아메리카노", 4000); productRepository.saveAll(List.of(product)); ProductCreateRequest request = ProductCreateRequest.builder() .type(HANDMADE) .sellingStatus(SELLING) .name("카푸치노") .price(5000) .build(); // when ProductResponse productResponse = productService.createProduct(request); // then assertThat(productResponse) .extracting("productNumber", "type", "sellingStatus", "name", "price") .contains("002", HANDMADE, SELLING, "카푸치노", 5000); } @DisplayName("상품이 하나도 없는 경우 상품을 등록하면 상품번호는 001 이다.") @Test void createProductWhenProductIsEmpty() { // given ProductCreateRequest request = ProductCreateRequest.builder() .type(HANDMADE) .sellingStatus(SELLING) .name("카푸치노") .price(5000) .build(); // when ProductResponse productResponse = productService.createProduct(request); // then assertThat(productResponse) .extracting("productNumber", "type", "sellingStatus", "name", "price") .contains("001", HANDMADE, SELLING, "카푸치노", 5000); } private Product createProduct(String productNumber, ProductType type, ProductSellingStatus sellingStatus, String name, int price) { return Product .builder() .productNumber(productNumber) .type(type) .sellingStatus(sellingStatus) .name(name) .price(price) .build(); }강사님 화면에서는 tearDown 메소드를 추가해야지 두 메소드 모두 통과하는 것으로 나오는데, 저는 tearDown 메소드 작성 전에도 둘다 통과로 나오던데.. 뭐가 잘못된걸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Controller / Service 분리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들었습니다.! 강의 이후 복습 하며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며 성장 하고 있습니다.프로젝트를 하던중 궁금증이 생겨서 블로그 글을 찾아 보았지만 관련된 글을 찾지 못하여 질문을 드립니다.회원 관련된 API = UserController -> UserService의 흐름으로 사용 하였습니다.하지만 User API가 너무 많아져 특정 API를 수정할 때 찾기 어려워졌습니다.그레서 이걸 분리 할수 없을까에 대한 고민이 생겼고 행위에 따라 분리 했습니다. [ Controller 분리 ]검증 관련한 API를 VerficationController으로 모았습니다.VerficationController에서 필요한 자원에 따라 UserService, EventService를 사용 하였습니다. [ 질문 ]1. Controller를 행위에 따라 부분적으로 분리 하여도 괜찮나요?UserController / EventController / VerificationController분리 했을때 통일성이 없다는 느낌이 들어서 고민 입니다. Controller / Service 책임을 어떻게 설정 하시나요? 회원 관련된 요청이면 UserController 회원 로직이면 UserService를 사용 했습니다.하지만 API가 너무 많아 분리를 할때 어떤 기준으로 분리를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CQRS에 대한 jpa interface에 대한 궁금증..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우빈님!테스트 강의 복습 중인데, 다시 들으니깐 너무 재밌네요... 다름 아니라, CQRS 에 따라서 강의를 진행하면서도 Controller와 Service를 CQRS에 따라 분리하고 있습니다.(패키지가 많아지긴하네요..ㅎㅎ..)그런데 궁금한 부분은 Repsitory쪽인데,JpaRepository를 상속받는 인터페이스들(강의로 예를 들면 ProductRepository, StockRepository, OrderRepository가 있겠네요)같은 경우인데, sprind data jpa 인터페이스에 CRUD 중에 CD 에 대한 책임을 줄 수는 있겠다 생각했고,U 는 변경감지에 책임을 맡기면 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쿼리메서드 부분이 모호한데요.작성했던 쿼리 메서드 같은 경우는 Query에 대한 부분인데 책임을 분리하려고보니, command에 query가 묶여있는 형태더라고요.. 이 부분은 어떻게 나누는지가 궁금합니다..제 짧은 지식 선에서는 QueryDSL 로 나눠야 하나 싶지만, 쿼리 메서드라는 편리한 것이 있는데 굳이 돌아가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드네요제가 굳이 나누려는건지 싶기도 하구요...조언을 구해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부트 상품-주문 API 개발로 알아보는 TDD
DatabaseCleanup 코드입니당 필요한 분들 쓰세요
