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redux-toolkit은 따로 enhancer 설정이 필요없나요?
redux-toolkit에서는 configureStore()에서 기본적으로 devTools를 지원하니까 여기서 하는 enhancer 설정은 따로 필요가 없나요? toolkit에서는 production일 때 자동으로 devTools가 적용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Flutter 입문 - 안드로이드, iOS 개발을 한 번에 (with Firebase)
void main() { runApp(const MyApp()); } 매번 변경해야 하나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인강에서는 void main() ==> runApp(MyApp());으로 되어 있는데, 저는 void main() {runApp(const MyApp());} 이렇게 뜹니다. 매번 변경해야 하나요? +++ 그리고 저는 선생님처럼 코드를 칠 때 파란색 처리가 안되는데 플러그인 설치해야 하나요?
-
미해결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퍼블릭클라우드서비스 쿠버네티스에서도 인증서 관리를 별도 해야하나요?
퍼블릭클라우드서비스 쿠버네티스에서도 인증서 관리를 별도 해야하나요?안녕하세요.퍼블릭클라우드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서비스 GKS, EKS, AKS에서도 인증서 관리를 해주어야하는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소스코드 깃헙 주소있나요?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소스코드 깃헙 주소있습니까?
-
미해결Do it!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with 은종쌤
반복문 별 출력 연습문제
반복문 별 출력 연습문제 동영상이 어디에서 볼 수 있나요?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itemId 와 id 차이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제일 밑 @GetMapping에서 만약 item에 대한 접근권한을 부여했을때에는itemId를 받아야한다고 하셨는데 이 부분이 잘 와닿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보기엔 id와 itemId가 별 차이가 없어보이는데 혹시 item과 itemForm에 접근권한을 다르게 주어서 id와 itemId에 차이를 만든다는건가요? 혹시 이 부분을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Postman 기술 질문입니다,(스프링 시큐리티)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 감사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제가 연습 중인 프로젝트에 Spring-Security, Auditing, Envers를 적용해 보고 있습니다.당연히 데이터를 등록, 수정, 삭제 시 DB에 현재 로그인 중인 사용자 정보가 담기게 되는데 postman에서 그냥 테스트를 하게 되면 오류가 나더라고요,1)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postman에서 따로 설정을 해줄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이와 비슷한 관련 강의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2) 강의 내용을 보면 DTO 클래스를 ApiController에 작성하셨는데 실무에서는 domain 패키지에 따로 따로 생성해주나요? (그렇게 되면 Create, Update, Delete 너무 많아지는 것 같아서요)
-
미해결SVG 마스터
마스크가 안돼요..
ㅠㅠ 지금 마스크 이용한 스토록 애니메이션 강의 보고 공부하고 있는데요,마스크 작업을 하면 아무것도 안보이게 돼요. 마스크 색상도 흰색이고 위치도 겹쳐있는데 왜 안되는걸까요?3시간째 원인을 못찾고 헤매고 있어서 코드 올립니다.. 도와주세요 ㅠ <svg width="650" height="650" viewBox="0 0 650 650" xmlns="http://www.w3.org/2000/svg"> <defs> <mask id="mask"> <path class="item" d="M149.078 226.054L190.673 352.583L237.074 227.033C237.074 227.033 218.997 233.835 203.998 233.668C188.998 233.502 180.11 223.397 149.078 226.054Z" fill="#fff"/> </mask> </defs> <g mask="url(#mask)"> <path class="over" d="M192 370.5V190.5" stroke="#B7E300" stroke-width="100"/> </g> </svg>클래스는 그냥 구분용이고 스타일 따로 없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BeanDefinition, Spring Container의 빈 등록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https://www.inflearn.com/questions/681287 질문의 연장선에서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답변으로 남겨주신(https://www.inflearn.com/questions/323589) 질문을 읽고 더 생각하다 궁금한 점들을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1. BeanDefinition이 어디에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Spring Container(Application Context) 는 Annotation 을 통해서든지, Java Class를 통해서든지 , XML 을 통해서든지 구성이 된다고 해주셨습니다. 이 때 Java Class 를 사용시 위에 답변으로 남겨주신 323589 질문처럼 BeanMethodMap 이라는 공간(?)을 활용해서 빈 저장소에 넣어주게 된다고 해주신 것같습니다. 이 빈 저장소에는 빈 객체 (앞으로 사용할 객체의 참조값) 가 저장되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빈 저장소와는 별개로 BeanDefinition은 SpringContainer에 따로 존재하는 것인가요? getBeanDefinitionNames() 라는 함수를 제공하는 것처럼, 하나의 공간이라고 인식해도 될까 해서요! 그렇다면 그 공간이 Bean 저장소처럼 Spring Container 에 있는공간이라고 생각해도 되는 것일까요? (그래서 ac.getBeanDefinitionNames()) ApplicationContext 는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형성을 지원하는 것이고, 그 방법에 따라 BeanDefinition도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시킬 것이다로 이해하면 될까요?가령,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MyConfig.class) 로 컨테이너를 설정하겠다고 선언하면, BeanDefinition 생성도 자동으로 java 방식을 통해서 하는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2-2) 이 때, 이 BeanDefinition 을 형성하는 것은 Bean저장소에 등록하는 두 과정 (1) 빈을 등록 (빈 저장소에 저장해놓는 것)(2) 의존성 주입 (저장 후 각 객체에 의존성 주입)중 어떤 단계인지도 알 수 있을까요? 아니면 1 질문에서처럼 빈 저장소와는 별개로 인식해야 하는게 맞는걸까요?너무 많은 정보들이 정리가 안된채로 따로 돌아다니는 것 같아서, 따로 이해해도 되긴 하지만 연결되게 정리하고 싶어서 조금 질문이 추상적인 것 같습니다...미리 감사합니다.
