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order.getOrderItems() 시 필드 접근 안했는데 select문이 나가는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강의 자료에 orderItems.stream().forEach(o -> o.getItem()).getName()); // LAZY 강제 초기화라고 적혀있어서 그 위의 코드인 List<OrderItem> orderItems = order.getItems()에서는 DB에 SELECT 쿼리를 보내지 않는구나라고 이해했습니다. 근데 확인해보니 아래 코드를 PostMan으로 테스트를 해보았더니 orderItems : null 이지만SELECT절을 통해 데이터를 조회한 결과를 보였습니다.또한, order.getOrderItems()를 하지 않아도 orderItem을 조회하는 SELECT절이 나가더라구요 .. @GetMapping("/api/v1/simple-orders") public List<Order> ordersV1() { List<Order> all =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new OrderSearch()); for (Order order : all) { order.getMember().getName(); // LAZY 강제 초기화 => 예외 발생 안함 ! why? Open Session in View(OSIV) 때문에 order.getDelivery().getAddress(); // LAZY 강제 초기화 => 예외 발생 안함 ! why? Open Session in View(OSIV) 때문에 order.getOrderItems(); // ? } // 원래는 LazyInitializationException이 발생하는게 정상이지만 OSIV로 인해 발생하지 않음 return all; } 다른 질문을 참고하였을 때 David님께서 아래와 같은 답변을 해주셨습니다.안녕하세요. Jeongmin Lee님:), 공식 서포터즈 Taewon David Hwang입니다.지연로딩(Lazy Loading)은 엔티티의 애트리뷰트에 접근할 때 데이터를 가져옵니다.그러나 하이버네이트에서 지정한 기본타입에 해당되는 것들은 기본적으로 지연로딩을 허용하지 않습니다.따라서 OrderItem의 애트리뷰트인 name, price, stockQuantty 중 하나라도 접근하게 되면 기본타입에 해당하는 name, price, stockQuantity의 데이터를 모두 불러오게 됩니다.David 선생님 의견에 따르면 엔티티의 에트리뷰트에 접근해야 데이터를 가져오는거 같은데 왜 위 사진같이 DB에 SELECT절을 호출 해 데이터를 가져오는건가요?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안녕하세요 "섹션2 8. Consumer간 작업 분배" 에서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섹션2. 8번 강의 11분 13초 쯤에 하시는 말씀에 의문이 들어 질문글 남깁니다. 이 부분 설명하실때 ' 컨슈밍을 할때 파라미터로 받은 초를 슬립을 준 뒤에 소진을 하겠다' 라고 하셨는데, 메시지를 받은 순간 이미 소진이 시작 된 것이고 각각 2초 4초 5초뒤에 소진이 끝나는 것 아닌가요? 조금 헷갈려서 질문 드립니다.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bootRun 실행 문제
1. 현재 학습 진도몇 챕터/몇 강을 수강 중이신가요? -> 2-4 설정 부분 듣고 있습니다! 2. 어려움을 겪는 부분어느 부분에서 막히셨나요?-> Caused by: com.mysql.cj.exceptions.WrongArgumentException: !AuthenticationProvider.BadAuthenticationPlugin!bootRun 실행 중 계속해서 !AuthenticationProvider.BadAuthenticationPlugin! 예외가 발생하면서 실패가 뜹니다. 인터넷 검색했더니 MySQL 사용자 인증 plugin을 mysql_native_password 로 변경하는 방법이 있어서 변경해보았지만 계속해서 해결하지 못해서 문의 드립니다.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 Part 1 : 절차적 프로그래밍
"인스턴스" 용어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인스턴스 용어 사용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강의 내용 중 int a; (섹션1. Windows OS 사용에 관한 정리 - 16:30초쯤)"a에 대해서 변수라고도 하지만 인스턴스 라고도 한다. integer 형식의 인스턴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라고 설명을 해주셨는데요. 제가 책에서 학습한 내용(자바의정석1권, p.232)으로는 "어떤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를 그 클래스의 인스턴스(intstance)라고 한다" 설명하고 있고. 예를 들어, 아래 코드와 같은 경우 "bus는 Car 클래스의 인스턴스 다"라고 일반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Car bus = new Car ( ); 앞서 설명해주신 int a;에서 a를 인스턴스, integer 형식의 인스턴스라고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인지? 아니면 넓은 의미로써 사용이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SA 환경에서 도메인 모델의 정의 범위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토비님.