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highjune님의 프로필 이미지
highjune

작성한 질문수

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강의자료 모음

test 용 .yml

작성

·

47

0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강의에서는 테스트에 사용되는 설정 파일을 main/resources/~.yml 파일을 사용하셨는데요.

혹시 test 패키지에 별도의 .yml 파일을 둬서 사용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보통 어떻게 하는 것이 올바르고? 장단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강사님 의견도 궁금하구요!

 

감사합니다.

답변 2

0

박우빈님의 프로필 이미지
박우빈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highjune 님!

예시 프로젝트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별도 분리를 하지 않았는데요. 프로젝트가 복잡해짐에 따라 테스트 코드의 설정 파일을 별도로 두는 방법도 좋습니다. 다만, 프로덕션에서 사용하는 설정이 변하는 경우 같이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잘 선택하시면 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test 패키지에 별도의 .yml 파일을 두어 사용하는 것은 Testing 환경을 위한 분리된 설정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하면 main의 설정과 독립적으로, 테스트 환경에 맞는 설정을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테스트 환경과 본래의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분리할 수 있어 테스트의 독립성과 제어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나 포트 설정 등이 각 환경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합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별도의 설정 파일을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중복 설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설정 파일의 수가 많아질수록 복잡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프로젝트 규모와 성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설정이 복잡해질 경우 application-test.yml 같은 별도의 파일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렇게 하면 Spring Boot의 프로파일 기능을 활용해 프로파일에 따라 설정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강사님의 구체적인 의견이 궁금하시다면 강의를 들으면서 직접 문의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Spring Boot Reference Documentation - Externalized Configuration

highjune님의 프로필 이미지
highjune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