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코틀린 고급편
지식공유자님 inline에 대해서의 질문과 추가적인 질문 1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질문 폭탄을 드려서 매번 죄송할따름입니다..1번 질문// inline 프로퍼티 class InLinePropertyPerson(val name: String) { inline val uppercaseName: String get() = this.name.uppercase() // 가능 // get() = field.uppercase() // 불가능 }위의 코드처럼 inline 프로퍼티의 경우 this로의 접근은 가능한 반면, backing field 사용시에는 불가능하더라구요!이렇게 되는 이유or원리가 궁금합니다 2번 질문inline 사용의 경우 디버깅이 어렵다는 말을 어느 컨퍼런스의 코틀린 주제 네트워킹 세션때 들은 것 같습니다그런 경우 강의에서 나온 대로 invoke를 유발할 수 있는 함수 파라미터의 경우 noinline을 붙이면 해결되는 부분일지, 아니면 inline을 제외한 일반 함수로 만들어서 디버깅으로 문제점을 찾고 다시 inline fun으로 만드는게 나은지 궁금합니다(어떤 경우 차라리 메서드 콜스택을 만드는 편이 진입점을 파악하기 좋으니깐요!) 3번 질문inline 키워드와는 관계 없는 질문이긴하지만..!// 1번 listOf(1, 2, 3) .map { num -> val result = num + 1 result } // 2번 listOf(1, 2, 3) .map { num -> val result = num + 1 return@map result }위와 같은 코드에서 보면 map의 중간연산에 최종적으로 result가 반환될거야 라고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2번 방식과kotlin의 특징인 scope { } 의 최종 line 값을 반환하는 자동기능이 쓰인 1번 방식이 있는데코틀린을 처음 접하거나 모르는 사람이 보면 저기 왜 뜬금없이 쓰이지도 않는 변수인 result가 있지? 이상하군! 이렇게 생각할수도있을것같아요(그냥 예시 중 하나.. 아마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은 없다고 예상)오히려 2번 방식에서 아 여기 map에서의 최종연산 결과는 result구나 하고 map라벨링을 달고 리턴하는게 좀 더 가독성이 있어보이는데요!2번 방식은 라벨링을 해서 jump를 하는 방식이라 안티패턴으로 봐야하는지? 아니면 그렇지 않은지?가 궁금합니다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해결됨코틀린 고급편
안녕하세요 JMH 설정 관련 팁을 드릴까 합니다! (24년 12월 16일 기준)
jmh { threads = 1 fork = 1 warmupIterations = 1 iterations = 1 } JVM/JDK toolchain: 21kotlin { jvmToolchain(21) }.gradle 버전: 8.8kotlin 버전: 2.0(컴파일러, 언어, API) 위 세 버전 기준으로는id("me.champeau.jmh") version "0.7.2"버전으로 하고$ ./gradlew jmh 실행이 에러없이 잘 작동하고실행결과는 build/reports/jmh/results.txt의 경로가 아닌build/results/jmh/results.txt 경로에 파일이 생긴 것을 확인했습니다
-
미해결TS/JS 디자인 패턴 with Canvas: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12강] 선언식 + bind vs arrow function 어떤거 선호하시나요?
class의 메서드는 선언식으로 쓰는걸 좋아하는데bind는 쓰기 싫어서 bind 필요한것만 arrow function 쓰면 클래스 메서드가 선언식이랑 표현식 섞인게 뭔가 일관성이 없어보이더라구요.. (섞어쓰면 나중에 이거 bind 필요한 메서드였나? arrow function으로 했었나? 헷갈릴것같기도 하고?)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배열 for문 할때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package array; public class EnhancedFor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bers = {1, 2, 3, 4, 5}; //일반 for문 for (int i = 0; i < numbers.length; i++){ int number = numbers[i]; System.out.println(number); }이 부분에서 int number = numbers[i]; 부분을 없애고밑에 줄을 System.out.println(numbers[i]); 로 바꿔도 결과값이 똑같이 나오던데 그렇게 하면 안되는 건가요?배열의 요소에서 값을 꺼내서 number라는 변수에 항상 담아두게 코드를 짜야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진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 기초부터 고급까지
then 메서드에서 Promise 를 반환하는 코드에 대한 질문입니다.
