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cascade option 적용 후 부모 객체 삭제시 쿼리의 수 질문
1.코드상황Member(부모), Latter(자식)의 양방향 연관관계로 매핑되어있고 Member 1개에 Latter2개가 저장되어 있는데 이를 지우는 과정에서의 쿼리 개수가 예상과 다른 상황입니다."delete from latter where latter_member_id = ?" 하나가 나와 다 지울 줄 알았으나"delete from latter where latter_id = ?""delete from latter where latter_id = ?"총 2번 쿼리가 나갑니다. 2.코드Latter.classpackage dev.devpool.domain; import dev.devpool.domain.enums.IsCheck; import javax.persistence.*; import static javax.persistence.EnumType.STRING; @Entity public class Latt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LATTER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private String body; @Enumerated(STRING) private IsCheck isCheck;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Member getMember() { return member; } public void setMember(Member member) { this.member = member; } public String getBody() { return body; } public void setBody(String body) { this.body = body; } public IsCheck getIsCheck() { return isCheck; } public void setIsCheck(IsCheck isCheck) { this.isCheck = isCheck; } } Member.classpackage dev.devpool.domain; import javax.persistence.*;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nickName; private String email; private String password; public Member() { } public Member(String name, String nickName, String email, String password) { this.name = name; this.nickName = nickName; this.email = email; this.password = password; } @OneToMany(mappedBy = "member",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Certificate> certificates = new ArrayList<>(); @OneToMany(mappedBy = "member", 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Latter> latters = new ArrayList<>(); public List<Latter> getLatters() { return latters; } public void setLatters(List<Latter> latters) { this.latters = latters;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List<Certificate> getCertificates() { return certificates; } public void setCertificates(List<Certificate> certificates) { this.certificates = certificates; }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String getNickName() { return nickName; } public void setNickName(String nickName) { this.nickName = nickName; } public String getEmail() { return email; } public void setEmail(String email) { this.email = email; } public String getPassword() { return password; } public void setPassword(String password) { this.password = password; } /** * 편의 메서드 */ public void addCertificate(Certificate certificate) { certificate.setMember(this); certificates.add(certificate); } public void addLatter(Latter latter) { latter.setMember(this); latters.add(latter); } } MemberService의 deleteByIdpublic void deleteById(long memberId) { Member findMember = em.find(Member.class, memberId); if (findMember != null) { em.remove(findMember); } } Test코드@Test public void 쪽지삭제ByMember() { transactionTemplate.execute(status ->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Latter latter1 = new Latter(); Latter latter2 = new Latter(); member.addLatter(latter1); member.addLatter(latter2); memberService.join(member); em.flush(); em.clear(); //when memberService.deleteById(member.getId()); em.flush(); em.clear(); //then List<Latter> latters = latterService.findAllByMemberId(member.getId()); assertEquals(0, latters.size()); return null; }); } 쿼리 결과Hibernate: select member0_.member_id as member_i1_2_, member0_.email as email2_2_, member0_.name as name3_2_, member0_.nick_name as nick_nam4_2_, member0_.password as password5_2_ from member member0_ where member0_.email=?Hibernate: insert into member (member_id, email, name, nick_name, password) values (default, ?, ?, ?, ?)Hibernate: insert into latter (latter_id, body, is_check, member_id) values (default, ?, ?, ?)Hibernate: insert into latter (latter_id, body, is_check, member_id) values (default, ?, ?, ?)Hibernate: select member0_.member_id as member_i1_2_0_, member0_.email as email2_2_0_, member0_.name as name3_2_0_, member0_.nick_name as nick_nam4_2_0_, member0_.password as password5_2_0_ from member member0_ where member0_.member_id=?Hibernate: ***select certificat0_.member_id as member_i3_0_0_, certificat0_.certificate_id as certific1_0_0_, certificat0_.certificate_id as certific1_0_1_, certificat0_.body as body2_0_1_, certificat0_.member_id as member_i3_0_1_ from certificate certificat0_ where certificat0_.member_id=?Hibernate: select latters0_.member_id as member_i4_1_0_, latters0_.latter_id as latter_i1_1_0_, latters0_.latter_id as latter_i1_1_1_, latters0_.body as body2_1_1_, latters0_.is_check as is_check3_1_1_, latters0_.member_id as member_i4_1_1_ from latter latters0_ where latters0_.member_id=? *** ***Hibernate: delete from latter where latter_id=?Hibernate: delete from latter where latter_id=? ***Hibernate: delete from member where member_id=?Hibernate: select latter0_.latter_id as latter_i1_1_, latter0_.body as body2_1_, latter0_.is_check as is_check3_1_, latter0_.member_id as member_i4_1_ from latter latter0_ where latter0_.member_id=? 