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코랩 자동완성 끄기
문제풀이에 방해되어서 코랩 자동완성 기능을 끄고 싶은데요.알려주신 [도구>설정>편집기>‘컨텍스트 기반 코드 완성 표시‘ 해제 > 저장] 진행 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자동완성이 되어서 학습에 방해가 되고 있습니다.ㅠㅠ 자동완성 끄는 다른 설정 방법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랭체인(LangChain)과 랭그래프(LangGraph) 그리고 MCP
100% 수강 완료가 되지 않아요
100% 수강 완료가 되지 않아요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랭체인(LangChain)*** Code 자료는 LangChain Github에 있습니다 *** 여기에 멈춰 있습니다. 들어갈수가 없고 해당 진도가 미 완료로 98%입니다.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랭체인(LangChain)과 랭그래프(LangGraph) 그리고 MCP
100% 수강 완료가 되지 않아 문의드립니다.
100% 수강 완료가 되지 않아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section12 contextApi 질문
이번 챕터에서 Todo 컨텍스트를export const TodoStateContext = createContext<Todo[] | null>(null) 이렇게 선언해 주셨는데 export const TodoStateContext = createContext<Todo[]>([]) 이렇게 null 값을 포함하지 않고 초기값을 빈배열로 선언하지 않은 이유가 있으신걸까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보드 연결 문의
보드 연결 문의 - ST LINK를 통한 연결 시, LED가 깜빡거리지 않음. ※ ST LINK는 회사에서 사용하던 제품이며, ST LINK에서 빨간색 불이 들어오고 있음. ST LINK CLONE 제품임. (V2) - USB를 통한 연결 시, LED 깜빡거림. 전원 정상 연결판매 중이신 제품과 동일한 ST LINK V2 CLONE 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려고 했습니다. 다만 IDC 케이블을 통해서 해당 보드에 전원을 공급할려고 하였을 때 보드 내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이 되지 않았습니다. 제가 추가적으로 별도로 확인해야 될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루커 스튜디오(구글 데이터 스튜디오)로 배우는 데이터 시각화 입문
차트 구성 미완료 오류 문의
안녕하세요 루커 제작하면서 해소되지 않는 부분들이있어 강의 수강하면서 따라 하고있습니다. 데이터 연동하여 표제작 후 시계열 차트를 추가하고 싶어차트추가 - 시계열 차트를 대시보드에 끌어놓았을때'차트구성미완료'가 떠서 해당 부분 해결이 되지 않아 문의드립니다. 추가로, 스코어카드 데이터의 경우 스파크라인을 설정해두었는데 .. 시각화로 보이지 않아 어떤부분에서 설정이 잘못되었는지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RAG를 활용한 LLM Application 개발 (feat. LangChain)
3.4강 Pinecone API 인식 못 하는 문제
안녕하세요, 강의들으면서 도움 많이 받고 있습니다.Pinecone API를 .env에 적었지만 인식을 못해서하기와 같이 직접적으로 입력해주었습니다.그런데 하기 부분에서 또 다시 정의가 안 되었다고 에러가 뜹니다.어디를 수정해야할까요?커널?을 껐다켰다하면 되는 분도 있다고 해서 따라해봤는데 잘 안 되는 것 같습니다.ㅠ
-
미해결[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안녕하세요 카카오 이미지 uri 부분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카카오 이미지 uri는 카카오쪽 서버 도메인까지 모두 포함하고 있는데,로컬호스트 도메인까지 앞에 붙여주는 것 같아서 그 부분이 정정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
해결됨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문자열 뒤집기 문제 질문입니다!
