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모던 웹 인터렉티브 CSS3 부트캠프 [Full vers.]
18강과 19강 사이 누락된 부분 확인 요망
선생님 ㅎ18강과 19강 사이에 공백이 있는 것 같습니다.first-child, last-child 등 설명이 빠져 있습니다.확인 부탁드려요^^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라소,릿지 gridsearchcv에서 알파값관련
알파값을 릿지는 0.05,0.1,1,5,8,10,12,15,20라소는 0.001,0.005------ 이렇게 잡는 이유와 기준이 무엇인지?그냥 경험치인건지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scr이 사라져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src가 안떠요 src복사해서 옮겨도 조금 있다가 사라져요 왜 그럴까요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테스트코드 실행
2-10 강의에서 테스트코드? 실행하시는데 실행할 버튼이 없습니다.. 어떻게 하죠..?
-
해결됨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과제 기본 코드 위치 질문입니다
[과제3]을 진행하려 하는데 기본으로 주어진다는 기본 코드를 어디서 받을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교안, 네이버 카페,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인프런 강의 내를 찾아봤는데 찾질 못해 질문 남깁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geolocator 가 import 가 안되는데 어떡하죠?
코드팩토리 디스코드에 질문하면 더욱 빠르게 질문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코드팩토리 디스코드]https://bit.ly/3HzRzUM geolocator 가 import 가 안되는데 어떡하죠? 오류는 아래와 같이 나오구요. Target of URI doesn't exist: 'package:geolocator/geolocator.dart'. 소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import 'package:flutter/material.dart'; import 'package:google_maps_flutter/google_maps_flutter.dart'; import 'package:geolocator/geolocator.dart'; class HomeScreen extends StatefulWidget { const HomeScreen({super.key}); @override State<HomeScreen> createState() => _HomeScreenState(); } class _HomeScreenState extends State<HomeScreen> { final CameraPosition initialPosition = CameraPosition( target: LatLng( 37.5214, 126.9246 ), zoom: 15, ); checkPermission() async{ final isLocationEnabled = await Geolocator.isLocationServiceEnabled(); }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Scaffold( body: Column( children: [Expanded(child: GoogleMap(initialCameraPosition: initialPosition))], ), ); } } pubspec.yaml 은 아래와 같이 되어 있습니다.name: chool_check description: "A new Flutter project." # The following line prevents the package from being accidentally published to # pub.dev using `flutter pub publish`. This is preferred for private packages. publish_to: 'none' # Remove this line if you wish to publish to pub.dev # The following defines the version and build number for your application. # A version number is three numbers separated by dots, like 1.2.43 # followed by an optional build number separated by a +. # Both the version and the builder number may be overridden in flutter # build by specifying --build-name and --build-number, respectively. # In Android, build-name is used as versionName while build-number used as versionCode. # Read more about Android versioning at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publish/versioning # In iOS, build-name is used as CFBundleShortVersionString while build-number is used as CFBundleVersion. # Read more about iOS versioning at # https://developer.apple.com/library/archive/documentation/General/Reference/InfoPlistKeyReference/Articles/CoreFoundationKeys.html # In Windows, build-name is used as the major, minor, and patch parts # of the product and file versions while build-number is used as the build suffix. version: 1.0.0+1 environment: sdk: ^3.7.2 # Dependencies specify other