package com.clarity.productorderservice;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et; 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vax.persistence.PersistenceContext; import javax.persistence.Table; import javax.persistence.metamodel.EntityTyp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Initializing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com.google.common.base.CaseFormat; @Component public class DatabaseCleanup implements InitializingBean { @PersistenceContext private EntityManager entityManager; private List<String> tableNames; @Override public void afterPropertiesSet() { final Set<EntityType<?>> entities = entityManager.getMetamodel().getEntities(); tableNames = entities.stream() .filter(e->isEntity(e)&&hasTableAnnotation(e)) .map(e->e.getJavaType().getAnnotation(Table.class).name()) .collect(Collectors.toList()); final List<String> entityNames = entities.stream() .filter(e -> isEntity(e) && !hasTableAnnotation(e)) .map(e -> CaseFormat.UPPER_CAMEL.to(CaseFormat.LOWER_UNDERSCORE, e.getName())) .toList(); } private boolean isEntity(EntityType<?> e) { return null != e.getJavaType().getAnnotation(Entity.class); } private boolean hasTableAnnotation(EntityType<?> e) { return null != e.getJavaType().getAnnotation(Table.class); } @Transactional public void execute() { entityManager.flush(); entityManager.createNativeQuery("SET REFERENTIAL_INTEGRITY FALSE").executeUpdate(); for (final String tableName : tableNames) { entityManager.createNativeQuery("TRUNCATE TABLE " + tableName).executeUpdate(); entityManager.createNativeQuery("ALTER TABLE " + tableName + " ALTER COLUMN ID RESTART WITH 1").executeUpdate(); } entityManager.createNativeQuery("SET REFERENTIAL_INTEGRITY TRUE").executeUpdate(); } }
-
미해결Java/Spring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오답노트
Rest API - 많이하는 실수 에서 복수형
회사 컨벤션마다 다르긴한데 생각보다 단수로도 많이 사용하지 않나요? 단일 데이터를 생성하는것과 여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구분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실제로 naver, kakao의 많은 부서에서도 이런 컨벤션을 지키는것으로 아는데 반드시 복수형으로 쓰면 안되는것일까요? 참고 공식자료가 있을까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tubbing을 해줘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https://inf.run/QwLTR위의 링크와 연계되는 질문입니다. 복습을 하다 보니 언제 when()으로 stubbing 을 해 줘야할까에 대해 헷갈려져서, 저의 사고 흐름을 정리해봤습니다컨트롤러에서는 서비스 단 하위로는 모킹을 한다.모킹하는 객체들은 테스트에서 주 관심사가 아니며, 항상 잘 동작한다고 가정한다.모킹해오는 객체들은 stubbing을 해주지 않는다면 기본 값들을 반환하는 정책을 따른다.위 질문 링크의 "판매 상품을 조회한다." 테스트에서는 모킹 객체인 productService의 메소드가 어떤 리턴값을 반환하든 presentation 레이어에서 검증하고 싶은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검증을 수행하지 않았고, productService.getSellingProducts()에 대한 stubbing도 굳이 필요 없다."메일 전송 테스트" 에서 mailSendClient.sendEmail()에 대한 stubbing이 필요한 이유모킹 객체인 mailSendClient.sendMail()이 기본 값 반환 정책이 false이어서, 테스트 하고자 하는 mailService.sendMail()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본 값 반환 정책이 true였다면 굳이 stubbing 해주지 않아도 된다 -> "메일 전송 테스트"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이런식으로 테스트에 검증하고자 하는 대상에 집중하다 보면 모든 동작을 제대로 stubbing했다고 보장하기 어려워 진다 -> Mockist의 치명적인 단점 제가 정리해 본 내용이 적절한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테스트의 세계는 정말 헷갈리네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코드 범위
