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곰책으로 쉽게 배우는 최소한의 운영체제론
User mode와 관련하여 질문있습니다.
선생님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선생님의 컴퓨터 공학 기초 강의를 듣고 운영체제 강의로 넘어왔습니다.컴퓨터 공학 기초 강의에서는 보지 못했던 User mode에서 App과 Service 계층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App Layer에 있는 Process가 Service Layer에 있는 API를 호출한다고 하셨습니다.c언어에서 printf같은 함수들이 모여있는 lib 폴더가 있는 곳을 Service Layer로 보면 되는건가요?그리고 App과 Service Layer가 너무 생소한데 그냥 무조건 User mode에 저런게 있다고 외우면 될까요?
-
미해결운영체제 공룡책 강의
퀴즈 7번의 답에 대한 질문입니다.
Quiz 7의 답안은 4로 표기되어 있습니다.atomic_variable 명령어는 변수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적 명령어교수님이 수업 시간에 설명하신 내용 중 일부를 살펴보면, "An atomic variable can be used to ensure mutual exclusion in situations."라는 내용이 있는데, mutual exclusion에 대해서 설명하실 때,"If process P_i is executing in its critical section, then no other processes can be executing in their critical section."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즉, atomic variable은 mutual exclusion을 ensure하기 위해 다른 프로세스(혹은 쓰레드)가 critical-section에 있는 변수에 접근하는 것을 제어(handle)하는 하드웨어적 명령어로 해석할 수 있지 않을까요? 답안에 대한 상세한 해설을 원하는 질문은 아니지만, 저처럼 위 선지를 해석하면 어떻게 되는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강의 3분47초
안녕하세요.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강의 3분47초에서 강사님이 "운영체제의 전략에 따라서 우리의 프로세스가 실행될 텐데 이를 CPU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하시면서 설명을하시는데요. 이 부분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CPU가 메모리에 올라와있는 프로세스 내의 코드를 실행 및 연산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신 것인가요?그리고 이 부분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은데 어떤 검색어로 구글링해야 이 과정에 대한 설명을 더 자세히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인터넷 계층과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해당 패킷은 전기신호로 랜선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되고, 목적지 IP에 도달합니다. 라고 설명 하셨습니다. 그럼 이부분이 인터넷 계층과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을 거치는 것이 맞나요??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패킷이란
패킷은 헤더와 데이터가 합쳐져 있는 형태를 이야기하는 것인가요?
-
해결됨곰책으로 쉽게 배우는 최소한의 운영체제론
프로세스 생성, 복사 강의 관련
안녕하세요 선생님.좋은 강의 유익하게 듣고 있읍니다. 프로세스 생성, 복사 강의중에생성은- (비유하자면) 주택을 짓기 위하여 토지를 준비하고 건축도면부터 완공까지 새롭게 진행하는 것fork- 기존에 갖고있던 건축도면으로 새 토지위에 건물을 짓는 것exec- 기존 살던 사람이 나가고 새로 들어오는 사람이 내부 인테리어만 변경 하는 것정도로 일단 받아들여도 될까요!제가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나 추가적으로 생각해야 할 것이 있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곰책으로 쉽게 배우는 최소한의 운영체제론
교재 질문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재를 구매하려고 찾아보던 중, 곰책 신판이 출간 되었던데 이 강의를 듣기 위해서는 구판을 구매하는게 나을까요?
-
미해결운영체제 공룡책 강의
이해하고 있는것이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ㅠㅠ
안녕하세요. 교수님!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매개역할을 해주는 소프트웨어를 우리가 운영체제라고 한다고 알려주셨는데요!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말이 무슨 말인지 이해를 잘 못하겠습니다..
-
미해결운영체제 공룡책 강의
타우시간
이 식에서 처음 식을 구하면 Tn=10 이라서T0에 대해 구하면 T(n+1) 은 10이 되는거 아닌가요?영상에선 앞의 a*Tn 의 Tn 은 10 이고 (1-a)*Tn 의 Tn 은 6으로 하시는것 같은데둘다 같은 Tn 인데 왜그런건가요?