const 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 resolve(1); }, 1000); }); promise .then((value) => { console.log(`${value} 번째 Promise 의 then`);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 resolve(2); }, 1000); }); }) .then((value) => { console.log(`${value} 번째 Promise 의 then`);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 reject(new Error('강제 에러')); }, 1000); }); }) .catch((error) => { console.log(error); });이런 형태로 then 과 catch 를 메서드 체이닝할 수 있는 이유는 then 과 catch 메서드가 Promise 를 반환하기 때문이라고 이해를 했습니다. 그런데 then() 메서드에 전달하는 콜백 함수에서 return new Promise() 를 하여 Promise 를 반환하면 해당 Promise 가 반환된다고 이해를 했는데 어떻게 그것이 가능한 지 잘 이해가 안됩니다. then 은 동기적으로 실행되고 then 메서드에 전달된 콜백은 마이크로 태스크 큐에 등록된 후에 콜스택이 모두 비어졌을 때 호출된다고 이해를 했는데... 연결고리가 이어지지 않는 느낌입니다.
-
해결됨코틀린 고급편
Generic Func 질문이 있습니다
강사님 Generic Func에서// origin fun <T> List<T>.hasIntersection(other: List<T>): Boolean { return (this.toSet() intersect other.toSet()).isNotEmpty() } // error fun <T> List<T: Any>.hasIntersection(other: List<T>): Boolean { return (this.toSet() intersect other.toSet()).isNotEmpty() } // error fun <T> List<T>.hasIntersection(other: List<T : Any>): Boolean { return (this.toSet() intersect other.toSet()).isNotEmpty() } // error fun <T> List<T: Any>.hasIntersection(other: List<T : Any>): Boolean { return (this.toSet() intersect other.toSet()).isNotEmpty() } // ok fun <T : Any> List<T>.hasIntersection(other: List<T>): Boolean { return (this.toSet() intersect other.toSet()).isNotEmpty() }이렇게 되더라구요! 맨 앞에 <T>가 반환타입(List<T>)과 인자타입(other: List<T>) 까지 함께 선언해주는 declaration-site variance의 형태를 띄고 있어서 그런건가요?생각해보면 들어갈 수 있는 타입은 nullable인데 반환타입은 not null이거나 그 반대가 되면 헷갈릴 것 같아요. 그것을 막아둔것같기도 하구요!이렇게 제네릭 메서드를 만드는 경우에도 generic 제약을 줄 수 있는거죠!?좀 더 실 사용에 가깝게 타입가드까지 하려면fun <T : Number> List<T>.hasIntersection2(other: List<T>): Boolean { return (this.toSet() intersect other.toSet()).isNotEmpty() }이런 느낌으로 쓰일것같은데.. 맞나요? 코틀린 고급편 잘 듣고있습니다 ~_~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코틀린 val 질문
클래스 속성에 val로 정의할 경우 속성 값을 외부로 반환할 때 getter 메소드를 만들어서 반환하시나요? 아니면 속성 그대로 인스턴스.속성 으로 바로 반환하시나요??만약에 후자일 경우 캡슐화 위반이 아닌지 생각이 듭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오디오만 나옵니다
오디오만 재생되고 화면이 안나옵니다.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 Part 2 : OOP와 JVM
metaspace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라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metaspace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세대별 컬렉션 이론" 강의 - 13:00의 heap 영역 그림을 보시면,metaspace가 heap 영역 내부에 포함이 되어있는데,자바 8버전 이후로 Permanent Generation 영역이 metaspace로 변경되면서 heap 내부가 아니라 네이티브 메모리로 넘어간게 아닌가요? -XX:MaxPermSize 옵션도 없어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확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HelloThreadMian 코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HelloThreaMain 클래스 에서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을 드립니다.코드를 보면이런 식으로 되어 있는데,저가 생각 하기로는이렇게 코드를 하는 게, 맞지 않나 싶어서, 여쭈어봅니다.helloThread.start()를 호출전이니 main.start가 아니라,helloThread.start가 되어야 맞는거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요. 오류인가요? 아니면 저의 생각이 틀린건가요?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생성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name = namename1 = name2 여기서 어떤게 매개변수이고,어떤게 멤버변수인가요?구분하기 위해 1, 2로 나누었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자바에서 2바이트 크기인 char에 할당되는 3바이트 크기의 한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OutputStreamWriter, InputStreamReader를 이용해 한글을 파일에 쓰고 읽는 내용이 수업에 있는데요.UTF-8은 한글을 3바이트로 저장한다고 되어있고, 수업 때 작성한 코드를 보면 한글을 char 타입으로 저장이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업에서는 int형으로 저장했다가 이를 char형으로 캐스팅한것이지만 제가 따로 코딩을 해보아도 char 자료형에 한글이 잘 저장되더라구요) utf-8 에서는 한글을 3바이트로 저장하는데 자바에서 2바이트 크기인 char자료형에 잘 저장될 수 있는지 찾아보았는데, 자바에서는 변형된 utf-8을 쓴다고 하고 뭔가 굉장히 자세한 내용이 있었습니다.그냥 자바에서는 utf-8에서는 3바이트로 저장되는 한글을 특별한 방법으로 2바이트로 저장한다고 알고있으면 될까요?근데 또 한글로 저장해놓은 String을 바이트배열로 바꾸면 한글자당 세개의 바이트가 나와가지고 이해가 어렵습니다..
