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3 - 네트웍 멀티플레이 프레임웍의 이해
강의3-1 빌드오류
시작강의대로하고 있는데 MSB3073 에러가 뜨면서 진행을 못하고있습니다 ㅜㅜdevelope editor로 실행도했으며 경로에 한글같은것도없습니다... 따로 설정할곳이있나요언리얼버전은5.4입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SendBufferHelper를 굳이 만들어야 하는 이유가 뭔가요?
먼저 수준 낮은 질문 죄송합니다..SendBufferHelper클래스의 내용 전부를 SendBuffer클래스에 넣을 수 있을 거 같고, 넣으면 사실상 SendBufferHelper클래스는 필요 없을 거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제가 뭔가 빠뜨린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SendBufferHelper클래스의 ThreadLcoal에서 new ThreadLocal<SendBuffer>(() => { return null;}); 사용하셨는데 여기서 람다식은 생성자 인가요? 이것도 사실 필요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것은 어디에 사용되나요?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set-cookie에 samesite=none 설정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 실무를 하다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질문 내용]Q1. 클라이언트의 도메인과 서버의 도메인이 다를때, domain=.aaa.com; SameSite=None 으로 설정하여 서버에서 set-cookie시 클라이언트에 쿠키 저장이 안되던데, samesite=none 이어도, domain=.aaa.com;에 위배되기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ex. 클라이언트 - bbb.com 서버 - aaa.com 배포시 클라이언트와 서버 도메인이 같을 때는 쿠키 저장이 되는데, 다를 때(브랜치 dev에 배포시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는 저장이 되지 않아 로그인이 동작하지 않아서 확인해보았더니 set-cookie에 domain=.aaa.com; samesite=none 설정 되어 있더라구요. Q2. 그렇다면, samesite=none은 언제 사용하는걸까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입문 올인원] C++ & 자료구조/알고리즘 & STL & 게임 수학 & Windows API & 게임 서버
SocketUtils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assert는 release 모드에서 사라지는 것으로 알고있는데그래서 그런가 Release모드에서 작동시킬 때 서버가 꺼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assert를 if 문으로 수정했더니 동작은 되는데,이게 해결법인가요. 아니면 서버가 Debug만 고려된건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헤더 length 계산법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강의도 잘 수강중입니다!IPv4 Header에 대한 질문입니다.[3:02] 경 설명에서 5행이고 32비트가 4바이트니까 5*4 해서 20byte 라는 내용이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RDP를 이용한 EC2접속이 안됩니다
강의 영상의 처음부터 끝까지 다 따라하였고,,,파워쉘을 사용하여 리눅스인스턴스에 접속하는것도 잘되었습니다이후 RDP로 윈도우 인스턴스에 접속하려하면, 비밀번호 창이 나오기 전에 원격접속에러로 3가지 검토사항 추천을 해주면서 접속이 안됩니다.인스턴스 상태는 전부 정상, 작동중이었구요 VPN같은거 안썼습니다. 인바운드나 탄력적IP등도 영상을 따라한 대로 설정이 잘 되어있습니다혹시 몰라 인스턴스를 전부 종료, 보안그룹과 키페어를 전부 삭제 후, 처음부터 다시 따라하여 시도했으나 그조차도 안됩니다... 접속해보고싶어요 도와주세요...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reverse proxy 할 때, nginx.conf와 dockerfile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색션 11 reverse proxy 관련 문의 드릴 것이 있습니다.reverse proxy 위하여 nginx.conf 파일에서 어떤 port로 요청이 오면 어떤 container 로 연결할지 설정해주고 있습니다. 가령 아래 코드는 8080 포트로 연결이 오면 docker-nginx로 포워딩하여 nginx라는 container의 80 포트로 연결을 합니다.upstream docker-nginx {server nginx:80}listen 8080 location /{proxy_pass http://docker-nginx} 즉 위와 같이 nginx.confd에는 외부 포트와 container간의 연결이 정의되어 있는데요.. docker-compose 파일을 보면 port라는 key로 proxy 서버의 포트 연결을 또 정의 합니다. ports: -"8080:8080" -"8081:8081" 즉 nginx.conf에서 외부 포트와 container간의 연결을 설정하면 docker-compose 파일에서 port 연결 명령은 필요 없을까요?
-
해결됨인프라공방 - 그럴듯한 서비스 만들기
포트, http 체크 질문
어떤 부분이 port체크이고 어떤 부분이 http 체크를 한건가요?ping 체크는 명확이 알겠는데 2개가 좀 헷갈리네요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 기간 연장 부탁드립니다!