안녕하세요 선생님 질문이 생겨서 글 남깁니다.! 선생님이 생각하시는 가장 이상적인 테스트 코드 범위는 어디 까지인가요??예를들어 controller,service,repository가 있다고 가정하고 선생님 강의처럼 각각 레이어별로 테코를 짜고 service 쪽도 repo를 mock처리하여 단위테스트까지도 진행 하여야하나요?제 질문을 정리하자면 controller,service,repository 각각 단위테스트 작성후 service + repo로 통합테스트 하는게 옳은 이상적인 범위인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Java/Spring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오답노트
패키지 구조에 대한 질문
요즘 가장 많이 쓰는 패키지 구조가 있죠. 아래와 같이 레이어끼리만 모아둔과연 이것이 좋은 패키지 구조일까요? 더 좋은 코드를 위해 추천하는 패키지 구조나 레퍼런스가 있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findProductsBy 메소드에서 왜 Map 을 만들어 찾는지 잘 이해가 안됩니다
private List<Product> findProductsBy(List<String> productNumbers) { return productRepository.findAllByProductNumberIn(productNumbers); } 그냥 이렇게 바로 리턴 해도 되지 않나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MockBean Deprecated
@MockBean 이 Spring Boot 3.4.0 버전부터 Deprecated 되었다고 경고를 띄워주는데요이런 경우 @MockitoBean 을 사용하면 되나요?
-
미해결Playwright 기초 - 기초적인 활용법과 핵심 원리
디버깅 모드 무한 로딩
네비게이션 테스트 작성하기 강의 수강 중에 디버깅 모드로 실행을 하면 무한 로딩이 되어 실행되지 않습니다.원인이 무엇일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저는 왜 OrderCreateRequest 에 기본 생성자가 없는데도 주문 신규 생성 호출이 되는건가요??
영상에서 OrderCreateRequest 클래스에 @NoArgConstructor 붙이던데.. 저는 안 붙인 상태로 돌렸는데도 돌아가는건 왜 그런건가요??
-
미해결Playwright 기초 - 기초적인 활용법과 핵심 원리
Playwright 디버그 모드
첫번째 사진두번째 사진 첫번째 사진은 초록색 화살표 표시가 생겨서 디버깅을 할 수 있는데,두번째 사진은 새로고침, 종료 후 다시 실행 등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초록색 화살표가 생기지 않아서 디버깅을 할 수 없습니다.Playwright Test for VSCode는 설치 했습니다.원인이 무엇일까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Mock & Stub 에 대한 이해
두 가지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Mock과 Stub에서 혼란을 느끼는지?Mock & Stub 에 대한 이해를 하였는지? // OrderTest.java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public class OrderTest { @Test void 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 { Product apple = new Product("사과", 1000); Product banana = new Product("바나나", 2000); Order order = new Order(); order.addProduct(apple); order.addProduct(banana); assertEquals(3000, order.totalPrice()); } }// OrderTest.java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static org.mockito.Mockito.*;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public class OrderTest { @Test void 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 { Product apple = mock(Product.class); Product banana = mock(Product.class); when(apple.getPrice()).thenReturn(1000); when(banana.getPrice()).thenReturn(2000); Order order = new Order(); order.addProduct(apple); order.addProduct(banana); assertEquals(3000, order.totalPrice()); } } 두 테스트에서 생각을 정리하다 보니 저는 마틴 파울러의 test double의 stub 과 mock 에 대한 개념보다TTD or BDD 스타일의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다가 테스트의 편의성을 위해 Mokito을 통한 Mock 테스트를 먼저 접하게 된 후 마틴 파울러의 test double의 개념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마틴 파울러의 Mock 과 Stub 테스트에서 혼란스러운 이유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자연스럽게 then에 해당하는 부분은 대부분 상태(값)을 검증하는 테스트를 위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게 되는거 같습니다.