packages that your package needs in order to work. # To automatically upgrade your package dependencies to the latest versions # consider running `flutter pub upgrade --major-versions`. Alternatively, # dependencies can be manually updated by changing the version numbers below to # the latest version available on pub.dev. To see which dependencies have newer # versions available, run `flutter pub outdated`. dependencies: flutter: sdk: flutter # The following adds the Cupertino Icons font to your application. # Use with the CupertinoIcons class for iOS style icons. cupertino_icons: ^1.0.8 google_maps_flutter: ^2.6.0 geolocator: ^14.0.0 dev_dependencies: flutter_test: sdk: flutter # The "flutter_lints" package below contains a set of recommended lints to # encourage good coding practices. The lint set provided by the package is # activated in the `analysis_options.yaml` file located at the root of your # package. See that file for information about deactivating specific lint # rules and activating additional ones. flutter_lints: ^5.0.0 # For information on the generic Dart part of this file, see the # following page: https://dart.dev/tools/pub/pubspec # The following section is specific to Flutter packages. flutter: # The following line ensures that the Material Icons font is # included with your application, so that you can use the icons in # the material Icons class. uses-material-design: true # To add assets to your application, add an assets section, like this: # assets: # - images/a_dot_burr.jpeg # - images/a_dot_ham.jpeg # An image asset can refer to one or more resolution-specific "variants", see # https://flutter.dev/to/resolution-aware-images # For details regarding adding assets from package dependencies, see # https://flutter.dev/to/asset-from-package # To add custom fonts to your application, add a fonts section here, # in this "flutter" section. Each entry in this list should have a # "family" key with the font family name, and a "fonts" key with a # list giving the asset and other descriptors for the font. For # example: # fonts: # - family: Schyler # fonts: # - asset: fonts/Schyler-Regular.ttf # - asset: fonts/Schyler-Italic.ttf # style: italic # - family: Trajan Pro # fonts: # - asset: fonts/TrajanPro.ttf # - asset: fonts/TrajanPro_Bold.ttf # weight: 700 # # For details regarding fonts from package dependencies, # see https://flutter.dev/to/font-from-package
-
미해결ElasticSearch Essential
노드에서의 가용영역 이슈
안녕하세요지난번 노드당 샤드수에 대한 답변 감사합니다.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비용에 관한 이슈인데요. 현재 가용영역이 a~d로 총 4개이고 클러스터 방식의 노드는 5개입니다. c영역에만 두대이고 나머지 영역에는 각 1대의 노드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logstash 역시 노드마다 하나씩 총 5대이고 파티션 100개에서 컨슘하고 있습니다.이 상황에서 datatransfer 비용이 생각보다 많이 나오고 있어서 비용 효율화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현재 생각중인 방안은 노드 5대를 가용영역 3개에 할당하는 방안입니다.추가로 logstash에서 같은 노드에 있는 es 샤드에 데이터를 적재하도록 하는 방안은 안되는지 궁금합니다(kafka의 가장 가까운 복제본에서 컨슘하는 개념으로 접근했습니다 https://cwiki.apache.org/confluence/display/KAFKA/KIP-392%3A+Allow+consumers+to+fetch+from+closest+replica)혹시 es를 운영하면서 비용효율화를 진행해 본 경험을 공유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그런데 생성자를 통해서 의존관계를 없애주는게 어떤 의미가 있나요?
appConfig 에서 할일이 더 생기는 것 아닌가요?ServiceImpl을 건들지 않아도 되게 되었지만이제는 appConfig를 건들여야 하는 것 아닌가요?잘 모르겠네요 ㅠ 강좌. 관심사의 분리편
-
미해결
뭘 배워야 할까요...