-
해결됨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완강 후 Kotlin 이런저런 질문 드려봅니다!
안녕하세요! 최태현 지식공유자님 코틀린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제로 코프링 개발자로 1년정도 근무했던 경험이 있었는데.. 일했던 날짜와 한참 늦은 2024년 말이지만 추후에 강의를 완강하게 됐는데 매우 유익했습니다 몇가지 질문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질문들TabWidth에 대해서IntelliJ에 보시면 tabWidth를 2로 설정하셨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보통 저는 4로 설정하는 편이어서요!순수함수에 대해서제가 알기로는 내부의 scope에서 동작할때 외부의 요인이 내부의 값을 바꾸지 못하거나 내부의 요인으로 외부의 값이 바뀌지 못하계 경계가 있어서 side effect가 없는 함수를 뜻하는 걸로 알고있는데요 Java는 그렇기에 Stream api를 사용할때 final이 아닌 외부의 값을 참조하지 못하기때문에 좀 더 안전하게 작성할 수 있는데, 코틀린은 Closure, Currying 등을 허용하기 때문에 개발자의 실수를 더 많이 일으킬 가능성을 열어둔 것은 아닌지 궁금합니다OOP와 FP에 대해서자바같은 경우는 함수형 인터페이스또는 인터페이스 구현체를 익명클래스나 익명함수 등으로 넘겨서 FP를 모방하는걸로 알고있는데요, 대신 최소한의 getter/setter를 추가하고 행위를 나타내는 메서드명을 외부로 노출하고(public..), 그 메서드는 내부호출(private)로 캡슐화를 할 수 있는데, 코틀린처럼 invoke가 될 수 있는 함수를 인자로 넘기면 아래와 특정한 행위를 나타내는 이름이 아닌 행위 자체를 넘기게 돼서 객체의 역할과 책임을 나타내는 메서드가 없게 되서 rich domain model이 아닌 anemic domain model이 되는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OOP fun doHobby(person: Person?) { println("${person?.hobby}생활을 즐기고 있습니다") } fun beAging(person: Person?) { println("내년에 ${person?.age?.plus(1)}만큼 늙어갈 예정입니다") } fun mainOOP() { val person = Person("보키", 20) doHobby(person) beAging(person) } // FP fun doSomething(person: Person?, run: () -> Unit) { } fun mainFP() { Person("보키", 20).run { doSomething(this) { println("${hobby}생활을 즐기고 있습니다") } } Person("보키", 20).run { doSomething(this) { println("내년에 ${age+1}만큼 늙어갈 예정입니다") } } Person("보키", 20).run { doSomething(this) { println("런닝중입니다 건들지마시오") } } } data class에 대해서대부분의 기능들이 강의에 녹아있기는 하지만 data class의 강력한 기능 중 하나인 copy 메서드는 백엔드의 프로덕션 개발과 테스트 코드에서 어디 부분에 사용될 수 있을까요?이건 많이 강의 주제를 넘어간 질문이긴 하지만.... Kotlin+Springboot+JPA 를 사용할때 data class/class 중 어떤 클래스로 Entity를 만드시는지 궁금합니다.MySQL or MongoDB or PostgreSQL에서 어떤 클래스와 궁합이 좋은지. data class를 사용한다면 copy를 어느 부분에 사용하면 좋을지도 알고싶습니다!강의내용과는 많이 무관하기에(코틀린이 아닌 서버, 타 라이브러리, 인프라(DB)까지 논의확장을 하였음) 답하기 어렵다면 안해주셔도 괜찮습니다Scope Func에 대해서저는 Kafka, Configuration 등에서 기본객체를 가져와서 apply를 이용해서 초기값 -> 덮어씌우는 방식을 주로 사용했고 with구문을 이용해서 log를 편하게 했었는데 scope func의 또 다른 좋은 선례도 알고싶습니다! Ex1) private fun <K : Any, V : Any> initConsumerProps( keyDeSerClass: Class<out Deserializer<K>>, valueDeSerClass: Class<out Deserializer<V>> ): Properties = Properties().apply { put(BOOTSTRAP_SERVERS_CONFIG, "localhost:9092") put(KEY_DESERIALIZER_CLASS_CONFIG, keyDeSerClass.name) put(VALUE_DESERIALIZER_CLASS_CONFIG, valueDeSerClass.name) put(GROUP_ID_CONFIG, "group-02") put(MAX_POLL_INTERVAL_MS_CONFIG, "60000") } Ex2) for (record in consumerRecords) { with(record) { logger.info { "key: ${key()}, partition: ${partition()}, offset: ${offset()}, value: ${value()}" } } }method reference에 대해서어떤 코드에서는 let(::XX), 또 다른 코드에서는 let { ... }방식이 사용될 때가 있는데, 어떤게 성능상 또는 가독성에서 좋은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HashMap