3.질문Q1) *** *** 부분에서 cascade 및 양방향으로 걸려있는 것들에 대해 다시 select 쿼리가 날라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Q2) 왜 latter_id를 바탕으로 쿼리가 2개 나가나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ello 페이지 Whitelabel Error
안녕하세요? 4강 진행하면서 HelloController 생성 및 hello 메소드까지 작성하여 static/index.html에 연결하였습니다.이후 재기동까지 수행했지만, /hello 페이지 진입 시, 500 오류와 함께 Whitelabel Error가 발생합니다.서버 Console에서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는 아래와 같습니다.2023-04-05 15:52:05.474 ERROR 24049 --- [nio-8080-exec-5] o.a.c.c.C.[.[.[/].[dispatcherServlet] :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Request processing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thymeleaf.exceptions.TemplateInputException: Error resolving template [hello], template might not exist or might not be accessible by any of the configured Template Resolvers] with root causeorg.thymeleaf.exceptions.TemplateInputException: Error resolving template [hello], template might not exist or might not be accessible by any of the configured Template Resolversbuild.gradle의 thymeleaf 라이브러리 의존성도 제대로 선언되어 있고, 라이브러리도 정상적으로 참조되고 있는 것 같은데, 원인을 찾기가 쉽지 않네요 ㅠ아래의 구글 드라이브 링크에 해당 프로젝트를 압축하여 첨부하였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tdu2p3HdwYLbzWLmVOUBGUsPW3qljb1F/view?usp=share_link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invalid source 에러 <빌드하고 실행하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Task :compileJava FAILED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What went wrong:Execution failed for task ':compileJava'.> invalid source release: 11*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이렇게 에러가 뜨는데 같은 에러 뜬 분들 블로그와 글들 확인하고 버전도 다 맞췄는데 자꾸 에러 뜹니다... 도와주세요 ㅠ
-
미해결처음 만난 리액트(React)
컴포넌트 재 렌더링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소플님!감사하게도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에서 알려주신 Accommodate function component 코드 제일 상단에 아래 처럼 로그를 찍도록 선언을 했는데요.function Accommodate(prop) { console.log("Accommodate created!!!") const [isFull, setIsFull] = useState(false); const [count, increaseCount, decreaseCount] = useCounter(0); useEffect(() => { console.log("======================"); console.log("useEffect() is called."); console.log(`isFull: ${isFull}`); }); //이후 생략 }최초에 화면을 그린 로그는 아래처럼 나오고 있는데Accommodate created!!! ====================== useEffect() is called. isFull: false Current count value: 0 입장 버튼을 누르고난 뒤에는 Accommodate created!!!로그가 마지막에 한번씩 더 찍히더라구요.count가 변경이 됐기 때문에 Accommdate를 재렌더링 했고 그 과정에서 1번 useEffect에 선언한 함수가 호출되고count가 변경됐기 때문에 2번 useEffect에 선언한 함수가 호출되는건 알겠는데, 최상단에 작성한 로그가 다시 찍히는 이유가 어떤거 인가요??Accommodate created!!! ====================== useEffect() is called. isFull: false Current count value: 1 Accommodate created!!!재렌더링이 또 된거라고 봐야하는걸까요..?!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연결리스트-구현 관련 질문드립니다.
12분 쯤에 만든 연결리스트를 test 해보는 부분이 있는데요, 아래와 같은 코드가 나오는데 갑자기 'list'라는 단어가 어디서 나온건지 궁금해서요!ㅠㅠ그런 클래스는 선언된 적이 없는것 같은데... 제가 swift만 다뤄보고 js 를 처음봐서 모르는 걸까요?import { Node, LinkedList } from './LinkedList.mjs'; list.insertAt(0, 0); list.insertAt(1, 1); list.insertAt(2, 2); list.insertAt(3, 3); list.insertAt(4, 4); list.printAll();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Model 파라미터
감사합니다! 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1. 3:34초에 Model로 넘어왔다고 말씀하시는데 어떤 Model이 넘어온 것인가요?2. Model이 파라미터로 넘어온다면 "member"라는 이름에 member를 넣어서 view에 넘겨줍니다. 그렇다면 파라미터로 받는 것이 아니라 model을 save함수 안에서 선언해서 사용할 수는 없는 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 is not mapped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코드 확인 다 해봤는데 틀린게 없습니다. 그런데 종합 테스트를 해보니깐 M is not mapped라는 오류가 자꾸 발생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List<Member> result = em.createQuery("select m from m where m.name = :name", Member.class) 이부분에서 에러를 던지는거 같은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 밑에는 오류 캡처본입니다.
