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양방향 연관관계 알아보는 법?
안녕하세요. 8분쯤 양방향 연관관계 시 @JsonIgnore 어노테이션을 통해 순환 참조가 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고 알려주셨는데, 엔티티 하나하나 들어가서 직접 확인해야 하나요?ERD나 관계가 복잡해서 까먹을 경우 이렇게 하나씩 확인을 해야 하는지, 아니면 IDE 같은 걸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테스트 격리에서 테스트 랜덤 실패 이유
69강 테스트 격리에서 테스트가 랜덤으로 실패하는 이유가 뭔가요?싱글톤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인건 알겠는데 조회할 때 Exception이 생기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ㅠㅠ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안녕하세요 섹션2. 12번 강의에서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섹션2 12번 강의에서 (관심사기반의뉴스레터발행/구독모델) 에서 질문 있습니다.fanout exchange는 바인딩된 모든 큐에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이므로 모든 큐에 메시지가 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예를 들어 제가 java 라는 특정 topic을 구독하면 java queue 에 있는 메시지만 계속 소비할텐데, 그러면 나머지 spring queue나 vue queue 에는 메시지가 계속 쌓여 문제가 되는 것 아닌가요 ?발행/구독 모델을 왜 fanout exchange로 구현하신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16강 17강 간단 정리 이게 맞을까요 ?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 16강과 17강 강의가 저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워서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 맞게 잘 적은건지 피드백 부탁드리겠습니다 ! 엔티티의 XxxToOne 관계는 모두 패치조인 한다.row 수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XxxToMany(컬렉션)는 페이징을 하지 않고 조회되는 데이터가 적을 시에는 패치조인을 해도 된다. 단, N 쪽에 수 많은 데이터가 있다면 성능 최적화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페이징 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니 패치조인은 사용하지 말자 왜냐하면 모든 데이터를 DB에서 읽어오고, Hibernate는 1:N 조인 결과를 모두 메모리에 가져온 다음 1을 기준으로 페이징을 메모리에서 다시 수행해야 한다.이때, 수백만개의 데이터라면 애플리케이션은 메모리 부족으로 OOM이 발생할 수 있다. 컬렉션은 지연 로딩으로 조회하는데 성능 최적화를 위해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BatchSize를 적용한다. IN 쿼리를 통해 한꺼번에 설정한 size 만큼 조회할 수 있다. 장점 : row 수가 많아지는 단점을 가진 패치 조인보다 DB 데이터 양이 최적화 된다.
-
미해결[2탄] 옆집 개발자와 같이 진짜 이해하며 만들어보는 첫 Spring Boot 프로젝트
강의 자료 부탁드립니다.
강의 자료 제공이라고 하셨는데 강의 자료가 없습니다. 미리 올려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Auto Increment 질문
안녕하세요 토비님. 강의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Auto Increment 전략을 현업에서도 자주 사용하시는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Mysql에서 Auto Increment를 사용하니 bluk insert가 안되는 구조던데 문제가 있으셨던 적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bluk insert를 jdbc template으로 구현했더니 갈레라 3중화 구조라 ID가 3씩 증가하는 문제가 있어서 곤란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럴 경우 ID 전략을 UUID나 Snowflake 이런식으로 가져가야 하는지 궁금합니다.아니면 다른 해결 방법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Spring Boot와 React로 배우는 초간단 REST API 게시판 만들기
스프링 기동 하는 부분에서 계속 에러가 나와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스프링 기동 부분에서 에러가 나와서,자바 버전도 바꾸어 보고, 인텔리제이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고 , 여러 가지 시도를 해보는데, 문제가 해결이 안되고 있습니다.여기 에러 로그를 남겨 봅니다. 참고로 그래이들 빌드시엔 에러가 안 나오지만, 소스의 메인 메서드를 실행하면 에러가 나옵니다. Error starting ApplicationContext. To display the condition evaluation report re-run your application with 'debug' enabled.2025-06-25T19:32:28.071+09:00 ERROR 10688 --- [prac] [ main] o.s.b.d.LoggingFailureAnalysisReporter :***************************APPLICATION FAILED TO START***************************Description:Failed to configure a DataSource: 'url' attribute is not specified and no embedded datasource could be configured.Reason: Failed to determine a suitable driver classAction:Consider the following:If you want an embedded database (H2, HSQL or Derby), please put it on the classpath.If you have database settings to be loaded from a particular profile you may need to activate it (no profiles are currently active).> Task :restapi.prac.PracApplication.main() FAILEDExecution failed for task ':restapi.prac.PracApplication.main()'.> Process 'command 'C:\Users\jjhgw\.jdks\openjdk-24.0.1\bin\java.exe''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BUILD FAILED in 14s3 actionable tasks: 2 executed, 1 up-to-date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데이터 초기화 시 CASCADE 옵션 궁금증
