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ppearance 에서 번외로 알려주신 설정 적용하면 작동 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기본 설정인 Gradle로 할때는 문제없는데, 번외로 알려주신 설정인 인텔리제이로 돌리게 되면 스프링부트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해결 방법이 있나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compose.yml 파일 질문
안녕하세요 토비님처음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compose.yml 파일이services: mysql: image: 'mysql:latest' environment: - 'MYSQL_DATABASE=mydatabase' - 'MYSQL_PASSWORD=secret' - 'MYSQL_ROOT_PASSWORD=verysecret' - 'MYSQL_USER=myuser' ports: - '3306' 이렇게 설정되어있는데 저기서 데이터베이스 이름이나 user 정보를 변경하면 빌드가 되지않습니다.저 상태 그대로 놔두면 빌드는 되는데 인텔리제이의 데이터베이스 탭을 이용해서 접근해보면 splearn(제경우에는 이름을 변경하지 못했으니 아마 mydatabase)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지 않고 Server Objects라는 폴더 하나만 존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iterm 설정 문의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cat .sdkmanrc로 file을 출력할 때 줄 번호와 같이 이쁘게 정돈되어 출력되는 것을 보고 기능을 찾아보고 있는데 무엇인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 글에서 여쭤봅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순수 jdbc, jdbc 템플릿 ,통합 테스트할때 결과 주소값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복습 할겸, 새로운 헬로우 스프링을 만들어서 다시 영상을 보면서 치고 있었습니다.그리고 나서 테스트 케이스 만드는 부분이 잇었는데, 여기에서 저는 그냥 하는 김에 전부다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자! 라는 생각이 들어서 만들었습니다.그리고 나서 통합 테스트 영상까지 따라 치고 나서,(메모리 테스트 케이스를 복사 붙여 놓기를 한다음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Autowired는 추가 햇음) 테스트 케이스를 실행햇는데테스트 케이스에서 노랑색 에러 메시지가 뜹니다. 이렇게요. 그래서. 전에 만든 helloSpring어떤가 시범을 해봤는데(코드를 똑같이 완전히 복사 붙여 놓기 하고 코드에 문제 없는지 확인.)잘 되더 라고요.근데. 빈 을 안 건드린게 생각나서 jpa템플릿에서 jdbc로 바꾸니 똑같이 오류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전에는 getId로 비교해서 테스트 케이스를 통과한 것 같습니다.)(jpa 메모리 에서 통합 테스트 한것) 여기서 궁금증이왜 jdbc에서는 객체의 주소값 이 다른지 알고싶습니다.테스트에서는 뭐 알수가 없더라고요.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빈으로 주입하지 않고 new로 객체 생성해도 되는데, 왜 ThreadLocal을 사용하나요?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알기 쉽게 알려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스레드로컬은 언제 적용하는지 궁금합니다.아래와 같이 빈으로 주입받지 않고 new 로 객체를 생성해도 상관없지 않나요? 파라미터로 넘기지 않으려고 빈으로 등록한다음 스레드로컬 변수를 도입하는 것인가요~? @GetMapping("/v2/request") public String request(String itemId) { HelloTraceV2 trace = new HelloTraceV2();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실시간 데이터셋에 배치를 돌리는 예시가 궁금하다.
아래 설명에서 실무에서 어쩔 수 없이 실시간으로 변경된 데이터셋에 배치 처리를 한 사례를 알고싶다. "잠깐! 킬구형, JpaPagingItemReader의 문제가 아니라 실시간 데이터셋에 배치를 돌리는게 잘못된거 아냐?” 이상적으로는 맞는 말이다. 배치는 보통고정된 입력 데이터셋을 대상으로 사용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어쩔 수 없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데이터셋에 대해서도 배치 처리를 해줘야 할 때가 있다. 이럴 때는 offset 기반 페이징은 사용하지 않도록 하자.