회사 일정으로 바빠서 시험을 빠르게 치지 못했습니다ㅠ수강 기간 연장부탁드립니다! ㅠ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강의연장 부탁드립니다
불합해버렸음니다..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네트워크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서버개발 내용에 대해 궁금한것이 있어서 질문드려요.메인 서버가 있고접속한 클라이언트 1,2가 있을때 메인서버를 통해클라이언트 1,2를 서로 연결만해주고 연결후에는 메인서버를 통하지 않고 연결이 가능할까요?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jupyter notebook 설치 중 no space left on device가 발생합니다 ㅠ
안녕하세요, section 8 / docer 활용하기에서 jupyter notebook 페키지를 설치중 no space error가 발생합니다. 제가 EC2 인스턴스 생성 시 용량을 8G만 했었거든요. 그래서 일단 EC2 서버에 가서 용량을 16G로 늘리고, 블로그 보고 파티션 설정까지 해줬습니다. 현재 lsblk 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다시 jupyter notebook을 설치해도, 여전히 no space left 라고 나오네요 ㅠㅠ 뭔가 파티션 설정이 잘못 된 것 같은데,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host 자신을 가리키는 ip주소
보통 local에서 tomcat 서버 올리거나, 웹서버 올리면localhost로 접속하잖아요이것도 127.0.0.1로 자기자신을 가르키는 ip주소인거죠??왜 로컬호스트로 올라가는지 궁금했는데 이해가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이해하면 인생이 바뀌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VMware Player
vmware가 pro가 비상용으로 풀리면서 player가 지금 다운로드가 안되는거 같습니다. pro 버전도 다운로드에서 이상하게 막혀버리고요 혹시 지금 상황이 계속 되면 어떻게 해야될까요 ㅠㅠ강의를 멈추고 다운로드를 계속 시도하고 질문 드리는 건데 버츄얼 박스로 해도 별 문제 없을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dhcp 서버를 찾을 때 브로드캐스트
Dhcp서버는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등을 알려주는 것이고Ip주소를 할당 받기위해선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날려야하는데... 그렇다면 dhcp서버를 찾기 위한 브로드 캐스트 신호를 어떻게 판단하나요?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이면 255.255.255.255로 날리는 건지... 근데 그렇다면 전세계에 신호를 날리니까 너무 비효율적인 거같고 Naver 언급하신 거보면 아닌 거같구요..아니면 본인의 ip는 할당받지 못 한 상황이더라도예시로 192.168.0.에 자신이 묶여있단 건 알 수 있는 건가요?근데 그렇다면 서브넷 마스크가 자동으로 192.168.0.255인 건 알텐데 그거는 또 dhcp에 물어본다는 정보니까... 뭔가 모순된 거 같기도 하고 헷갈려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aws 요금 청구 관련
이렇게 나와있는데 실제로 결제된건 아니고예상청구금액 같은 것 같아요혹시 왜 이렇게 나오는지 짐작가시는 거 있을까요?가입한지 한달 안되었고.. 똑같이 따라한 것 같거든요...짐작가시는 부분 있으시면 알려주세용...강의 쉬었다가 보려고 2주정도 인스턴스 정지해놓긴 했거든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패킷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패킷 보내시는 부분을 보고 있는데 쪼개서 보낼 때 결국엔 그 정해진 길이에 맞춰서 여러번 보내게 될텐데(예시: 1024 바이트를 최대로 하여 보냄)그렇게 되면 데이터가 채워져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0 바이트로 채워져서 보내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근데 이게 가끔씩은 패킷에서의 데이터 자체가 0 바이트인 경우도 있을거같은데 이런 경우는 어떻게 판별해주는 방법이 따로 존재할까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3 - 네트웍 멀티플레이 프레임웍의 이해
IsLocalControlled와 오너쉽
8강 48분 40초에서 Client, Server RPC의 사용 조건인 엑터의 오너쉽 여부를 IsLocalControlled함수로 파악하라고 되어있습니다.근데 서버에서 ROLE_Authority / ROLE_AutonomousProxy에 해당 하는 엑터는 IsLocalControlled가 false인데 클라이언터와의 커넥션은 가지고 있어 client RPC가 사용 가능하고,ROLE_Authority / ROLE_SimulatedProxy는 IsLocalControlled가 true이지만 커넥션 없을 수도 있어 Client RPC를 사용하지 못할 수 있지 않나요?hasAuthority등으로 서버, 클라이언트 여부를 먼저 파악한뒤 클라이언트 일 때 커넥션 오너쉽을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isLocalConrolled를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인지, 아니면 제가 isLocalConrolled 자체를 잘못 이해한 건지 헷갈립니다. 그리고 오너쉽, 소유라는 단어의 개념이 혼동됩니다.46분 40초에서 pawn의 '오너쉽', 50분의 표에서 클라 '소유', 서버 '소유'에서의 '오너쉽'과 '소유'는 해당 프로세스가 해당 엑터에서 isLocalControlled가 true가 나와 컨트롤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고,Client, Server RPC의 사용 조건인 엑터의 '오너쉽' 여부에서의 '오너쉽'은 최상위 오너 엑터가 커넥션을 가진 playerContoroller인 경우를 의미하는게 맞나요?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3 - 네트웍 멀티플레이 프레임웍의 이해
character와 controller의 onrep_playerstate
character와 controller 모두 onrep_playerstate 함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금 제 코드는 controller의 onrep_playerstate 에서는 playerstate를 초기화하고, playerstate 안에 변수 값들을 HUD에 바인드 하고 있고character의 onrep_playerstate 에서는 playerstate의 변수 안에 값을 넣는 상황인데controller->character라는 기존의 프레임워크 실행 순서와는 다르게onrep_playerstate 함수가 리슨서버의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매번 실행 순서가 뒤바뀌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유를 찾아보니 playerstate를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리플리케이트하는데 매번 지연속도가 다르다고 하는 것 같은데 이럴 경우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settimer를 사용하는 방법은 지양되는 방식이라는 의견이 많아서 다른 해결방법을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웹서버 띄우는 docker run -d -p 9999:80 ~~ 명령에서 --it 옵션은 필요 없나요?
section 6 / 17분 50초 웹서버 띄우는 명령 docker run -d -p 9999:80 --name apacheweb2 httpd 에서 "-it" 옵션은 필요 없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