-
해결됨넓고 얕게 외워서 컴공 전공자 되기
강의에서 말씀하시는 메모리 공간
선생님. 어렵지만 재밌게 강의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국가와 국민으로 이해하는 컴퓨터 세상' 강의에서 'Program을 실행했을 때 메모리 공간을개별적으로 갖는 Process가 국민이 되는거다'라고 말씀해주셨는데 이는 Program이 OS에의해 실행되어 Process가 될 때 OS가 Process에게 할당해주는 전산 자원인 RAM이라고 보면 되는걸까요?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컴파일 과정
컴파일 과정에서 생기는 .i .s .o 의 파일을 직접 열어보고 싶은데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
해결됨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노션 자료 이메일 잘못 입력했어요..
cs 면접강의랑 코딩테스트 all in one 강의 두 개를 수강중인데,제가 노션을 구글계정을 사용중인데, 구글폼에 실수로 네이버 이메일을 작성해버려서 네이버로 로그인해야지만 자료를 볼 수가 있네요...죄송한데 구글 계정으로 다시 보내주실 수 있나요..? 구글 이메일은 두 강의 모두 구글폼에 다시 작성했어요...ㅠㅠ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동기화 문제
여기서 강사님이 count 를 cpu 로 읽어와서 연산을 하고count 를 저장해야하지만 저장하지 못하고 context switching 이 일어날 때 동기화문제가 생긴다고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어디서 cpu 로 읽어오는 건지 어디다가 저장해야 하는 데 저장하지 못한건 지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멀티쓰레드 간에 context switching 이 일어 날 때도 멀티프로세스 환경과 동일하게 커널에 있는 pcb 를 의존하는건가요??
-
미해결운영체제 공룡책 강의
퀴즈1 1번 질문합니다 !
퀴즈 1의 1번 질문합니다 ! 4지선다형 문제의 답 하나를 알려주었는데 왜 받은 정보량이 2인가요 ? 이해를 못해서 질문 올립니다 !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프로세스 관련 질문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강사님 프로세스 관련 질문 드립니다. 프로세스란 강사님이실행파일(program)이 memory에 적재되어 CPU를 할당받아 실행되는 것을 process라고 합니다. 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하지만이 부분을 보시면 프로세스의 상태에 준비라는 것이 있습니다.또는 봉쇄 라는 것도 있네요 그렇다면 프로세스란 실행파일(program)이 memory에 적재되어 CPU를 할당받아 실행되는 것 이 아니라 실행파일(program)이 memory에 적재되어 cpu 의 할당을 받을 수 있는 것 이 맞는 거 아닌가요?? cpu 는 하나의 프로세스만 연산이 가능하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 만약 프로세스의 정의가 실행파일(program)이 memory에 적재되어 CPU를 할당받아 실행되는 것 이라면 프로세스는 하나의 cpu 기준 1개만 존재해야하는 것인가요??결론은 프로세스의 정의 설명중에 실행파일(program)이 memory에 적재되어 CPU를 할당받아 실행이라고 설명해주셨는데 여기서 실행이라는 단어가 이해가 안갑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페이징&가상메모리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가상메모리 부분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글 올립니다.1.페이징 기법에서 가상메모리를 일정한 크기로 나눈 블럭이 페이지, 물리메모리를 일정한 크기로 나눈 블럭이 프레임이라고 하셨는데, 페이지와 프레임의 크기는 같나요?1-1. 만약 같다면 그 크기는 영구적인가요?1-2. 만약 다르다면 페이지 크기는 프레임 크기보다 같거나 작아야 할텐데 그건 어떻게 제어/관리하나요? 2. 