-
미해결옆집 개발자와 같이 진짜 이해하며 만들어보는 첫 Spring Boot 프로젝트
향후 강의 일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미리 1탄부터 1.5탄 구매했고요, 2탄도 구매해서 수강예정입니다, 강의가 넘 재밌고 이해가 쉽습니다! 강사님이 웃으실 때 저도 덩달아 따라 웃게되네요 ^___^;;앞으로 MSA 기반 Spring Cloud와 MSA 인프라 구현을 위한 도커 및 쿠버네티스도 강의 신청 드려도 되는 지 문의드립니다!현재 강사님의 현업 업무 경험으로 MSA 와 Spring Cloud가 백엔드 취업에 어떠한 도움이 되는 지 궁금합니다!그리고 JPA vs MyBatis 중에 현재 백엔드 취업 시장에서 강사님의 Pick이 어떠한 지 궁금합니다! 모든 기술을 통합하고 융합한 백엔드 취업용 초보 신입 개발자 포트폴리오용 프로젝트 강의를 언제쯤 출시해주시는 지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ControllerAdvice와 Controller 이후 계층에서 발생하는 예외들
ControllerA - ServiceA - RepositoryA위의 계층끼리 서로 연관되어있고 ControllerAdvice의 대상은 글로벌 컨트롤러이고 모든 예외를 @ExceptionHandler로 잡아놓았을 때,Q1. ServiceA나 RepositoryA에서 사용자예외 또는 자바,스프링이 제공하는 예외가 발생했을 때 따로 try-catch 같은 방법으로 예외를 처리하지 않으면 ControllerAdvice가 처리해주나요?Q2. 만약 처리해준다고 하면, 컨트롤러의 핸들러까지 예외가 역으로 전달되는 순간에 ControllerAdvice가 처리해주는 방식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spring security 6.3에서는 HttpSecurity가 만들어지기 전 WebSecurity가 먼저 만들어지는게 맞나요??
저는 그래도 최신버전으로 테스트 하면서 비교를 해가며 학습하는게 좋겠다 싶어 학습중입니다.현재 springboot 3.5으로 학습중이며 security는 6.3인것 같습니다.그런데 학습 중 바뀐부분이 있는것 같아 확인 부탁 드리고 자 글을 남깁니다. 아래 내용이 맞는지 알고 싶어요..ㅠㅠ 🍜 비유로 설명: "라면 공장"🥣 Spring Boot 3.2 (옛 구조)**HttpSecurityConfiguration**이 먼저 출근해요"물 끓이고, 면 넣고, 스프 넣고" 직접 다 해요마지막에 포장(= SecurityFilterChain)도 본인이 함즉, 한 사람이 보안 설정 전체를 다 하는 구조🍱 Spring Boot 3.5 (새 구조)**WebSecurityConfiguration**이라는 총괄 매니저가 먼저 출근이 사람이 여러 명의 담당자 (HttpSecurity 설정)에게 일을 시켜요그리고 포장은 SecurityFilterChain으로 조립해서 내보냄즉, 분업된 구조 — 공장은 커졌고, 매니저가 통제함 🔍 왜 이런 변화가 있었을까?이유설명설정이 너무 복잡해졌음HttpSecurityConfiguration 혼자 하다 보니 커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움커스터마이징이 어려웠음사용자 정의 체인 추가가 어렵고 제한적이었음다중 체인 지원 부족API별 다른 보안 적용이 힘들었음 (/api/**, /admin/**)새 구조가 더 유연SecurityFilterChain을 빈으로 만들면 순서, 조건, 분리 모두 명확해짐🧠 구조 비교 요약항목Spring Boot 3.2 (Security 6.2)Spring Boot 3.5 (Security 6.3)먼저 실행HttpSecurityConfigurationWebSecurityConfiguration중심 클래스HttpSecurityConfigurationWebSecurityConfiguration책임 방식거의 혼자 다 함분업 (매니저 + 여러 체인)구성 방식내부적으로 HttpSecurity 설정외부에서 SecurityFilterChain 등록유연성다중 체인 어려움다중 체인, 조건부 설정 매우 쉬움✅ 결론Spring Boot 3.2에서는 여전히 옛 구조(약간의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잔재)를 끌어와서→ HttpSecurityConfiguration이 보안 설정의 진입점 역할을 했고,Spring Boot 3.5에서는 완전 리팩토링된 구조라서→ WebSecurityConfiguration이 보안 설정의 시작점(매니저)이 되었어요.