HashMap 강의 듣고있는데 HashMap<String, Integer> map에서 Integer가 아닌 int를 쓰면 왜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요구사항이 추가 될 때마다 하나의 일급 컬렉션을 재사용 하나요? 아니면 새롭게 만들어주나요?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우빈님!프로젝트를 진행중인데, User 라는 엔티티가 있고, List<User> 를 감싸는 Users 라는 일급 컬렉션을 만들었습니다.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Optional; /** * * List<User>를 감싸는 일급 컬렉션 * */ public class Users { private final List<User> users; private Users(List<User> users) { this.users = Collections.unmodifiableList(users); } public static Users from(List<User> users) { return new Users(users); } public List<User> getUsers() { // return new ArrayList<>(users); return Collections.unmodifiableList(this.users); } // 메소드 명으로 hasNotEnoughUsers()? hasNotBothSenderAndReceiver()? public boolean hasNotEnoughUsers() { return users.size() <= 1; } public Optional<String> getSlackIdById(Long userId) { return users.stream() .filter(user -> user.getId().equals(userId)) .findFirst() .map(User::getSlackId); } } 현재 사용 용도는 slack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발신자, 수신자의 정보를 가져와서 처리하는 용도인데요. 문득 든 생각이 지금 용도 말고 새로운 용도로 일급 컬렉션을 써야 한다면, 예를 들어 배송 담당자의 정보를 가져와서 처리 하는 용도가 필요해졌고, 일급 컬렉션을 적용해야 한다면, 지금의 Users 일급 컬렉션의 메서드를 추가해서 사용하는 건지, 새롭게 DeliveryStaffUsers 를 만들어서 사용하는건지, 우빈님께서는 어떻게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확장함수 스타일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강사님 9:54쯤에 질문이 있습니다val 또는 fun으로 확장함수를 만들 수 있는데..두가지 방식의 차이점이 있나요?또는 이펙티브 코틀린 등등에서 더 선호하는 방식이 있는지, 안티패턴이나 best practice가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차이점이 있다면 확장함수에 val을 사용한 경우 custom getter방식으로 구현되고 호출부에 ()가 없는 반면, fun키워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get()이 사용되지 않고 호출부에 ()를 해줘야 되는 것 같습니다 1번방식: 강의에서 나온대로 val_ 정의부:val List<Fruit>.samePriceFilter: List<Fruit> get() = this.filter(Fruit::isSamePrice)_ 호출부:val samePriceFruits2 = fruitsInList.flatMap { it.samePriceFilter }2번방식: fun으로 사용_ 정의부:fun List<Fruit>.samePriceFilter(): List<Fruit> { return this.filter(Fruit::isSamePrice) }_ 호출부:val samePriceFruits2 = fruitsInList.flatMap { it.samePriceFilter()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수동 빈과 자동 빈이 충돌될 때 로그에 overriding is disabled라고 남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섹션 7. 컴포넌트 스캔 - 중복 등록과 충돌 강의를 실습하던 중 @Component public class Memory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Configuration @ComponentScan( excludeFilters = @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Configuration.class) ) public class AutoAppConfig { @Bean(name = "memoryMemberRepository")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 이러한 경우 자료에서는 "수동 빈 등록이 우선권을 가져서 수동빈이 자동빈을 오버라이딩 해버린다." 라고 나와 있습니다. 근데 제 콘솔 로그에는 09:37:26.010 [main] WARN o.s.c.a.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Exception encountered during context initialization - cancelling refresh attemp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BeanDefinitionOverrideException: Invalid bean definition with name 'memoryMemberRepository'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re/AutoAppConfig.class]: Cannot register bean definition [Root bean: class [null]; scope=; abstract=false; lazyInit=null; autowireMode=3; dependencyCheck=0; autowireCandidate=true; primary=false; factoryBeanName=autoAppConfig; factoryMethodName=memberRepository; initMethodNames=null; destroyMethodNames=[(inferred)];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re/AutoAppConfig.class]] for bean 'memoryMemberRepository' since there is already [Generic bean: class [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 scope=singleton; abstract=false; lazyInit=null; autowireMode=0; dependencyCheck=0; autowireCandidate=true; primary=false; factoryBeanName=null; factoryMethodName=null; initMethodNames=null; destroyMethodNames=null; defined in file [/Users/g.u/logInDev/T.I.L/spring/basic/codebase/core/build/classes/java/main/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class]] bound. (...