-
미해결파이썬을 활용한 머신러닝 딥러닝 입문
DBSCAN 임의의 datapoint 생성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를 수강중인 학생입니다.DBSCAN 실습에서 총 1510개의 랜덤 datapoint를 만드는 과정에서 질문이 있어서 글을 작성합니다.X1, X2를 생성하는 방식은 이해가 되는데, X3과 X4를 생성하는 것에서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X1과 X2를 생성할 시에는 KMeans에서 데이터를 만드는 방식과 동일하게 하였는데, 왜 갑자기 X3을 생성할 때에 저런 방식을 사용한 것인가요? 그리고 옆에 3과 +4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X4를 생성할 때에도 왜 3이 되어있는 건가요?추가로, DBSCAN 훈련 결과 나온 label에서 -1을 결과로 가진 datapoint는 무조건 outlier 취급인 것이 기본 설정인가요? 그렇다면, 0을 결과로 가지는 datapoint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강의에 따르면 set을 통해 나올 수 있는 label을 확인한 결과 {-1, 0, 1, 2, 3, 4, 5}입니다.항상 자세하고 유익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React 기반 Gatsby로 기술 블로그 개발하기
IntersectionObserver deploy( gatsby build) 시 오류(자답)
useInfiniteScroll.tsx 파일IntersectionObserver 구문에서 오류 발생아래 처럼 코드 수정import { MutableRefObject, useState, useEffect, useRef, useMemo } from 'react' import { PostListItemType } from 'types/PostItem.types' export type useInfiniteScrollType = { containerRef: MutableRefObject<HTMLDivElement | null> postList: PostListItemType[] } const NUMBER_OF_ITEMS_PER_PAGE = 10 const useInfiniteScroll = function ( selectedCategory: string, posts: PostListItemType[], ): useInfiniteScrollType { const containerRef: MutableRefObject<HTMLDivElement | null> = useRef<HTMLDivElement>( null,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number>(1) const postListByCategory = useMemo<PostListItemType[]>( () => posts.filter(({ node: { frontmatter: { categories } } }: PostListItemType) => selectedCategory !== 'All' ? categories.includes(selectedCategory) : true, ), [selectedCategory], ) const observer = useRef<IntersectionObserver | null>(null); useEffect(() => { observer.current = new IntersectionObserver( (entries, observer) => { if (!entries[0].isIntersecting) return; setCount(value => value + 1); observer.disconnect(); }, ) }, []); useEffect(() => setCount(1), [selectedCategory]) useEffect(() => { if ( NUMBER_OF_ITEMS_PER_PAGE * count >= postListByCategory.length || containerRef.current === null || containerRef.current.children.length === 0 ){ return; } if(observer && observer.current){ observer.current.observe( containerRef.current.children[containerRef.current.children.length - 1], ) } }, [count, selectedCategory, observer]) return { containerRef, postList: postListByCategory.slice(0, count * NUMBER_OF_ITEMS_PER_PAGE), } } export default useInfiniteScroll
-
미해결[리뉴얼]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스스로 해보기 좋아요, 좋아요 취소 질문
https://www.youtube.com/watch?v=x7H_mIa5rTE제로초님 유튜브 강의 영상에서프론트에 좋아요 좋아요 취소 버튼 만들려고 하는데유튜브 강의영상에는 pug로 나왔있어서-const like = twit %% twit.Liker.map(l => l.id).includes(req.user.id)이부분을 새로 리뉴얼된 강의에 맞게 바꿀려고 하는데{% if not LikerIdList.includes(req.user.id) and twit.User.id !== user.id %}이런식으로 바꿔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그래서router.use((req, res, next) => { //res.locals를 통해서 프론트에서 이 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s.locals.user = req.user; // req.user 이 있다는것은 로그인을 했다는 뜻 res.locals.followerCount = req.user ? req.user.Followers.length : 0; res.locals.followingCount = req.user ? req.user.Followings.length : 0; res.locals.followerIdList = req.user ? req.user.Followings.map(f => f.id) : []; res.locals.LikerIdList = next(); }); 이 부분을 바꿔야 할꺼 같은데 res.locals.LikerIdList에 무었을 넣어주면 되나요?아무리 고민해도 잘 모르겠네요
-
해결됨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분산락의 정의가 궁금합니다.