-
해결됨치킨값으로 시작하는 Spring CRUD (With Kotlin)
MySQL 연결 문제
안녕하세요! 강의를 보면 콘솔 창에 DB 연결된 부분이 나오는데 처는 아래처럼 나오는데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이 부분부터 막히니 다음으로 넘어갈 수가 없습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atabase JDBC URL [Connecting through datasource 'HikariDataSource (HikariPool-1)'] Database driver: undefined/unknown Database version: 8.0.42 Autocommit mode: undefined/unknown Isolation level: undefined/unknown Min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 Max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
-
해결됨이거 하나로 종결-스프링 기반 풀스택 웹 개발 무료 강의
몇가지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풀스텍 강의라서 더 좋은거 같은데, 메일로 알람을 받았는데 선생님 강의 25%할인은 언제까지인가요? 지금 유료 강의 25%해서 24000원대 할인 기간이 안나와 있어서 기간이 궁금합니다. 아직 들어보지 못해서 무료 강의 한번 들어보고 유료강의도 진행하고 싶어서요 그리고 프로그램은 이클립스만 사용하시는거 같은데, 저는 인텔리제이 사용중인데 프로그램이 달라서인텔리제이 사용자도 괜찮을까요?
-
미해결Spring AI 실전 가이드: RAG 챗봇 만들기
1
1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unit4 에러 (org.junit.Test;)
Junit4 org.junt.Tes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작동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아래는 에러입니다.No matching tests found in any candidate test task. Requested tests: Test pattern jpabook.jpashop.service.MemberServiceTest in task :test * Try: >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 Deprecated Gradle features were used in this build, making it incompatible with Gradle 9.0. You can use '--warning-mode all' to show the individual deprecation warnings and determine if they come from your own scripts or plugins. For more on this, please refer to https://docs.gradle.org/8.11.1/userguide/command_line_interface.html#sec:command_line_warnings in the Gradle documentation. BUILD FAILED in 493ms 5 actionable tasks: 1 executed, 4 up-to-date
-
미해결코틀린 문법부터 실무까지 (실전 자바->코틀린 변환)
@MockK에서 null을 할당하는 이유?
37강 5분 11초에서 "처음에는 null로 되어있지만 값을 한 번 세팅할 수 있게 해주고 싶다."라고 하셨는데처음부터 null을 할당하지 않으면 lateinit을 사용 안 할 수도 있는 거 아닌가요?테스트코드에 대한 이해가 하나도 없어서 고른 강의인지라 질문의 깊이가 너무 없지만 답변주시면 감사합니다!!
-
해결됨Spring WebFlux + LLM 실전 구현
다음 강의는 언제 나올까요?
안녕하세요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혹시 다음 강의 일정 계획이 나온게 있을까요 ?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외부 트랜잭션에서 isNewTransaction이 false로 나오는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SpringBootTest class MemberServiceTest { @Autoworied lateinit var memberService: MembersService @Test fun get() { memberService.get(1L) } }@Service class MemberService( private val txManager: PlatformTransactionManager, )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fun get(id: Long) { val tx = txManager.getTransaction(DefaultTransactionAttribute()) println("isCurrentTransactionReadOnly()=${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CurrentTransactionReadOnly()}") println("isActualTransactionActive()=${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println("isNewTransaction()=${tx.isNewTransaction()}") // get } } 제가 기대한건isNewTransaction = true인데요 -> 가장 처음 호출된 @Transactional이 있는 service 메서드이기 때문에 그런데테스트 코드로 실행해도 그렇고, API로 get 메서드가 호출되도록 해봐도 그렇고모두 isNewTransaction = false 로 나옵니다. 내부 트랜잭션이 아니라 외부 트랜잭션이라고 생각했는데 왜 false일까요.... 09:54:40.059 [Test worker] DEBUG o.s.o.j.JpaTransactionManager - 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 [com.application.service.member.MemberService.get]: PROPAGATION_REQUIRED,ISOLATION_DEFAULT,readOnly 09:54:40.062 [Test worker] DEBUG o.s.o.j.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16208286<open>)] for JPA transaction 09:54:40.075 [Test worker] DEBUG o.h.e.t.i.TransactionImpl - On TransactionImpl creation, JpaCompliance#isJpaTransactionComplianceEnabled == false 09:54:40.075 [Test worker] DEBUG o.h.e.t.i.TransactionImpl - begin 09:54:40.081 [Test worker] DEBUG o.s.o.j.JpaTransactionManager - Exposing JPA transaction as JDBC [org.springframework.orm.jpa.member.HibernateJpaDialect$HibernateConnectionHandle@486e4af6] 09:54:40.083 [Test worker] TRACE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com.application.service.member.MemberService.get] 09:54:40.084 [Test worker] DEBUG o.s.o.j.JpaTransactionManager - Found thread-bound EntityManager [SessionImpl(16208286<open>)] for JPA transaction 09:54:40.084 [Test