안녕하세요. PostConstruct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Spring이 초기화될 때 DB에 데이터를 초기화 해주셨는데요. Order, OrderItem 클래스 필드에 cascade 옵션이 있어서 order나 orderItem만 em.persist() 하면 다른 엔티티도(delivery, orderItems 등) 다 같이 persist 되지 않나요? 왜 엔티티별로 따로 하나씩 persist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잘못 이해한 거라면 설명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order.getOrderItems() 시 필드 접근 안했는데 select문이 나가는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강의 자료에 orderItems.stream().forEach(o -> o.getItem()).getName()); // LAZY 강제 초기화라고 적혀있어서 그 위의 코드인 List<OrderItem> orderItems = order.getItems()에서는 DB에 SELECT 쿼리를 보내지 않는구나라고 이해했습니다. 근데 확인해보니 아래 코드를 PostMan으로 테스트를 해보았더니 orderItems : null 이지만SELECT절을 통해 데이터를 조회한 결과를 보였습니다.또한, order.getOrderItems()를 하지 않아도 orderItem을 조회하는 SELECT절이 나가더라구요 .. @GetMapping("/api/v1/simple-orders") public List<Order> ordersV1() { List<Order> all =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new OrderSearch()); for (Order order : all) { order.getMember().getName(); // LAZY 강제 초기화 => 예외 발생 안함 ! why? Open Session in View(OSIV) 때문에 order.getDelivery().getAddress(); // LAZY 강제 초기화 => 예외 발생 안함 ! why? Open Session in View(OSIV) 때문에 order.getOrderItems(); // ? } // 원래는 LazyInitializationException이 발생하는게 정상이지만 OSIV로 인해 발생하지 않음 return all; } 다른 질문을 참고하였을 때 David님께서 아래와 같은 답변을 해주셨습니다.안녕하세요. Jeongmin Lee님:), 공식 서포터즈 Taewon David Hwang입니다.지연로딩(Lazy Loading)은 엔티티의 애트리뷰트에 접근할 때 데이터를 가져옵니다.그러나 하이버네이트에서 지정한 기본타입에 해당되는 것들은 기본적으로 지연로딩을 허용하지 않습니다.따라서 OrderItem의 애트리뷰트인 name, price, stockQuantty 중 하나라도 접근하게 되면 기본타입에 해당하는 name, price, stockQuantity의 데이터를 모두 불러오게 됩니다.David 선생님 의견에 따르면 엔티티의 에트리뷰트에 접근해야 데이터를 가져오는거 같은데 왜 위 사진같이 DB에 SELECT절을 호출 해 데이터를 가져오는건가요?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안녕하세요 "섹션2 8. Consumer간 작업 분배" 에서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섹션2. 8번 강의 11분 13초 쯤에 하시는 말씀에 의문이 들어 질문글 남깁니다. 이 부분 설명하실때 ' 컨슈밍을 할때 파라미터로 받은 초를 슬립을 준 뒤에 소진을 하겠다' 라고 하셨는데, 메시지를 받은 순간 이미 소진이 시작 된 것이고 각각 2초 4초 5초뒤에 소진이 끝나는 것 아닌가요? 조금 헷갈려서 질문 드립니다.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SA 환경에서 도메인 모델의 정의 범위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토비님.도메인 모델의 정의 범위에 대해 토비님의 생각이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현재 저는 MSA 환경에서 여러 시스템이 나뉘어 있는 구조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보통 팀에서는 “우리가 생성·저장하는 데이터 구조”를 도메인 모델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은데요,저는 도메인 모델의 범위가 그보다 더 넓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문시스템이 있다고 할 때, 주문시스템은 주문데이터를 생성/관리하는 책임을 지겠지만 이를 위해서여러 시스템(상품, 프로모션, 결제 등)에서 데이터를 조회해 조합하여 업무 규칙을 수행하는 책임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시스템이 생성·관리하는 개념이라 하더라도,주문시스템 내부에서의 목적과 규칙에 따라 주문에 맞는 방식으로 추상화된 모델을 정의하는 것이바로 도메인 모델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즉, 외부 개념이라도 주문시스템의 책임 하에 있는 로직과 규칙이 있다면, 그것은 주문의 도메인이다라는 관점입니다. 이와 같은 관점에 대해 토비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도메인 모델 정의의 기준에 대해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localhost:8080/hello일때 Whitelabel Error Page가 뜹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localhost:8080/hello를 가면 이렇게 뜹니다ㅜㅜ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컨트롤러에 @PostMapping 없어도 되나요?
