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단일 키로 행을 식별할 수 없을 때 어떻게 설계하나요?
실무에서 단일 컬럼 PK만으로 행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영화 예매 시스템에서 ‘상영회차’와 ‘좌석’ 정보를 조합해야만 특정 예매 내역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을 때가 있죠.이런 경우 복합키를 사용하게 되는데, 실제 설계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복합키를 구성하고, 단일 PK와 비교했을 때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경험 기반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혼합 모델링의 선택 기준
정규 테이블과 JSON 컬럼을 함께 사용할 때, 정규화를 유지할지 JSON으로 비정규화할지 어떤 기준으로 결정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실무 관련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 수강하면서, 문득 궁금한거 질문드립니다.실무에서는 어떤 제약 조건들을 주로 쓰고, 어떤 건 잘 안 쓰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정규형은 종속 분리의 연속으로 받아들이면 될까요?
제 1,2,3 정규형 강의를 들었을 때, 정규형은 종속 분리의 연속이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 남깁니다. 앞에서부터 '제1 정규형 만족 -> 제2 정규형 만족 -> 제3 정규형 만족' 이라는 과정이 종속 분리가 차근차근 진행되는거죠? 제가 생각한 것처럼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외래키 사용 여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설계하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외래키 사용으로 데이터 정합성을 지킨다는 전제는 이해했으나,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외래키 사용으로 인하여 쿼리복잡성과 성능이슈로 인하여 사용하지 않고, FK를 걸지않고 seq를 테이블에 넣는식으로 작업하고있습니다.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정합성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해 외래키를 적용하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영한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잘한다’ 혹은 ‘데이터 모델링을 잘한다’는 게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를 들으면서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모델링의 중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문득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잘한다’ 혹은 ‘데이터 모델링을 잘한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해졌습니다.설계 과정에는 개념적, 논리적, 물리적 모델링 등 여러 단계가 있고, 각 단계마다 좋은 설계의 기준이 조금씩 다를 것 같은데요.실무에서는 이런 기준을 어떤 방식으로 판단하시나요?만약 같은 요구사항을 모델링했을 때 한쪽은 유지보수성이 높고 다른 쪽은 성능이 좋은 경우, 어떤 관점에서 우선순위를 정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상관 서브쿼리와 성능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상관 서브쿼리와 성능 설명해 주실때 데이터베이스 옵티마이저가 JOIN을 더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셨는데, 혹시 관련 자료를 찾아 학습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간단한 질문. Workbench가 얼마나 사용되는 지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Q. 수업에서 사용되는 MySQL Workbench가 실무에서도 사용될만한 지 혹은 실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비슷한 수준인지,아니면 단순 수업용이라고 보는 게 맞을지 궁금합니다!항상 스승님의 강의가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게 바로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히 잘 듣고 있습니다!일반적으로도 DB 강의에는 Workbench를 사용하는 것 같던데, 이러한 이유가무료라서가벼워서실무 제품과 유사해서중에 어떤 것인지 갑자기 궁금해져서 질문을 드려보게 되었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RDB 선택 기준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강의에서는 주로 MySQL을 사용했는데 현업에서도 PostgreSQL대신 MySQL을 많이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RDB를 선택할 때 기준같은게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Inner Join에서 쿼리 작성 시 ON 절 테이블 배치 순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Inner Join 시 ON의 조건을 선언하는 부분에서, FROM 절에 있는 테이블을 먼저 작성하고, 이후 Join 절에 있는 테이블을 작성한 것을 보았습니다.ex. select u.address from orders ojoin users u on o.user_id = u.user_id where o.order_id = 1 ; 여기서 u.user_id = o.user_id 라고 작성해도 동일한 결과를 반환하는데, o.user_id = u.user_id 형태로 쓴 것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함인가요? 아니면 성능상의 이슈가 있는 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명확한 명세서 없이 진행된 프로젝트
스키마 명세서, 요구사항 명세없이 유지보수, 개발된 프로젝트의 경우 스키마 명세서를 나중에라도 추가해서 관리하는게 훨씬 좋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DAP 자격증 현업에서 유용한가요?
DAP 데이터 설계 자격증 현업에서 유용하거나 인정해주는 자격증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PK타입 UUID
물리적 모델링에서 PK의 타입을 선택할 때 대부분 BIGINT를 사용하고 용량 차이도 크지않다는 강의가 매우 좋았습니다.그런데 논리적 모델링에서 PK로 UUID도 사용한다고 들었는데 UUID는 128바이트로 16바이트로 정수 PK보다 2배 더 크고 식별하기도 힘들것이라고 생각되는데 사용한 경험이 있으실까요?아니면 어떠한 상황에서 장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개발자로서 차별화
AI 도구가 발전한 지금, 개발자로서 차별화되는 실력은 어떤 부분에서 나타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데이터 검증 방법 질문입니다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CHECK 제약조건을 최후의 방어선으로 활용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제약 조건 이외에도 DBMS 에서 별도로 제공해주는 데이터 검증 방법이 존재하나요?그리고 실무에서는 이런 기능들을 제약조건과 어떻게 활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입문 - 모든 IT인을 위한 SQL 첫걸음(SQL부터 차근차근)
정말 별 거 아니긴 한데요
6. SQL - 데이터 가공, 8페이지 LENGTH() 예시 부분오탈자도 아니고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거 알지만 다른 쿼리문들은 알리아스가 대문자인데 여기만 소문자라서 제보합니다.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실전 2편에서는 어떤 것들을 준비 중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아직 많은 DB설계를 해보진 않아서 알려주시는 개념들이 차곡차곡 잘 정립되는 것 같아 도움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실제 조금 더 복잡한 프로젝트들에서의 DB 설계, 성능이나 쿼리들도 궁금한데 혹시 앞으로 이에 관한 내용들도 강의하실 예정에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또 실전 2편이 기다려지는데 어떤 것들을 준비 중에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이해하기 쉬운 SQL 코드 작성 배울 수 있는 자료 문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ALL()이나 > ANY() 대신 MAX, MIN 집계 함수를 사용하는 방식이 더 이해가 잘 된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저도 그게 직관적으로 느껴졌습니다. 😊혹시 이런 best practice를 배울 수 있는 자료가 있을까요?
-
미해결JPA (ORM) 개발자를 위한 고성능 SQL (High-Performance SQL)
mysql에서 text vs json
어떤 상황에서 text를 쓰고 어떤 상황에서 json을 쓰는게 좋을까요? 현재는 json을 이용해서 쿼리를 사용할 사용성이 없지만 저장, 조회에 큰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추후를 위해서 json 타입으로 선언하는게 좋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PK 타입에 관한 문의
강의를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PK 타입과 관련되어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겨 문의 드립니다.혹시 대규모 시스템에서 UUID를 PK를 사용할때 실무에서 고민하셨던 팁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보안성이나 마이그레이션 가능성이 있는 테이블들에 부분적으로 UUID를 적용해 보았으나, 대규모 환경에서는 어떤 설계 팁이 있을지 궁금하네요.감사합니다^^ * 이건 질문은 아니나 사소한 오타 제보입니다.수업 자료중 1-A. 윈도우 - MySQL 설치 안내 파일의4P 맨 아래'mysql-installer-community-8.0.x.dmg`로 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