worker] DEBUG o.s.o.j.JpaTransactionManager - Participating in existing transaction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CurrentTransactionReadOnly()=true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true outer.isNewTransaction()=false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이 나오는데 09:54:40.084 [Test worker] DEBUG o.s.o.j.JpaTransactionManager - Participating in existing transaction 이 로그도 나옵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init(B Builder), configure(B builder) 에 대하여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수업 내용을 보면 6:00 시간대의 수업자료를 보면 SecurityConfigurer에서 init(B Builder), configure(B builder)을 호출한다고 나와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소스코드를 보면 아래와 같은데, 파라미터를 보면 Builder 타입이 아닌, 파라미터를 넘기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Override protected final O doBuild() throws Exception { synchronized (this.configurers) { this.buildState = BuildState.INITIALIZING; beforeInit(); init(); this.buildState = BuildState.CONFIGURING; beforeConfigure(); configure(); this.buildState = BuildState.BUILDING; O result = performBuild(); this.buildState = BuildState.BUILT; return result; } }확인 부탁드려도 될까요?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생성 안됨
로그는 잘 나가는 것 같은데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해보면 테이블이랑 데이터가 안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ㅠ 그리고 ddl-auto 모드도 none 으로 바꿔봐도 계속 같은 로그가 나옵니다.(테이블 생성 및 drop) 로그 첨부할게요.> Task :compileJava UP-TO-DATE > Task :processResources UP-TO-DATE > Task :classes UP-TO-DATE > Task :compileTestJava UP-TO-DATE > Task :processTestResources UP-TO-DATE > Task :testClasses UP-TO-DATE 19:41:14.516 [Test worker] INFO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AnnotationConfigContextLoaderUtils -- Could not detect default configuration classes for test class [jpabook.jpashop.MemberRepositoryTest]: MemberRepositoryTest does not declare any static, non-private, non-final, nested classes annotated with @Configuration. 19:41:14.568 [Test worker] INFO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 -- Found @SpringBootConfiguration jpabook.jpashop.JpashopApplication for test class jpabook.jpashop.MemberRepositoryTest 19:41:14.668 [Test worker] INFO org.springframework.boot.devtools.restart.RestartApplicationListener -- Restart disabled due to context in which it is running . ____ _ __ _ _ /\\ / ___'_ __ _ _(_)_ __ __ _ \ \ \ \ ( ( )\___ | '_ | '_| | '_ \/ _` | \ \ \ \ \\/ ___)| |_)| | | | | || (_| | ) ) ) ) ' |____| .__|_| |_|_| |_\__, | / / / / =========|_|==============|___/=/_/_/_/ :: Spring Boot :: (v3.4.0) 2025-06-16T19:41:14.814+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jpabook.jpashop.MemberRepositoryTest : Starting MemberRepositoryTest using Java 20.0.1 with PID 56122 (started by sungwoo in /Users/sungwoo/Documents/dev/study/online-lecture/inflearn/jpa/2.jpa-application) 2025-06-16T19:41:14.815+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jpabook.jpashop.MemberRepositoryTest :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1 default profile: "default" 2025-06-16T19:41:15.139+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Bootstrapping Spring Data JPA repositories in DEFAULT mode. 2025-06-16T19:41:15.150+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Finished Spring Data repository scanning in 6 ms. Found 0 JPA repository interfaces. 2025-06-16T19:41:15.337+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ing... 2025-06-16T19:41:15.435+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Added connection conn0: url=jdbc:h2:mem:cb23765c-56b9-40bc-ba72-8f1435f049ba user=SA 2025-06-16T19:41:15.436+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 completed. 