-
해결됨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run의 사용 방법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완강하고 코틀린을 계속 공부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run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확장함수가 아닌 일반적인 메소드의 형태로 정의된 것이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그래서 메소드를 작성할 때 run을 사용해서 작성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예시로 Int의 확장함수로 거듭제곱을 수행하는 pow()라는 메소드를 작성할 때 보통은 다음과 같이 작성하겠죠.fun Int.pow(n: Int): Long { var result = 1L repeat(n) { result *= this } return result }그런데 위의 run을 사용해서 아래처럼 작성할 수도 있었고 두 경우 모두 같은 결과를 반환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fun Int.pow(n: Int) = run { var result = 1L repeat(n) { result *= this } result } 그러면 메소드를 작성할 때 두가지 방법 모두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데, 어느쪽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일지 강사님의 의견을 듣고싶어서 질문 남겨봅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A 1차 캐시와 쓰기지연 DB 질문 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JPA를 쓸 때 persist()를 호출하면 1차 캐시에 엔티티가 저장되고(영속엔티티), insert쿼리가 쓰기지연 DB에 입력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이때 영속된 엔티티의 필드값을 바꾸게 되면 flush될 때 변경감지가 동작해서 update쿼리를 쓰기지연 저장소에 넣게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이제 질문 드리겠습니다. 1) 우선 제가 이해한 persist와 flush의 동작이 맞을까요?2) 맞다면, 비용측면에서 쓰기지연DB에서 DB로 값을 밀어넣어 줄 때 insert, update쿼리 따로 나갈게 아니라, insert쿼리(수정된 필드값까지 고려된 insert문)만 나가면 더 효율적일 것 같은데 왜 insert와 update가 나가는건가요? 하이버네이트 특성이라면 왜 그렇게 동작해야만 하는지..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properties 파일 이름은 규칙인가요 >?
messages_##.properties ##에 들어가야 하는 단어는 영어면 en, 한국어면 kr과 같이 이름의 규칙이 정해져 있는 건가요 ? 그리고 ##에 아무것도 넣지 않는 messages.properties가 default로 선택되는 건가요 ?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type= "button", type="submit"의 차이
addForm.html에서<form action="item.html" th:action th:object="${item}" method="post"> <hr class="my-4"> <div class="row"> <div class="col"> <button class="w-100 btn btn-primary btn-lg" type="submit">상품 등록</button> </div> <div class="col"> <button class="w-100 btn btn-secondary btn-lg" onclick="location.href='items.html'" th:onclick="|location.href='@{/form/items}'|" type="button">취소</button> </div> </div> </form>상품등록은 type="submit"취소는 type="button" 을 하셨길래 그 차이가 궁금하여 구글링을 해봤더니 버튼은 타입 명시가 없다면 기본적으로 'submit' 처리가 되며 'submit'은 새로고침을 하게 한다. 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그래도 잘 이해가 안되 상품등록버튼을 type="button"으로 바꿔봤더니 작동이 되지않았습니다...<기존코드><button class="w-100 btn btn-primary btn-lg" type="submit">상품 등록</button><변경 코드><button class="w-100 btn btn-primary btn-lg" type="button">상품 등록</button>그래서 개발자도구를 보니 type="button"을 하면 POST가 아닌 GET으로만 보내고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정리>form 속성 중 method가 post인데 상품등록버튼을type="submit"에서 type="button"으로 바꾸면 POST가 GET으로 바뀌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아두이노와 떠나는 사물인터넷 여행 - 아두이노 입문부터 IoT 중급까지!
저항 위치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이제 앞부분 수강하고 있는 초보입니다.. 저항에 위치에 대해 질문 드릴꼐요. 강의해서 저항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앞에 두는 보호장치라고 하셨는데요.. 입문 강의의 회로도를 보면 전원 -> LED 전구 -> 저항 -> GND 순으로 저항이 LED 다음에 붙어있는데이부분이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다른 자료를 찾아봐도 어떤건 앞에 있고.. 어떤건 뒤에 있는게 있어서..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전자회로 지식이 없다보니 햇갈리네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야곰의 스위프트 기본 문법 강좌
강의 자료 다운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의 자료 다운받을 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레딧 사이트 만들기(NextJS)(Pages Router)
오타로 인한 오류 제보 입니다.
9분:15초쯤 commented on다음에 작성코드[변경전]<span>commented on</span> <Link href={`/u/${comment.post?.url}`} className="cursor-pointer font-semibold hover:underline" > {comment.post?.title} </Link>[변경후]<span>commented on</span> <Link href={`${comment.post?.url}`} className="cursor-pointer font-semibold hover:underline" > {comment.post?.title} </Link>
-
해결됨배달앱 클론코딩 [with React Native]
안드로이드 Default Splash Screen 없애는 방법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Splash Screen을 설정하는 과정 중에 안드로이드에서 Splash Screen이 두 개가 나옵니다. Default Splash Screen과 제가 만든 Splash Screen, 이렇게 두 개가 나오는데 Default Splash Screen을 나오지 않게 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아래와 같은 순서로 앱이 실행됩니다.