createMemberForm.html내의<form action="/members/new" method="post">를 보면 post메소드로 호출하고 있는데,MemberController.java에는@GetMapping("/members/new")만 있네요.@PostMapping("/members/new")이 맞지 않나요?회원가입 클릭하니 주소표시줄에 http://localhost:8080/members/new라고는 뜨는데, 500에러가 납니다
-
미해결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Elasticsearch 입문 (검색 최적화편)
opensearch nori 플러그인 지원
안녕하세요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실무 위주로 쏙쏙 뽑아주셔서 공부하기 편해요~ 글을 남기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현재 opensearch에서 nori 플러그인 지원하고 있어서 입니다~~강의에서는 지원 안 하고 있다고 나와서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테스트 준비 과정에서 서비스 메서드 호출
@Test void find() { Member member = memberRegister.register(MemberFixture.createMemberRegisterRequest()); entityManager.flush(); entityManager.clear(); Member found = memberFinder.find(member.getId()); assertThat(member.getId()).isEqualTo(found.getId()); }현재 코드에서 위와 같이 테스트에서 회원 저장을 위해 memberRegister.register를 호출하고 있습니다.그런데 memberRegister.register에는 단순히 회원을 저장하는 것 외에도 이메일 전송 같은 부가적인 로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부가적인 로직때문에 테스트 속도가 느려진다던가, 테스트가 실패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이처럼 테스트 준비에 필요하지 않은 부가 로직까지 수행되는 상황에서, memberRegister.register를 테스트 준비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지 토비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도메인 모델에서의 검증과 애플리케이션 레벨 검증의 경계
도메인 모델에서의 검증과 애플리케이션 레벨 검증의 경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현재 도메인 모델에서는 이메일 형식이 올바른지, 닉네임이나 비밀번호가 null이 아닌지 같은 최소한의 조건만 검증하고 있습니다. 반면, 비밀번호가 8자 이상인지, 닉네임이 5자 이상인지 같은 검증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처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닉네임이 5자 이상이어야 한다 같은 규칙도 도메인 규칙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이 들어 해당 검증 역시 도메인 모델에서 처리하는게 맞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드는데,도메인 모델에서의 검증과 애플리케이션 레벨 검증의 경계는 어디까지 두는 게 좋은지 토비님 의견이 궁금합니다.말씀하신것을 토대로 예측해 봤을때 형식이나 정책적 요구사항(변경 가능성이 있는 규칙)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도메인의 본질적 불변 조건은 도메인에서 검증하는 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스프링 발전 과정들도 자세히 알아둬야하나요??