2025-06-16T19:41:15.470+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o.hibernate.jpa.internal.util.LogHelper : HHH000204: Processing PersistenceUnitInfo [name: default] 2025-06-16T19:41:15.500+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org.hibernate.Version : HHH000412: Hibernate ORM core version 6.6.2.Final 2025-06-16T19:41:15.517+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o.h.c.internal.RegionFactoryInitiator : HHH000026: Second-level cache disabled 2025-06-16T19:41:15.661+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o.s.o.j.p.SpringPersistenceUnitInfo : No LoadTimeWeaver setup: ignoring JPA class transformer 2025-06-16T19:41:15.706+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org.hibernate.orm.connections.pooling : HHH10001005: Database info: Database JDBC URL [Connecting through datasource 'HikariDataSource (HikariPool-1)'] Database driver: undefined/unknown Database version: 2.3.232 Autocommit mode: undefined/unknown Isolation level: undefined/unknown Min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 Max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 2025-06-16T19:41:16.066+09:00 DEBUG 56122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member(rn_ integer not null, id bigint, usernam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 2025-06-16T19:41:16.126+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o.h.e.t.j.p.i.JtaPlatformInitiator : HHH000489: No JTA platform available (set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to enable JTA platform integration) 2025-06-16T19:41:16.132+09:00 DEBUG 56122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drop table if exists member cascade 2025-06-16T19:41:16.133+09:00 DEBUG 56122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drop sequence if exists member_seq 2025-06-16T19:41:16.135+09:00 DEBUG 56122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create sequence member_seq start with 1 increment by 50 2025-06-16T19:41:16.137+09:00 DEBUG 56122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create table member (id bigint not null, username varchar(255), primary key (id)) 2025-06-16T19:41:16.140+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 2025-06-16T19:41:16.239+09:00 WARN 56122 --- [ Test worker] JpaBaseConfiguration$JpaWebConfiguration : spring.jpa.open-in-view is enabled by default. Therefore, database queries may be performed during view rendering. Explicitly configure spring.jpa.open-in-view to disable this warning 2025-06-16T19:41:16.368+09:00 WARN 56122 --- [ Test worker] ion$DefaultTemplateResolverConfiguration : Cannot find template location: classpath:/templates/ (please add some templates, check your Thymeleaf configuration, or set spring.thymeleaf.check-template-location=false) 2025-06-16T19:41:16.431+09:00 INFO 56122 --- [ Test worker] jpabook.jpashop.MemberRepositoryTest : Started MemberRepositoryTest in 1.764 seconds (process running for 2.307) 2025-06-16T19:41:16.749+09:00 DEBUG 56122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 2025-06-16T19:41:16.808+09:00 DEBUG 56122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insert into member (username,id) values (?,?) 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 2025-06-16T19:41:16.819+09:00 INFO 56122 --- [ionShutdownHook]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Closing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 2025-06-16T19:41:16.819+09:00 DEBUG 56122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table if exists member cascade 2025-06-16T19:41:16.820+09:00 DEBUG 56122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sequence if exists member_seq 2025-06-16T19:41:16.821+09:00 INFO 56122 --- [ionShutdownHook]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initiated... 2025-06-16T19:41:16.822+09:00 INFO 56122 --- [ionShutdownHook]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completed. > Task :test [Incubating] Problems report is available at: file:///Users/sungwoo/Documents/dev/study/online-lecture/inflearn/jpa/2.jpa-application/build/reports/problems/problems-report.html Deprecated Gradle features were used in this build, making it incompatible with Gradle 9.0. You can use '--warning-mode all' to show the individual deprecation warnings and determine if they come from your own scripts or plugins. For more on this, please refer to https://docs.gradle.org/8.11.1/userguide/command_line_interface.html#sec:command_line_warnings in the Gradle documentation. BUILD SUCCESSFUL in 3s 5 actionable tasks: 1 executed, 4 up-to-date 오후 7:41:16: Execution finished ':test --tests "jpabook.jpashop.MemberRepositoryTest"'.
-
미해결
개발 강의 추천 부탁드립니다.