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 -> 단위 테스트로 상태(값)을 검증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 -> 나는 Mockito의 mock 테스트로 상태(값)을 검증 test doublestub -> 상태(값) 검증mock -> 행동 검증위 와 같이 상태(값)을 검증하는 테스트를 하다보니 stub 테스트와 Mockito 의 mock을 사용한 테스트을 동일시 보게 된거같습니다.Mockito의 mock 테스트의 개념과 test double의 mock 테스트가 동일한 개념이 아니다. Mokito의 mock을 사용하여 상태(값)을 검증하는 테스트를 하다보니 test double의 stub 테스트를 Mock 테스트 하였다라고 생각한게 아닌가? 테스트 케이스 stub 과 mock 테스트 구별하기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해당 테스트는 실제 객체를 이용하여 상태(값)에 대한 검증을 한다. -> Stub 테스트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해당 테스트는 Product 를 Mock 하여, order의 totalPrice 을 검증 한다. -> Mock?, Stub? 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를 어떻게 바라 볼 것인가?test double의 mock 테스트를 준비 하였지만 검증 부분을 잘못하였다. test double의 stub 테스트를 실제 객체가아닌 가짜객체로 테스트 하였다.@Test void 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 { // given Product apple = mock(Product.class); Product banana = mock(Product.class); when(apple.getPrice()).thenReturn(1000); when(banana.getPrice()).thenReturn(2000); Order order = new Order(); order.addProduct(apple); order.addProduct(banana); // when int total = order.totalPrice(); // then verify(apple).getPrice(); // apple.getPrice()가 호출되었는지 검증 verify(banana).getPrice(); // banana.getPrice()가 호출되었는지 검증 }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를 위와 같이 수정한다면 test double에서 이야기하는 mock 테스트이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물론 모든 테스트를 test double의 Mock, Stub 테스트라는 틀에 맞춰 작성해한다는 아니라고 생각이 듭니다.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가 마틴 파울러가 이야기하는 test double의 개념에서 어떻게 생각해 볼 것인가? 에대한 궁금증 우빈님의 생각이 궁금하기도 합니다. 제가 잘 이해를 하였는지 확인이 필요하여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리액트 라우터 관련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리액트 학습 중에 궁금한 게 있어서 질문드려요. 기본 path 가 아닌 라우트로 바로 접속을 할때, html을 받으면 라우팅이 이뤄지구 useeffect로 api 요청이 가면서 페이지 렌더링이 이뤄지는건가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tub vs Mock을 설명하면서 예시가 이해가 안돼요.
안녕하세요,6:13초 쯤에 Mock에 대한 예시로 앞에서 작성했던 "when 해서 sendMail 했을 때 파라미터 4개를 넘겨줬을 때 어떤 값을 리턴함" 을 말씀해주셨는데요, 이게 stub에 가까운게 아닌가란 의문이 들었습니다.마틴 파울러의 글을 보면 Mock은 결국 호출 여부나 호출 횟수 같은 것을 검증하는 것 같더라구요.뭔가 이해가 잘 안돼서 질문을 남깁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쉬운 모바일 테스트 자동화 시작하기 : Appium Studio
Appium Studio Comman 작성 후 다시 실행 오류
Android 모바일 웹 테스트 강의를 듣고 테스트 케이스로 코드를 작성 후 다시 실행을 하면위 사진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요?
-
해결됨쉬운 모바일 테스트 자동화 시작하기 : Appium Studio
Appium Studio Emulator 연결 오류
환경 변수 설정, 에뮬레이터 실행 모두 강의와 동일하게 진행했음에도 Appium Studio에서 에뮬레이터 디바이스 추가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요?
-
해결됨쉬운 모바일 테스트 자동화 시작하기 : Appium Studio
Apppim Studio 시작 후 리포트 생성
Appium Studio 실행 후 생성되는 리포트가 위 사진과 같이 index.html 로 생성되는데,Android - 모바일 웹 테스트 강의에서처럼 바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도록 하려면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