-
미해결프로젝트로 배우는 Vue.js 3
로그인과 같이 레이아웃이 완전 다른 페이지를 만들때는 router 를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선생님!덕분에 정말 뷰 재미있게 배우고 있습니다. 한가지 궁금한점은모든 페이지에는 헤더가 동일하다가로그인/회원가입에서만 헤더가 다르거나 완전 다른 레이아웃일 경우에는 아래 중 어떤 것이 가장 적합한지 궁금합니다. router 를 사용한 후 v-if 등을 활용해서 header를 숨김처리router 사용 / header 컴포넌트에 slot 등을 활용해서 숨김처리로그인/회원가입과 같은 특수한 페이지만 router 사용하지 않고 a링크로 url 이동어떤것이 가장 적합할까요?또한, 30페이지 정도는 a헤더를 사용하고 40페이지 정도는 b헤더를 사용해야하는 경우에는 어떤것이 적합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프로그래밍 입문
디스어셈블리 질문입니다.
13분 22초에 나오는 플레이어 스탯 관련 질문입니다.저 같은 경우는 ebp레지스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값을 할당하는게 아닌아래의 내용처럼 eax레지스터의 주소에 +4, +8한 값을 이용하여 변수에 값이 할당되는데요제 컴퓨터는 왜 eax레지스터를 이용하였는지 궁금합니다. ret.hp = 100;00CC245E mov eax,dword ptr [ret] 00CC2461 mov dword ptr [eax],64h ret.attack = 10;00CC2467 mov eax,dword ptr [ret] 00CC246A mov dword ptr [eax+4],0Ah ret.defence = 2;00CC2471 mov eax,dword ptr [ret] 00CC2474 mov dword ptr [eax+8],2
-
미해결이펙티브 자바 완벽 공략 2부
아이템16, 조금 애매한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한 가지 질문드리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기선님께서 강의에서 public 가변 필드를 노출하면, 언제 어디서 값이 바뀔지 모르기 때문에 객체의 복사가 필요하고 그에 따라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그런데 private 필드로 선언하더라도, public setter나 필드의 변경 지점을 제공한다면 동일한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 아닌가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한다면, doSomething에서도 Setter가 열려있기 때문에 doSomething 내부에서 값을 복사해서 쓰거나, main 내부에서 값을 복사해서 써야하는 것은 매한가지 인 것 같습니다.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estClass testClass = new TestClass(1,1); System.out.println(testClass.getT()); doSomething(testClass); System.out.println(testClass.getT()); } private static void doSomething(TestClass testClass) { testClass.setT(10); }기선님께서 말씀하셨던 의도는 setter() 역시 공개되지 않은 상황일 때를 말씀하실까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vitis에서 run as hardware를 실행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맛비님. 항상 좋은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제가 맛비님 강의를 들으면서 실습을 다 진행해봤습니다. 항상 vivado에서 ip를 만들고 zynq보드와 연결해서 xsa파일로 export를 진행하고, vitis에서 c코드를 build하고 실행하는 식으로 진행을 했는데, 잘 작동하던 vitis의 run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분명 hardware로 run을 하면이런식으로 다 완료가 되고 보드에 초록불까지 들어오는데 해당 에러가 발생합니다.어제까지만 해도 잘 되던 보드가 왜 이러는지 알 방법이 없습니다.유사한 에러들이 있나 구글링을 해봤는데 명확한 해답보단 보드 자체의 하드웨어 문제인듯 하니 run 설정에서 reset을 해보라는 등의 애매한 답변만 있는듯 해서 혹시 맛비님이 해답을 알고 계신다거나, 혹은 하드웨어 초기화방법같은 것을 알고계신다면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추가로 말씀드리면 해당 에러를 해결해보려고 lab9과정을 다시한번 따라해봤는데zynq보드와 led ip를 합치고 address 맵을 보니 이전과 다르게 나오고 뭔가 주소 체계가 망가진? 그런 느낌이었습니다. 또한 보드의 power를 on/off도 많이 해보고 혹시 jtag 점퍼 문제가 아닐까 해서 계속 확인해봤는데 해당 문제는 아닌듯 했습니다. 도움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주문, 주문상품 엔티티 개발 중에
cancel 메소드에서 getItem으로 쓰셨는데 그냥 getItem이 아닌 item으로item.addStock(count) 이렇게 쓰면 안되는 건가요?안된다면 이유는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