전역하고 복학준비중인 학생입니다. 1학년 때 자바랑 자료구조, 알고리즘 배웠었는데 군대에 있는동안 공부를 하지 않아서 다 까먹어버렸습니다. 복학 준비 할겸 지금 자바 복습 중이고 간간히 대학에서 배운 CS지식도 복습중인데요, 이 다음엔 무엇을 배워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2학년때 C++을 배운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C++을 먼저 공부할까 고민도 하고 있는데, 차라리 지금 복습하고 있는 자바로 작은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자바를 깎아야 할 지 C++을 배워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마음속 한 구석에선 프론트가 재밌어보여서 공부하고 싶은 마음도 드네요... 너무 우유부단 한거 같습니다... 선생님들 정답을 알려주세요...1. 2학년때 C++ 배운다 했으니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구현 연습할겸 C++ 배우기2. 지금 복습중인 자바로 작은 프로젝트 만들어보기3. 내가 하고 싶은 프론트 맛 보기복학이 9월이라 시간이 많으면서도 적네용...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변경감지 로직이 실행되려면 @Transactional 이 필수인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Transactionalpublic void updateItem(Long id, String name, int price, int stockQuantity) { Item item = itemRepository.findOne(id); item.setName(name); item.setPrice(price); item.setStockQuantity(stockQuantity);} 여기서 @Transactional 이 없으면 변경감지 로직이 발생하지 않나요? @Transactional 은 두개이상의 쿼리를 하나의 논리적인 단위로 묶어줄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상황에서도 변경감지를 실행하기 위해 반드시 호출해주어야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어떤 상태를 준영속이라하는지 , 준영속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준영속이란 한번은 영속상태였지만, 현재는 영속성 컨텍스트의 관리 대상이 아닌 엔티티인데db 에 저장될떄 pk 가 생기기 떄문에 객체에 식별자가 있으면 무조건 준영속 엔티티인가요?엔티티매니저에서 꺼내서 Detached되어 식별자가 셋팅되거나 아니면 새로운 객체에 id 값만 셋팅되어 있으면 준영속 상태볼 수 있나요?왜 준영속 상태는 따로 있나요? 비영속만 있어도 되지않나요? 무슨 이점이 있나요?
-
미해결[켠김에 출시까지] UE5 다크앤다커 스타일의 익스트랙션 RPG (D1)
예습용 프로젝트에서 B_Chest와 GA_Interact_Chest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섹션 9의 다운로드에서 에셋을 가져오려고 했으나 영상에서 사용된 에셋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JWTDecodeException 에러가 나옵니다.
알려주신데로 UserControllerV1.java에 어노테이션 추가하고 재기동한 뒤 검색 했는데...로그에com.auth0.jwt.exceptions.JWTDecodeException: The token was expected to have 3 parts, but got 1.이런 에러가 나옵니다.ㅠㅠ개발자 도구에는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옵니다. UserControllerV1.java는 이렇게 작성되어 있습니다. 어떤 부분을 더 확인해야 하는지, 어떤 부분이 문제 인건지 확인 부탁드립니다.ㅠㅠ **추가로 에러내용 전체입니다.com.auth0.jwt.exceptions.JWTDecodeException: The token was expected to have 3 parts, but got 1. at com.auth0.jwt.TokenUtils.splitToken(TokenUtils.java:21) ~[java-jwt-3.12.0.jar!/:3.12.0] at com.auth0.jwt.JWTDecoder.<init>(JWTDecoder.java:36) ~[java-jwt-3.12.0.jar!/:3.12.0] at com.auth0.jwt.JWTDecoder.<init>(JWTDecoder.java:32) ~[java-jwt-3.12.0.jar!/:3.12.0] at com.auth0.jwt.JWT.decode(JWT.java:45) ~[java-jwt-3.12.0.jar!/:3.12.0] at com.example.demo.security.JWTProvider.decodedJWT(JWTProvider.java:109) ~[!/:0.0.1-SNAPSHOT] at com.example.demo.security.JWTProvider.getUserFromToken(JWTProvider.java:123) ~[!/:0.0.1-SNAPSHOT] at com.example.demo.domain.user.controller.UserControllerV1.searchUser(UserControllerV1.java:43) ~[!/:0.0.1-SNAPSHOT]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na:na]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na:na] at org.springframework.web.method.support.InvocableHandlerMethod.doInvoke(InvocableHandlerMethod.java:255) ~[spring-web-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method.support.InvocableHandlerMethod.invokeForRequest(InvocableHandlerMethod.java:188) ~[spring-web-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method.annotation.ServletInvocableHandlerMethod.invokeAndHandle(ServletInvocableHandlerMethod.java:118)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method.annotation.RequestMappingHandlerAdapter.invokeHandlerMethod(RequestMappingHandlerAdapter.java:926)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method.annotation.RequestMappingHandlerAdapter.handleInternal(RequestMappingHandlerAdapter.java:831)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method.AbstractHandlerMethodAdapter.handle(AbstractHandlerMethodAdapter.java:87)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doDispatch(DispatcherServlet.java:1089)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doService(DispatcherServlet.java:979)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FrameworkServlet.processRequest(FrameworkServlet.java:1014)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FrameworkServlet.doGet(FrameworkServlet.java:903) ~[spring-webmvc-6.1.13.jar!