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for문 피라미드 찍는거 질문
저는 그냥 이중포문은 복잡해 보여서 psvm {int row = 5;for(int i = 1 ; i <= row; i++) {sout("*".repeat(i))} 이렇게 풀었는데 답은 제대로 나오긴 하는데 이중포문은 먼가 조건식이 두개를 복잡해서 처음에 아이디어가 안떠올랐는데 저렇게 풀었는데 이중포문으로 풀어야 나중에 더 복잡한 문제도 구현해 낼수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인텔리제이에서 네모(스탑버튼) 누르는 것의 의미
.
-
해결됨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자바 record 사용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저번 테스트 코드 강의 부터 지금 리팩토링 강의까지 정말 잘 들었습니다!이번 강의에서는 record를 사용하지 않으셨는데 저는 보통 VO(Value Object)나 DTO를 만들 때 다음과 같은 이유로 record를 활용합니다불변성 보장보일러플레이트 감소그런데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DTO나 VO에 로직이 점점 복잡해지고, 어느 순간 record로는 한계가 느껴져 class로 변환한 경험이 몇 번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어떤 경우에 record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 강사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해결됨프론트엔드 마스터클래스
Map 강의 누락된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가 누락된 것 같아 글 작성합니다. 확인부탁드릴게요! 30강 Map 강의로부터 31강까진 문제없이 연결되는데, 32. WeakRef + FinalizationRegisty 강의시작부터 연결이 매끄럽지 못합니다. 뜬금없이 대안?에 대해서 나오는데 Map 예제부분과 WeakMap 부분이 누락된것같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자바 고급 1,2,3편 같이 진행해도 문제없나요
[질문 내용]고급 1편을 들으면서 2편과 3편을 동시에 같이 들어도 되나요?고급 2편이나 3편에서 앞서 배운 부분을 활용하거나 하는 부분이 있을까요? 람다나 어노테이션 같은 개념을 빨리 보고 싶은데 강의 순서와 독립적으로 들어도 이해에 문제 없을지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
미해결C# 처음부터 배우기
3강 강의를 듣는 중에 질문사항이 생겨 글 남깁니다.
안녕하세요! 3강 강의를 듣는 중에 질문사항이 생겨 글 남깁니다. Long type의 변수를 선언하고 끝에 L을 붙여주셔야 한다고 하셨는데 L을 붙이지 않아도 제대로 나오는것같습니다. 혹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
해결됨고도 엔진(Godot Engine)을 통한 게임 개발 박치기!! - 기본 개념부터 실전 게임 제작까지 한방에!
46. 상속씬(3) 수업 질문
상속씬(3)의 수업 중 11:31초 부근입니다.func _ready()에서는 super()를 통해서 -ready의 기능을 오버라이딩 했는데,func on-area-entered에서는 super()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그 이유는 super()가 -ready에서만 한번 해주면 다른 함수들을 포함해서 전체적으로 오버라이딩이 되기 때문인가요,아니면 원래는 일일이 super()를 해줘야 되지만, on-area-entered에서는 오버라이딩 할것이 없기 때문에 하지 않은것인가요?참고로, 파이썬에서는 super()를 아무데서나 한번 해주면 부모 클래스의 모든 메서드와 변수를 상속받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강의 섹션 8: 네드워크 -프로그램 3부분 10:45 오타?
교안에서는 p.29 인데 여기서 여러 서버가 접속해도 문제없이 작동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부분이헷갈려서요.여러 클라이언트가 접속해도로 바뀌어야 되는거 아닌가요. 지금 클라이언트 여러대에 서버 한대에 그 서버에서 쓰레드 만들어서 작동하는 걸로 이해했는데혹시 제가 잘못 이해한걸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제대로 이해한게 맞나 궁금합니다
close() 메서드에서 synchronized와 if(closed){ return;} 조건문을 해준 이유가 해당 세션 종료시 close() 메서드 호출과 서버 종료시 SessionManager의 closeAll()을 통한 close() 메서드 호출이 동시에 되고 중복으로 호출 되는걸 막기 위해서 해준거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12:25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call AppConfig.memberService부분에서 sout순서가 call AppConfig.memberService->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call AppConfig.orderService->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가 정상적인 예상 출력값아닌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CPU 캐시 때문에도 잔액이 200원이 될 수 있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t1 t2 가 동시에 실행되지 않고, 약간의 시간차가 있는 상태에서두 스레드가 CPU 캐시를 통해 balance를 읽어들이고 쓰면 잔액이 200원이 될 수 있을까요?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질문 있습니다!