강의한번 들었다고 모든 내용이 기억나는게 당연한 것이 아닌 것은 압니다.그래서 토이프로젝트도 만들어보면서 학습 내용을 이해하려고 합니다.근데 문제는 기간이 어느정도 지나면, 실질적으로 쓰이는 기술 빼고는 그 원리가 어떻게 발전해서 내가 지금 편리하게 사용하는 기술로 발전되었는지 그 과정이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예를들어서 aop라고 한다면, aop를 결국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하는 방법들은 기억에 남고 편리하게 사용가능하지만, 프록시를 만들고 프록시 팩토리를 만들고, 어떤식으로 스프링 빈에서 프록시로 대체되는건지 그러한 발전과정들이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트랜잭션도 결국 트랜잭션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는것은 기억에 남는데, 그 트랜잭션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기까지의 과정이 자세하게는 기억이 안납니다. 지금도 기억나는건 트랜잭션을 aop형식으로 빼내는 이유가 서비스단에서 db기술을 이용하지 않기위함, 온전한 로직을 사용하기위함 그정도밖에 기억이 안나네요...토이프로젝트를 할 때에 결국 최종 발전방식만 사용하고 옛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편이고 개념만 보고 이해하고 넘어만 가기에 기억에 오래남지 않아서 그런건지...이런 발전과정들도 완벽하게 알고있어야하는지 궁금합니다.다시보면 이해하는데까지 오래걸리진 않지만 하루만에 다시 다 볼수있는 정도는 아니기도 하고, 다른것들도 공부해야할 것이 남아있어서 고민이되네요.jpa 강의듣기 전에 토이프로젝트 만들고있는것도 우선 완성해두고 db sql도 공부한번 하고 jpa강의를 들어야하지 않나 생각중인데 생각보다 토이프로젝트도 오래걸리고...취업준비같은거 하면 공부에 집중이 안되어서 그동안에 또 까먹게 되고 참 어렵네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register() 메서드명이 모호하게 느껴집니다.
Member#create() 메서드를 register로 공통언어를 바꾸셨는데, 뜻이 모호해진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register(등록)이라는 단어는 생성과 영속화라는 두가지의 행위를 함축한 단어로 느껴집니다. 따라서 MemberService#register()는 너무 자연스럽습니다. 실제로 Member를 생성한 후에 MemberRepository를 통하여 영속화까지 하는 내용으로 구현되어있습니다.하지만 Member#register()는 이와 다르게 Java 객체를 생성하기만 하는 것이라, 메서드명과 실제 동작이 불일치한다고 느껴집니다. 하지만 또 동시에 도메인 모델을 글로 작성하는 과정에서 '멤버를 등록한다.' 라는 말을 쓰는 것은 자연스럽습니다. 그 구현이 코드적으로 Member에 있는 것만이 부자연스럽습니다.이런 경우에는 Member라는 객체만으로 도메인 모델을 온전히 표현해내기가 어려운 것일까요? 해당 모델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MemberService 같은 코드가 꼭 필요한 걸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조회수 redis 장애시 fallback 관련해서 질문!
강사님 안녕하세요.조회수 데이터를 Mysql로 백업한 데이터는 redis 장애시를 대비한 걸로 이해했습니다.(장애시 일부 데이터는 유실되지만, 가용성은 챙김)그렇다면 조회수 조회시 ArticleViewService의 count메서드에서 try-catch로 묶어서 catch문에 mysql에서 조회수를 조회하는 코드를 추가하면 되는걸까요? 혹여나 강의 내용을 놓친거라면 죄송합니닷..!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EntityManager#flush()를 검증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멤버를 저장하는 테스트에서 EntityManager#flush()를 호출해서 플러시되어 DB까지 쿼리문이 제대로 가는지 검증하시는 것을 보았습니다. (저는 플러시까지 테스트해볼 생각을 못했어서 아주 인상깊었습니다 ㅎㅎ) 하지만 해당 부분이 검증문 없이 홀로 호출되고 있습니다.좀더 의도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assertThatCode(() -> em.flush()).doesNotThrowAnyException() 처럼 코드를 작성하는게 더 좋지 않을까 싶어서 질문드립니다!적용 예시@Test void 멤버를_저장한다() { var member = MemberFixture.createAny(); memberRepository.save(member); assertThat(member.id()).isNotNull(); assertThatCode(() -> em.flush()) .doesNotThrowAnyExcep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