[3줄 요약]비전공자로 10년 전 JSP, PHP 기반 개발 경험이 있으며, 현재는 헤드헌터로 활동 중입니다.React + Java(Spring) + MongoDB 기반으로 헤드헌터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웹/모바일 플랫폼을 직접 개발하고자 합니다.기술 공백과 최신 스택(Git 등) 부족으로 학습 방향 및 인프런/부트캠프 강의 추천이 필요합니다. [본문]안녕하세요.현재 40세, 비전공자(경영학과)이며, 현재는 헤드헌터로 활동 중입니다.12년 전 독학과 오프라인 Java 강의(6개월) 수강 후 JSP 기반 웹 개발을 약 6개월,또한 웹호스팅 업체에서 리눅스/윈도우 서버 운영과 PHP 유지보수를 약 1년간 경험했습니다.퇴사 후 HTML5, CSS3, PHP, MySQL 기반으로 1인 창업 프로젝트(플랫폼)를 개발 경험도 있으나,프론트엔드 실무 한계로 인해 학원과 인강으로 보완했지만 실무 수준에 도달하기는 어려웠습니다.이후 창업을 접고 현재는 헤드헌터 일을 8년째 하고 있습니다. 최근 AI 도구(GPT, CURSOR 등)로 인해 1인 개발의 장벽이 많이 낮아졌다고 느꼈고,사이드프로젝트로 다시 한번 플랫폼을 만들어보자는 생각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우선 서버는 아마존이나 네이버 등 1년 동안 무료로 제공하는 클라우드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방향]목표: 헤드헌터 업무에 활용 가능한 게시판 중심의 웹 & 모바일 플랫폼프론트엔드: React백엔드: Java(Spring), 일부 Python (데이터 분석용)DB: MongoDB (NoSQL 기반)기능: 기능: 엑셀 데이터 업로드/필터링, 검색, 태그, 동료와 공유 및 협업플랫폼: PC 웹 + Android 우선 대응 [현재 느끼는 기술적 한계]10년 이상의 개발 공백 → 신규 기술 감각이 거의 없음Git, 협업 툴, 배포 등 실무적인 스택을 제대로 써본 적 없음과거 창업 경험 덕에 HTML/CSS/JS 기본 흐름은 이해주당 약 20시간 정도 학습 및 개발 시간 확보 가능 [현재 계획 중인 학습 우선순위]모든 강의를 다 듣기엔 시간 제약이 있으므로, 아래와 같은 것부터 선택적으로 수강하려고 합니다.React 중심 프론트엔드 학습 – 프로젝트 기반으로 실습 위주Spring 백엔드 학습 – REST API + MongoDB 연동 포함Git, 배포, 협업 도구 등 실무 환경 익히기Python 기초 + 데이터 분석 활용 (선택적)(Node.js나 웹 자동화는 현재는 후순위입니다) 시간상 모든 강의를 다 들을 수는 없어, 섹션별로 필요한 내용만 골라 수강할 수 있는 방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또한 혼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이기에, 코드 리뷰나 피드백 커뮤니티가 병행되는 부트캠프가 있다면 병행하고 싶습니다.비슷한 경험을 하신 분이나, 인프런/코드잇 등에서 유익했던 강의나 커뮤니티가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사이드프로젝트 #React #JavaSpring #MongoDB #프론트엔드 #백엔드 #풀스택도전#개발공백극복 #IT학습로드맵 #인프런강의추천 #코드잇추천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ModelAttribute와 model.addAttribute() 이름 차이.
강의 9분 20초 경부터 설명하는 pdf 내용모델에 데이터를 담을 때는 이름이 필요하다. 이름은 @ModelAttribute에 지정한 name(value) 속성을 사용한다. 만약 다음과 같이 @ModelAttribute의 이름을 다르게 지정하면 다른 이름으로 모델에 포함된다.@ModelAttribute("hello") Item item -> 이름을 'hello'로 지정model.addAttribute("hello", item); -> 모델에 'heelo' 이름으로 저장 이 설명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있는데요. 만약 다음과 같이 @ModelAttribute의 이름을 다르게 지정하면 다른 이름으로 모델에 포함된다. 이 부분이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위 두 코드 모두 모델의 키(이름?)이 결국 'hello'로 사용되고 뷰에서 또한 hello로 데이터를 꺼낼 수 있는 것 아닌가요? 그런데다음과 같이 @ModelAttribute 이름을 다르게 지정 이라는 부분 때문에 헷갈립니다.. 어느 부분이 다른건지 모르겠고 제가 어느 것을 놓치고 있는지 잘못이해하고있는지 잘모르겠습니다. 둘다 hello로 모델에 저장되는 것은 매한가지같은데 어느 부분이 차이점이라는 것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