추가 공부를 하다가 가상메모리와 가상 주소 공간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프로세스 실행 시 각 프로세스는 가상 주소 공간을 가지며 0번지부터 시작한다고 하는데, 이 각각의 가상주소공간이 가상 메모리에 올라가는 건가요?2-1. 만약 그렇다면 가상메모리를 하나라고 생각해야 하나요, 아니면 여러개(프로세스 수만큼)라고 생각해야 하나요? 가상메모리라는 개념 자체가 추상적이어서 헷갈립니다. 2-2. 만약 여러개라면 페이지는 가상메모리를 일정한 크기로 나눈 것인데, 각각의 가상메모리를 모두 일정한 크기로 나누는 건가요? 아니면 각 프로세스마다 페이지의 크기도 다른가요? 가상메모리가 말 그대로 가상의 것이라 실체가 없어서 그런지 개념이 너무 헷갈립니다ㅠㅠ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페이징(배치정책) CPU에 논리주소를 물리주소로 전달해 줄때 계산 단위
안녕하세요.CPU에서 논리주소 0x1000번을 요청을 했을때 메모리 관리자를 통해 물리주소로 반환된 값이2000이라고 가정을했을때0x2000번을 말하는건가요 아니면 10진수 2000을 말하는 건가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노션 전자 책 동영상 문제
강사님 원래 노션 전자 책에 있는 동영상들이 다 볼 수가 없는건가요?? 몇개는 보이고 몇개는 안보여서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JSON으로 사이트맵
xml보다 JSON 형식이 더 가볍고 좋은 것 같은데 JSON 형식으로는 sitemap을 만들 수는 없나요??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브라우저 렌더링 부분 교재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우선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ㅎㅎ..브라우저 렌더링 관련되어 의문이 생겨 질문을 남겨보니 시간 여유있으실 때 답변해주시면 좋겠습니다.렌더 트리? 렌더 레이어 ?? 렌더객체??짧게 브라우저 렌더링 관련하여 공부를 하고 인강을 들으면서 다시 복기를 하였을 때 렌더레이어라는 말을 처음 들어보는 것 같아 추가적으로 정보를 찾아보려고 browser render layer 와 같은 키워드를 찾아보았습니다. [Naver D2 - 하드웨어 가속에 대한 이해와 적용] 글을 발견하였고 아래와 같은 설명이 있었습니다.DOM 트리: HTML 웹 페이지를 파싱한 트리로, HTML 문서의 각 요소를 쉽게 처리(추가, 삭제 등)하기 위하여 브라우저의 엔진이 사용하는 트리다. RenderObject 트리: DOM 트리로부터 만들어지는 트리로, DOM 트리의 노드 가운데 실제 화면에 표현되는 노드만으로 구성된 트리다. RenderLayer: 브라우저의 엔진이 하드웨어 가속 등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논리적인 레이어로, 각 RenderObject의 속성에 따라 RenderLayer에 할당된다. GraphicsLayer: 하드웨어 가속 처리를 위한 물리적인 레이어로, 레이어별 RenderObject를 GraphicsLayer 단위로 렌더링한 뒤 최종적으로 GPU를 통해 합성된다. 그리고 PDF 기준 150~151번째 페이지에 아래와 같은 코멘트가 있습니다. Q. 렌더객체와 렌더레이어는 1:1 대응일까요?- NO : display:none으로 사라지는 노드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하지만 DOM 트리와 렌더트리는 1:1대응이 됩니다. 이렇게 렌더트리가 생성된 후..제가 이해한 바로는 위 D2에서 이야기하는 RenderObject Tree 를 렌더트리라고 명명 하신 것 같습니다.(아니면 저의 이해력부족인 것 같습니다 🥲)DOM트리에서 렌더트리(RenderObject Tree)를 생성할때 이미 font-size의 상속 및 display:none에 해당하는 DOM 객체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지고 그렇게 된다면 1:1 대응이 되지 않는것이 맞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문의를 드립니다!그렇다면 DOM트리와 렌더트리(Render Object Tree) 렌더레이어(Render Layer) 그 어느것도 1:1대응이 되지 않는 것이 아닐까요?질문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