생략....) The bean 'memoryMemberRepository',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re/AutoAppConfig.class], could not be registered. A bean with that name has already been defined in file [/Users/g.u/logInDev/T.I.L/spring/basic/codebase/core/build/classes/java/main/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class] and overriding is disabled. Action: Consider renaming one of the beans or enabling overriding by setting spring.main.allow-bean-definition-overriding=true오버라이딩을 원하면 추가 옵션을 세팅하라고 나와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오버라이딩이 된게 아니고 스프링이 중단되었다고 판단됩니다. 혹시 강의에서는 추가로 옵션을 세팅한건 지 아니면 제가 잘못 코드를 작성한건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정적내부클래스 new 로 생성에 관한 질문(인터럽트-시작1강 중...)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인터럽트 시작1 부분 강사님 설명 예제중에서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제가 궁금한부분은 public class ThreadStopMainV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MyTask task = new MyTask(); Thread thread = new Thread(task, "work"); thread.start(); } static class MyTask implements Runnable { ...................................... }}여기서 질문 왜 정적내부클래스 MyTask()에 new를 써서 만드나요?? 정적 내부 클래스는 외부 클래스의 정적 멤버처럼 동작하기 때문에, 외부 클래스의 이름을 통해 접근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따라서 newThreadStopMainV1.MyTask() 형태로 생성해야하는거 아닌가요?? 정적내부클래스도 바로 다이렉트로 new MyTask() 로 생성해도 되는건가요 ?? 너무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질문은 아니고 강의 내용과 pdf 교안이 다른 점이 있어서 제보드립니다
공부 진행에 전혀 문제는 없지만 자그마한 도움이 되고 싶어 말씀드려요9. 채팅 프로그램.pdfCommandManagerV2수정 필요한 부분 : public static final String DELIMITER = "|";수정 후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DELIMITER = "\\|";CommandManagerV3, CommandManagerV4수정 필요한 부분 : public static final String DELIMITER = "\\|";수정 후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DELIMITER = "\\|";11. HTTP 서버 만들기.pdfHttpResponse수정 필요한 부분 : public void setStatus(int statusCode) {this.statusCode = statusCode;}수정 후 : public void setStatusCode(int statusCode) {this.statusCode = statusCode;}HttpRequestHandlerV4수정 필요한 부분 : private static void notFound(HttpResponse response) {response.setStatus(404);response.writeBody("<h1>404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h1>");}수정 후 : private static void notFound(HttpResponse response) {response.setStatusCode(404);response.writeBody("<h1>404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h1>");}pdf 파일에서 setStatus 로 쓰다가 뒤의 커맨드 패턴 NotFoundServlet, InternalErrorServlet 에서는 setStatusCode로 메서드 이름을 사용하고 있어서 강의 내용과 동일하게 setStatusCode로 이름 통일을 시켜봤습니다 ServerMainV5임포트 추가import was.v5.servlet.HomeServlet; import was.v5.servlet.SearchServlet; import was.v5.servlet.Site1Servlet; import was.v5.servlet.Site2Serv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