인터넷을 찾아봐도 분산락은 언제 쓴다. 이 정도의 얘기만 나오고 그래서 분산락이 무엇인지에 관해서는 안 나오더라구요 !Redis를 이용한 방식은 분산락이고, 네임드락을 이용한 방식도 분산락이라고 부르는 것 같긴한데, 대체 분산락이란 무엇인가요?무엇을 분산한다는 것인가요?비관적 락은 분산 락인가요?
-
해결됨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비관적 락과 update product set stock = stock -1 where id = 1의 차이
update product set stock = stock -1 where id = 1 이렇게 할 경우 읽는 작업과 쓰는 작업이 원자적으로 이루어지고, 이 쿼리가 커밋하기 전까지는 다른 update 쿼리는 블락되기 때문에 비관적 락과 다른 점이 없다고 생각되는데요.제가 잘못 생각한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React 기반 Gatsby로 기술 블로그 개발하기
PostHead.tsx BackgroundImage 동작오류(자답)
PostHead Head쪽에 오류가 발생하여 아래처럼 코드를 수정했습니다.PostHead.tsx 파일의 아래코드를type PostHeadProps = PostHeadInfoProps & { thumbnail: IGatsbyImageData } 다음과 같이 변경해야 정상동작 했습니다.type PostHeadProps = PostHeadInfoProps & { thumbnail: { childImageSharp: { gatsbyImageData: IGatsbyImageData } } } Index.tsx에서 PostList 썸네일 이미지를 가져오는 코드에서 thumbnail 가져오는 방식과 동일하게 PostHead.tsx에서 가져오니 저의 경우 정상동작 했습니다.( 캐시 동작을 하는듯 하므로 npm run clean -> gatsby develop )
-
미해결마케터를 위한 구글 애널리틱스 실무
PDF 강의북 요청 드립니다.
안녕하세요!PDF 강의북 요청드립니다. ymosa3654@gmail.com감사합니다.
-
해결됨[리뉴얼] 타입스크립트 올인원 : Part2. 실전 분석편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웹 스톰에서 this에 커서를 올리면 사진과 같이 타입이 뜨는 것이 아니라 this가 선언된 함수 자체가 뜨는데 설정에서 바꿔줄수 있을까요?강의 중 f12로 설명해주시는건 다른 질문 답변 보고 command + b 나 command + option + b 또는 command + shift + b 를 통해서 정의, 구현, 타입선언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다는 걸 알았는데 현재 이 문제는 해결 못하고 있습니다.vscode로는 강의와 같게 zQuery가 잘 출력 되는걸로 봐서 IDE쪽 설정 같아서 강의 듣는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썼는데 결국 해결하지 못해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Redis를 이용한 방식이 MySQL을 이용한 방식보다 느리지 않나요?
제가 생각하기로는 Redis를 이용한 방식은 서버 -> Redis서버 -> MySQL 이렇게 두 번 접근하게 되니 네트워크 타는 시간 때문에 당연히 더 느릴 것이라고 생각했거든요비관적 락을 이용한다면서버 -> MySQL 이렇게 바로 접근한 후에 lock이 풀릴 때까지 기다렸다가 바로 작업을 수행하니 더 빠르지 않나요?
-
미해결
코랩 관련 질문입니다.
어떤 오류인가요..?해결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대비 (R 활용)
실기4 유형2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질문1model1 <- train(Segmentation~. , data = train, method = 'rpart')model2 <- train(Segmentation~. , data = train, method = 'lda')1-1 model2에서 glm 대신에 lda를 사용하는 이유가 4개로 분류하기 때문에 lda를 사용한다 하셨는데 그럼 앞으로 glm 대시 lda를 외워서 사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1-2 glm보다 lda가 활용폭이 넓기 때문에 lda를 사용하는걸로 이해 했는데 만약 lda대신에 glm만 사용해야 되는 경우가 있나요?1-3 랜덤 포레스트는 14분이 걸린다고 했는데 실기4회 유형2번 문제에서 14분이 걸린다는 얘긴가요??랜덤 포레스트가 빅분기 실기에서 시간때문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건가요? 질문2실기3회 스크립트 일부분model1 <- train(TravelInsurance~. , data = df, method = 'glm')model2 <- train(TravelInsurance~. , data = df, method = 'rpart')p1 <- predict(model1, tst, type = 'prob')p2 <- predict(model2, tst, type = 'prob')p3 <- (p1 + p2)/2실기4회 스크립트 p1 <- predict(model1, test)p2 <- predict(model2, test)2-1 p3를 안 만든 이유가 있을까요? p3를 만들때 와 안만들때 케이스가 궁금합니다. 질문3cm1 <- confusionMatrix(p1,test$Segmentation)mean(cm1$byClass[,7], na.rm = T)cm2 <- confusionMatrix(p2,test$Segmentation)mean(cm2$byClass[,7], na.rm = T) 3-1 위스크립트는 외우라는 틀에 없는 내용인데 만약 시험장에서 위 스크립트가 생각이 안날 경우 생략하고 제출하면 문제가 생기는 부분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