1. 현재 학습 진도몇 챕터/몇 강을 수강 중이신가요?1-11 def find_count_to_turn_out_to_all_zero_or_all_one(string): # string을 순회하면서 0과 1의 연속된 덩어리 개수를 구함 # 그 개수중 min을 return zero_seq = 0 one_seq = 0 prev_num = string[0] # 첫 bit 초기화 if string[0] == "0": zero_seq += 1 else: one_seq += 1 # 2번째 bit부터 마지막까지 순회 for bit in string[1:]: if bit != prev_num: if bit == "0": zero_seq += 1 else: one_seq += 1 prev_num = bit min_count = min(zero_seq, one_seq) return min_count result = find_count_to_turn_out_to_all_zero_or_all_one(input) print(result)안녕하세요!1주차 숙제 중 문자열 뒤집기 문제를 풀면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저는 풀이가 위 코드와 같이 나왔는데, 정답 코드랑 비교했을때 살짝 다르더라구요.출력은 잘 나오는 것 같은데, 정확한 차이가 궁금합니다.저는 현재 bit를 이전 bit와 비교하고, 강사님은 현재 bit를 다음 bit와 비교하는 방식의 차이일까요?아니면 제 풀이에 문제가 있을까요?
-
미해결[리뉴얼] 코딩자율학습 제로초의 자바스크립트 입문
1~45 필터링하는 코드에서 find대신 some써주는게 나을거같습니다.
테스트해보다가 0이 필터링 안되서 생각해보니,find는 조건에 해당되는 값을 반환해서 0입력하면 0을 반환해줘서 falsy값이라 조건이 false가 되서 제대로 작동안되는거같아요.some메서드는 쓰는게 true/false로 반환해줘서 더 나을거 같습니다 강의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axis=1 은 열, 그런데 합계(행)?
파이썬을 이제 막 접한 초보자 입니다. 데이터 프레임 처음 배울 때, 열(column)은 axis=1이라고 배웠는데요, '판다스4- 문자열, 내장함수'강의에서 합계(행)을 할 때 df.sum(axis=1, numeric_only=True)라고 하여 혼란이 오고 있습니다 ^^;; 제가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절대강좌! 유니티 6 - TPS 게임으로 배우는 유니티 마스터클래스
Player에 Event 연결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Event Channel를 만들고, Scriptable Object도 생성 후 연결한 상황입니다.그런데, PlayerController에서 Event를 연결시켜야 하는데, Event가 없습니다.지우고 다시 해봐도 Event가 나타나지 않는데, 혹시 제가 잘못한 부분이 있을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모델링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실기 준비가 막막했는데 강의를 통해서 자신감을 얻어 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의를 보며 실무 관점에서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시험을 준비하면서는 제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링을 하고 답안을 제출하면 끝인데 실무에서는 한번 학습시킨 모델을 나중에 계속 활용해야할거 같은데 학습한 모델을 저장하거나 다시 불러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와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보통 어떻게 모델을 관리 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딩 없이 AI 자동화 전문가가 되는 법, n8n 완벽 가이드
Community notes 사용 불가능 문의
안녕하세요, 영상 보고 따라하고 있는데 Community nodes 내에 'install'버튼은 없고, 다른 메세지만 나오고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docs를 봐도, 별 내용이 없어서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체험) 제2유형 빅데이터분석기사
아래와 같이 성별로 0/1로 나누어 표현하라고되어있는데 predict_proba는 확률을 구하는 문제이므로해당 건 pred2 = (pred1 >= 0.5).astype(int)이렇게 표현해도 괜찮은지문의드립니다. target = train.pop('성별')train = pd.get_dummies(train)test = pd.get_dummies(test)train, test = train.align(test, join='left', axis=1)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x_tr, x_val, y_tr, y_val = train_test_split(train, target, test_size=0.2, random_state=0)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rf = RandomForestClassifier(random_state=0)rf.fit(x_tr, y_tr)pred1 = rf.predict_proba(test)[:,1]pred2 = (pred1 >= 0.5).astype(int)submit = pd.DataFrame({'pred' : pred2})submit.to_csv('result.csv')ans = pd.read_csv('result.csv')print(ans)
-
미해결[게임 그래픽] 이것만 알면 시리즈!