/:6.1.13] a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service(HttpServlet.java:56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FrameworkServlet.service(FrameworkServlet.java:885) ~[spring-webmvc-6.1.13.jar!/:6.1.13] a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service(HttpServlet.java:658)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95)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4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tomcat.websocket.server.WsFilter.doFilter(WsFilter.java:51) ~[tomcat-embed-websocket-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6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4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RequestContextFilter.doFilterInternal(RequestContextFilter.java:100) ~[spring-web-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OncePerRequestFilter.doFilter(OncePerRequestFilter.java:116) ~[spring-web-6.1.13.jar!/:6.1.13]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6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4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FormContentFilter.doFilterInternal(FormContentFilter.java:93) ~[spring-web-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OncePerRequestFilter.doFilter(OncePerRequestFilter.java:116) ~[spring-web-6.1.13.jar!/:6.1.13]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6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4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CharacterEncodingFilter.doFilterInternal(CharacterEncodingFilter.java:201) ~[spring-web-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OncePerRequestFilter.doFilter(OncePerRequestFilter.java:116) ~[spring-web-6.1.13.jar!/:6.1.13]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6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4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WrapperValve.invoke(StandardWrapperValve.java:167)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Valve.invoke(StandardContextValve.java:9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authenticator.AuthenticatorBase.invoke(AuthenticatorBase.java:483)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HostValve.invoke(StandardHostValve.java:115)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valves.ErrorReportValve.invoke(ErrorReportValve.java:93)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EngineValve.invoke(StandardEngineValve.java:7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nnector.CoyoteAdapter.service(CoyoteAdapter.java:34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service(Http11Processor.java:38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cessorLight.process(AbstractProcessorLight.java:63)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ConnectionHandler.process(AbstractProtocol.java:905)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SocketProcessor.doRun(NioEndpoint.java:1741)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tomcat.util.net.SocketProcessorBase.run(SocketProcessorBase.java:52)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runWorker(ThreadPoolExecutor.java:119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Worker.run(ThreadPoolExecutor.java:659)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askThread$WrappingRunnable.run(TaskThread.java:63)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33) ~[na:na]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1 모의문제 1 문제 3번