public Reservation reserve(Customer customer, int audienceCount) { Money fee = movie.calculateFee(this).times(audienceCount); return new Reservation(customer, this , audienceCount, fee); }reserve 하기위해 movie에게 calculateFee를 하기 위해 screening을 전달해주는데 이 전달해주는 명확한 근거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screening을 전달하지않고 빈 것으로 전달했다하더라도public Money calculateFee(Screening screening) { return fee.minus(discountPolicy.calculateDiscount(screening)); }Movie 클래스에서 screening 대신 movie를 this로 전달했어도 동일한 기능은 가능한 거 같습니다. 질문을 하다가 깨달았는데 DiscountCondition에 screening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달해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이렇게 전달해주는 것은 자연스럽게 일단 관계와 책임을 결정한 뒤 필요한 요소들이 뭘까 전체적으로 고민하면서 정해지는 것일까요? 상영이 예약에 대한 책임을 지고, 영화에게 가격을 계산하는 책임을 줄 때 screening을 넘겨주는 것과 condition에서 screening이 필요하다는 것까지 같이 설계하셨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synchronized 메서드와 join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만약 무한정 대기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t1.join(50);t2.join(50); main의 코드를 이렇게 바꿔봤는데 결과가 똑같더라구요 이게 왜 그런지 알고 싶습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디자인 패턴에 대해선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객체지향 설계 원칙에 맞춰 코드를 짜다보면 나중에 되돌아봤을때 의도했던 안했던 시중에 알려져있는 디자인 패턴과 유사한 방향으로 코드가 만들어질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강사님께서는 디자인패턴을 어떻게 바라보고 계시고 디자인 패턴을 의도해가며 구현할 때와 아닐때가 있으신지도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데이터 로드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13. 데이터 테이블 관리 시스템 부분을 듣다가 몇 가지 의문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CSV Reader가 List<Dictionary<string, object>>를 반환하고 있고, 이를 로드 함수에서 실제 데이터로 형변환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object 타입을 값 타입으로 변환하면 언박싱이 발생해서성능에 좋지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통일성을 위해서 object 타입으로 쓰신 건지, 로드 과정이 Awake에서 한 번에 일어나기 때문에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object 대신 string을 반환하는건 어떤지도 여쭤보고 싶습니다. 챕터 데이터를 검색할 때 리스트에서 순회를 하는데 딕셔너리 같은 별도의 자료 구조에 저장하지 않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강의 자료 오타 제보]
안녕하세요 . 제가 생각했을 땐 오타인 거 같아 제보드립니다. HIGH COUPLING이 높은 결합도라고 명시되어 있는게 맞는 거 같아 제보드려요! 시간대는 7:13분대 화면입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ppConfig.xml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라이브 코딩 하면서 따라가고 있는데 appConfig.xml 작성 도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7:46에 테스트 부분
질문이라기엔 뭐 하지만, 현재 MemberService를 동일 이름으로 2개 이상 가지고 있지 않으니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c.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해당 부분을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c.getBean(MemberService.class);이렇게 가져가도 괜찮을까요?테스트에는 성공하는데 혹시 따로 "memberService" 오버로딩 메소드를 사용하신 이유가 있으신가 해서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12:30 의 newClassGrade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16.타입 안전 열거형 패턴 12:30 쯤 new ClassGrade();로 새로운 객체를 만들어서 discountServies.discount의 파라미터로 사용 하셨는데 newClassGrade.BASIC 으로 파라미터를 입력하면 BASIC은 ClassGrade의 스태틱 필드이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비교 가능한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만약 정상적으로 비교하다면 new를 기능에 크게 문제가 없는데 왜 private로 변경해야 하는지도 궁금해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생성자 주입 관련하여 기초적인 질문 드리고합니다.
부모 클래스 타입에, 자식클래스의 생성자를 주입하는 상황에대해 궁금한게 생겨 질문드립니다. 부모 클래스 타입으로 선언된 인스턴스는자식 클래스에게만 있는 메서드를 사용하지 못하는거로 알고있는데요, 그렇다면 만약에 여러 인터페이스를 implement 받은 클래스라면, 이떄는 생성자 주입방식을 쓰면 안되는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구현된 A에 대해서public class A implements D, E { ... 코드 생략 } 아래 처럼 생성자 주입을 한다면, 이 a 인스턴스는 E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메서드들은 사용하지 못하는게 아닌가해서 여쭤보고자합니다.( 실제 클래스들을 보면 다중상속을 받은 경우에도 생성자 주입방식을 잘 쓰고 있는것 같아 이부분이 궁금합니다.. ).. 코드 생략 D a = new A(); .. 코드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