혹시 실무에서의 폴리곤 갯수 관련 질문드려도 괜찮을까요?
보통 캐릭터의 폴리곤 목표치를 몇개정도로 해야하는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3만개 언저리까지는 줄이기는 했는데 보통 몇개가 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해결됨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Hw 가속기의 총 연산 속도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eg) 몇 장, 몇 분 몇 초 쯤. or 수강생 분들이 봤을 때 어디구나?! 할 수 있게 표기 부탁 드려요.[2. 질문 내용] : eg) 질문 내용을 자유롭게 작성해주시면 되겠습니다 🙂[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eg) 설치영상은 이렇게 시도했는데 안되더라 or 본인의 생각을 적어주세요. (실습 내용 중에 이해가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는데, 이러 이러한 근거로 나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 다음 내용은 읽어보시고 지우시면 됩니다.=================질문 내용을 작성해주실 때, 위의 3단계로 제가 이해할 수 있게 작성해주시면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막강의까지 듣고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드려요.Fully connected layer를 코어로 두었을때 연산을 처음 1번하면 sw보다 더 느렸죠.이 이유는 bram이 데이터를 넣는 과정이 너무? 오래걸려서였구요.이것에 대한 이유가 axi4 라이트의 한계인 단일트랜잭션 때문인가요?그리고 이것을 ai가속기가 어떻게 해결할수있는건가요?사실 이미 ai가속기까지 결제했는데... 궁금해져서요!!항상 감사해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값이 안변해요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Test void updateTest() { update(184717674569289728L); ArticleResponse response = read(184717674569289728L); System.out.println("response = " + response); } void update(Long articleId) { restClient.put() .uri("/v1/articles/{articleId}", articleId) .body(new ArticleUpdateRequest("hi 2", "my content 22")) .retrieve(); } @Getter @AllArgsConstructor static class ArticleCreateRequest {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private Long writerId; private Long boardId; } @Getter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static class ArticleUpdateRequest {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 response = ArticleResponse(articleId=184717674569289728, title=hi, content=my content, boardId=1, writerId=1, createdAt=2025-05-25T02:22:06, modifiedAt=2025-05-25T02:22:06) 이렇게 값이 안변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PutMapping("/v1/articles/{articleId}") public ArticleResponse update(@PathVariable Long articleId, @RequestBody ArticleUpdateRequest request) { return articleService.update(articleId, request); }
-
미해결선형대수학개론
Theorem 7의 21분경 질문있습니다.
여기서 말하고 있는 동치는 최소 두 개의 벡터가 있고 선형 종속적인 관계인 벡터 set S가 있는 경우와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벡터는 나머지 벡터의 선형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즉 3번째 공식인 V1= c2v2+...+cpvp인 부분이 직접적인 표현 형태라고 할 수 있는데,4번째 공식은 단순히 v1을 이항 한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이 역시 성립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그런데 제가 강의를 들으면서 혼동을 일으킨 가장 큰 문제는 강사님께서 21분10초경부터 말씀하신 v1의 계수인 -1을 제외한 나머지 계수가 전부 0이어도 trivial한 해가 아니므로 선형종속적이다라고 말씀하신 부분입니다.말씀하고자 하시는 바는 "자명한 해가 되는 조건인 모든 계수가 0"이라는 부분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non-trivial solution이 되고 따라서 종속적인 관계다. 라고 말씀하신 것 같은데 실제로 v1을 제외한 나머지가 전부 0이되면 v1 벡터가 0벡터일 경우에만 성립된다고 생각합니다.즉 예시로 말씀하신 경우는 v1이 0벡터일경우만 성립하긴 하지만, 엄연히 선형종속적인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가 맞고, 위의 동치조건에 해당하는 예시라고 생각하면되는걸까요?
-
미해결삽질없이 쉽게 따라하는 윈도우 개발 환경 셋업
1,2번이 강의가 같아요.
1번하고 2번하고 강의가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