# your code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members.csv") df.head() #views 컬럼에 결측치가 있는 데이터(행)을 삭제하고 df.isnull().sum() #views에 결측치 4개 # print(df.shape) df = df.dropna(subset = ['views']) # print(df.shape) #f3 컬럼의 결측치는 0, silver는 1, gold는 2, vip는 3 으로 변환한 후 총 합을 정수형으로 출력하시오 df['f3'] = df['f3'].fillna(0) df['f3'] = df['f3'].replace('silver', 1) df['f3'] = df['f3'].replace('gold', 2) df['f3'] = df['f3'].replace('vip', 3) # print(df.head(20)) print(int(df['f3'].sum()))numpy 안 쓰고 이렇게 작성해도 되나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P DFS 코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 보기 먼저 혼자서 고민하며 풀어보았는데요,https://www.acmicpc.net/source/share/46676449a9414be689433f27149f744b 바이러스를 확산시킬 때 이번 문제의 경우 방문한곳을 굳이 체크하지 않고 값이 0인 지점은 모두 확산하면 되겠다고 생각해서 visited 배열 사용하여 이미 방문한 노드에 대한 확인은 하지 않았는데요, 이렇게 풀어도 괜찮은게 맞을까요?백준 제출 시 정답이 나오긴 했는데 찝찝해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디지털포렌식 입문자를 위한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급 실기 시험대비 강의(Encase/Autopsy)
14강 오톱시1 에 포하된 수업자료인 forensictool.E01이 확장자가 없어 오톱시에서 열리지 않아요
위와 같이 떠서 오톱시에서 열려고 해도 열리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ㅠㅠ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1 모의문제1 _ 문제 1에서
3사분위수 - 1사분위 수 값을 구할 때 선생님 처럼 r2, r1 변수 안 만들고 df = df[:int(len(df) * 0.7)] #70% 데이터 선택 IOQ = df['views'].quantile(.75) - df['views'].quantile(.25) print(IOQ) 이렇게 구해도 되나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DataOutputStream 의 writeUTF도 블로킹 메서드 인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복습 중에 질문이 생겼습니다 콘솔 입력 / DataInputStream의 readUTF는 입력을 받은 데이터로 호출한 쓰레드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블로킹 메서드 인 것이 이해가 쉽게 됩니다. 반면 DataOutputStream 의 writeUTF() 메서드는 반환 타입도 void이고(호출한 쓰레드에서 뭘 처리하지 않음), 서버에 메세지를 보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블로킹 메서드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검색해보니 블로킹 메서드라고 나와서 이해가 잘 안됩니다.블로킹 메서드가 맞는 걸까요? 맞다면 왜 블로킹 메서드로 설계된 걸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ervice+Repository 통합테스트 관련 질문입니다.
요즘 서비스 계층 단위테스트를 위해 모킹과 fake 객체 구현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레포지토리를 일일이 모킹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빠른 피드백이 장점인 단위테스트로 의미가 있는지 의문이 들 정도로 시간이 많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좀 더 효율적인 강사님의 방식을 따라가고 싶어 강의를 듣던 중 의문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1. 계층별 테스트 분리 기준에 대한 질문입니다.컨트롤러, 레포지토리는 단위테스트, 서비스 계층은 레포지토리 부분과 통합테스트 이렇게 분리해서 진행하셨던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서비스, 컨트롤러, 레포지토리 계층 각각 단위테스트를 작성하고 컨트롤러에서 레포지토리까지 한번 통합테스트를 작성하는 방법도 있을 것 같고, 묶어볼 방법은 몇 가지 더 있는 것 같습니다.그런데 강의에서처럼 분리했던 게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기준과 이유…. 이 분리 방식의 발견 과정이 너무 궁금하네요2. 통합테스트 DB 관련 질문입니다.서비스계층과 레포지토리 계층을 묶은 상태로 H2 같은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 테스트 속도가 상당히 느리게 나오긴 합니다. 이런 부분은 어쩔 수 없이 안고 가는 것인가요? 그리고 운영이나 개발 DB를 postgress같이 H2말고 다른 걸 사용한다고 해도, H2로 통합테스트 테스트하는게 이점이 있을까요?3. 서비스 계층 단위테스트 관련 질문입니다.혹시, 부담이 안 된다면, 서비스 계층의 단위테스트가 중요도가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시는 이유가 Fake든 Mockito를 사용한 Stub이든 데이터베이스를 흉내만 내는 테스트가 의미가 없다고 여기셔서 그런 것일까요?부족한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
로그인 시 에러가 뜹니다.
안녕하세요.아래의 질문 경우들과 비슷해서 참고하면서 확인을 해 보았는데 동일한 에러가 작동하여서 질문을 드리게 됩니다.로그인 버튼을 누를 경우 위와 같은 에러문구가 뜨게 됩니다.이럴 경우에 직접 terminal에서 'ifconfig'를 입력해서 저의 ip를 입력할 경우 해결이 된다해서 찾아보았는데 여전히 동일한 에러문구가 떠서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요청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