도메인 모델의 정의 범위에 대해 토비님의 생각이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현재 저는 MSA 환경에서 여러 시스템이 나뉘어 있는 구조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보통 팀에서는 “우리가 생성·저장하는 데이터 구조”를 도메인 모델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은데요,저는 도메인 모델의 범위가 그보다 더 넓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문시스템이 있다고 할 때, 주문시스템은 주문데이터를 생성/관리하는 책임을 지겠지만 이를 위해서여러 시스템(상품, 프로모션, 결제 등)에서 데이터를 조회해 조합하여 업무 규칙을 수행하는 책임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시스템이 생성·관리하는 개념이라 하더라도,주문시스템 내부에서의 목적과 규칙에 따라 주문에 맞는 방식으로 추상화된 모델을 정의하는 것이바로 도메인 모델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즉, 외부 개념이라도 주문시스템의 책임 하에 있는 로직과 규칙이 있다면, 그것은 주문의 도메인이다라는 관점입니다. 이와 같은 관점에 대해 토비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도메인 모델 정의의 기준에 대해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localhost:8080/hello일때 Whitelabel Error Page가 뜹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localhost:8080/hello를 가면 이렇게 뜹니다ㅜㅜ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컨트롤러에 @PostMapping 없어도 되나요?
createMemberForm.html내의<form action="/members/new" method="post">를 보면 post메소드로 호출하고 있는데,MemberController.java에는@GetMapping("/members/new")만 있네요.@PostMapping("/members/new")이 맞지 않나요?회원가입 클릭하니 주소표시줄에 http://localhost:8080/members/new라고는 뜨는데, 500에러가 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printf
18:26java 출력함수로 System.out.printf 는print 와 동일하다고 보면 되나요?System.out.print 와 System.out.printf 의 차이가 있어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객체와 클래스
제가 객체지향 처음배울때 이해하기 쉬웠던 비유를 적어놓을게요 클래스는 설계도와 같습니다 안에 어떤 데이터와 기능이 들어갈지 정의만 합니다 건축에서 건축 설계도와 같습니다 어떤 자재와 공간이 있을지 정의만 합니다 ( 설계도를 그려놨다 해서 실제 건축물도 생기는건 아닙니다 )객체는 건축물과 같습니다 설계도를 바탕으로 실제로 구현된 대상입니다.(네, 객체는 클래스를 기반으로 만듭니다)즉, 객체는 클래스를 기반으로 구현된 구체화된 실체입니다. 그래서 클래스 정의 -> 객체 생성 이 절차를 따릅니다. 한 설계도를 기반으로 여러 건축물을 만들수 있듯이 클래스 하나를 설계하면 여러 객체를 만들수 있습니다 클래스 = 설계도객체 = 구체화된 실체 감사합니다.
-
미해결클린 코더스: 실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TDD 마스터 클래스
13강, 책임을 나누는 기준
3분 43초경, 책임을 나누는 부류에서"누가 해당 메서드의 변경을 유발하는 사용자인가"가 기준이 된다고 하셨는데,메서드의 변경을 유발한다는 게해당 메서드를 누가 호출하느냐? 어떤 사용자가 이 메서드를 사용하냐? 이렇게 이해하면 되나요?메서의 변경을 유발한다는 의미가 해당 메서드를 이용한다는 의미인지? 정확히 메서드의 변경을 유발한다는 점이 무슨말인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이론 용어는 pdf에 대부분 한글로 적혀있는데영어 스펠링으로 외우지 않아도 괜찮을까요?한글로도 된다면 pdf에 있는 용어 발음 그대로 외우면 될까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테스트 준비 과정에서 서비스 메서드 호출
@Test void find() { Member member = memberRegister.register(MemberFixture.createMemberRegisterRequest()); entityManager.flush(); entityManager.clear(); Member found = memberFinder.find(member.getId()); assertThat(member.getId()).isEqualTo(found.getId()); }현재 코드에서 위와 같이 테스트에서 회원 저장을 위해 memberRegister.register를 호출하고 있습니다.그런데 memberRegister.register에는 단순히 회원을 저장하는 것 외에도 이메일 전송 같은 부가적인 로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부가적인 로직때문에 테스트 속도가 느려진다던가, 테스트가 실패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이처럼 테스트 준비에 필요하지 않은 부가 로직까지 수행되는 상황에서, memberRegister.register를 테스트 준비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지 토비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도메인 모델에서의 검증과 애플리케이션 레벨 검증의 경계
도메인 모델에서의 검증과 애플리케이션 레벨 검증의 경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현재 도메인 모델에서는 이메일 형식이 올바른지, 닉네임이나 비밀번호가 null이 아닌지 같은 최소한의 조건만 검증하고 있습니다. 반면, 비밀번호가 8자 이상인지, 닉네임이 5자 이상인지 같은 검증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처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닉네임이 5자 이상이어야 한다 같은 규칙도 도메인 규칙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이 들어 해당 검증 역시 도메인 모델에서 처리하는게 맞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드는데,도메인 모델에서의 검증과 애플리케이션 레벨 검증의 경계는 어디까지 두는 게 좋은지 토비님 의견이 궁금합니다.말씀하신것을 토대로 예측해 봤을때 형식이나 정책적 요구사항(변경 가능성이 있는 규칙)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도메인의 본질적 불변 조건은 도메인에서 검증하는 걸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3년 2회 3회 JAVA 문제 18분26초
compute(num-1) + compute(num-3)여기서 출력값이7-1=C(6) // 7-3=C(4)6-1=C(5) // 4-1=C(3) 여기까진 알겠는데풀이과정에 C(5) C(3) C(3) C(1)이 파랑색 숫자는 어떻게 계산돼서 나온거죠?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3년 2회 C언어 킬러문제 33분47초 질문
is what MAX_SIZE가 10인데 idx 0~7까지 적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0~9까지 적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3년 2회 C언어 연산자 18분30초 질문
switch 문인데for문 안에 초기식 조건식 증감식이 있는데for (int i = 0 ~~) {sum + =n[i]; <-----요기를 건너띄고 바로 switch 로 가서 계산하는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querydsl 설정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auto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2.0'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4' } group = 'study'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7'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 롬복 사용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 교안에 나온 대로 설정해 준 상태인데 현재 q타입 클래스는 생성 되었지만 intellij가 이를 정상적인 클래스로 인식하지 못해서 QHello를 import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동적쿼리를 이용한 List로 가져올 때의 캐쉬??
제가 강의에서 이해한 바로는 example/1 과 같은 단일 리턴값에는 캐쉬를 적용해서 db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하지만, search?title=딩코&tag=백엔드…” 와 같은 복합 검색 조건을 기반으로, 백만 건 이상의 데이터 중에서 동적 쿼리를 사용해 10개씩 페이지네이션하여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쿼리마다 값이 달라지니 미리 레디스에 값을 반영할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DB에서는 10개의 값을 리턴시키는데, 이런 상황에서는 캐시를 사용할 수 없는 건가요? 반드시 인덱스를 통해서만 성능을 확보해야 하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07:21-정적변수, 정적메서드(static): 설명이 조금 이상합니다
아래 동일한 질문이 있어서 봤는데 그냥 암기하라고 하셔서 다시 질문드려봅니다. 일단 설명이 틀린 것 같은데 자세하게 다시한번 봐주세요.(7:12)(설명중)먼저 정적메서드에서 인스턴스변수를 접근하려고 한다 -> ??? 정적메서드에서 인스턴스메서드를 접근중인거 같은데요?설명이 명확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려봅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register() 메서드명이 모호하게 느껴집니다.
Member#create() 메서드를 register로 공통언어를 바꾸셨는데, 뜻이 모호해진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register(등록)이라는 단어는 생성과 영속화라는 두가지의 행위를 함축한 단어로 느껴집니다. 따라서 MemberService#register()는 너무 자연스럽습니다. 실제로 Member를 생성한 후에 MemberRepository를 통하여 영속화까지 하는 내용으로 구현되어있습니다.하지만 Member#register()는 이와 다르게 Java 객체를 생성하기만 하는 것이라, 메서드명과 실제 동작이 불일치한다고 느껴집니다. 하지만 또 동시에 도메인 모델을 글로 작성하는 과정에서 '멤버를 등록한다.' 라는 말을 쓰는 것은 자연스럽습니다. 그 구현이 코드적으로 Member에 있는 것만이 부자연스럽습니다.이런 경우에는 Member라는 객체만으로 도메인 모델을 온전히 표현해내기가 어려운 것일까요? 해당 모델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MemberService 같은 코드가 꼭 필요한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