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롬복과 최신 트랜드" 강의를 듣고 생각난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롬복과 최신 트랜드" 강의를 듣고 생각난 질문입니다~ 해당 강의에서 lombok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 build.gradle에 의존성을 추가하고, 추가로 플러그인에서 다운까지 받아서 진행해봤는데요. 1) 라이브러리와 플러그인의 차이점을 어떻게 생각하면 될까요?2) 그리고 어떤 라이브러리들은 그냥 build.gradle에 의존성 추가만 해주면 되는 것 같았는데, lombok 라이브러리와 같이 플러그인을 추가로 다운받아야 하는 기준이 있는걸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멤버 변수 관련 질문
int width;로 선언하는 거랑 int width = 0;으로 선언하는 것에 무슨 차이가 있나요?
-
해결됨파이썬 알고리즘 트레이딩 파트2: Interactive Brokers API를 활용한 실시간 알고리즘 트레이딩
myenv-finance.yml 실행 시 오류
안녕하세요VSC에서 윈도우 버젼 yml설치 중인데요, name: myenv-PairTradingconda env create --file myenv-finance.yml 실행 시 아래 오류가 계속 나네요. Solving environment: failed LibMambaUnsatisfiableError: Encountered problems while solving: 챗GPT에게 물어가며 조치 해 보는데 myenv-finance.yml에서 버전 고정을 해제합니다: 라고 조언 하는데 버젼을 다 지우고 하면 도움이 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ENUM 문제풀이 2번에서의 static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질문 내용]public static HttpStatus findByCode(int code) { // value(): HttpStatuse의 배열을 반환한다. for (HttpStatus status : values()) { if (status.getCode() == code) { return status; } } return null; }위 코드에서 왜 static으로 받나요?
-
해결됨고도 엔진(Godot Engine)을 통한 게임 개발 박치기!! - 기본 개념부터 실전 게임 제작까지 한방에!
ObjectHandler 에서
ObjectHandler / ObjectHandler.gd 파일에서 무기발사 구현하는 코드에서 instance.setup_weapon(dir, speed) 에서 방향벡터와 스피드 관련 해서 함수 호출하고 add(obj: Node2D, g_position: Vector2, dir: Vector2) 에서 dir (방향벡터)를 다시 rotation 에 대입하는지 좀 이해가 안됩니다..설명부탁드립니다..^^ 아래는 해당 소스코드입니다. instance.setup_weapon(dir, speed) call_deferred("add", instance, pos, dir) func add(obj: Node2D, g_position: Vector2, dir: Vector2) -> void: add_child(obj) obj.global_position = g_position obj.rotation = Vector2.RIGHT.angle_to(dir)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직접 구현하는 배열리스트3 - 기능추가 편 질문
ArrayList편직접 구현하는 배열리스트3 - 기능추가 편에서16:47초에 강의 자료보면, 순서대로 출력하는 경우에 가장 효율적이라 되어있는데, 무슨말이에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개발자는 기본기가 중요하다
실무에서 개발좀해보닌깐 느꼇는데 개발자는 기본기가 매우매우매우매우매우중요하다. 갓영한님도 그걸 아시기 떄문에 왜써야하고 어떤문제가있고 그러면 어떻게 해결하고 어떻게 개선하는지를 스텝바이스텝으로 보여주신다. 묻따 기본기룰 챙기고 항상 교차검증을 하는 마인드로 개발을 했으면 좋겟다 -어느 흔한 개발자의 주저리 글-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createOrder 메서드 생성 관련 질문
이 메서드를 만들 때 ProductOrder 인스턴스를 order로 만드는 것과 orders로 만드는 것에 어떤 차이가 있나요? orders로 만드니까 계속 오류가 나서요,, productName에 order 인스턴스에 있는 product를 대입하는 게 아니라 order.productName에 productName을 대입하는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core("singleton")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빈 스코프는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라고 이해했습니다.즉, @Scope("singleton")은 빈이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됨 @Score("singleton")static class SingletonBean{ ... }위의 코드를 보면 @Configuration이 없으니 -> 빈을 싱글톤으로는 관리하지 않는다. -> 의존관계를 주입할때 new() 호출될 때마다 새로운 객체가 생성됨그럼 위 상황에서는 빈이 싱글톤이 아니여서 여러 개의 객체가 생성되었고 이 객체들은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된다 라고 이해하면 될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클래스 개념 이해 확인
Student 클래스를 이렇게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혹시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Student student1;student1 = new Student(); 1. Student 클래스의 참조값을 student1이라는 변수에 집어넣는다.2. new Student()는 Student 클래스에 실제로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인스턴스 값을 생성한다는 의미이다.3. 이를 student1에 대입하여 Student 클래스의 객체(인스턴스)에 실제로 접근하여 클래스 안의 멤버 변수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축약하면 Student student1 = new Student();다른 클래스에서 데이터 타입형태로 Student를 넣을 수 있다.(Student student1 같이)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인테리제이 기능 질문 exception 클래스 색깔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 영상을 보다가exception 클래스 색깔이 노란색 인것을 보고 괘찮은 기능이라고 생각해서 여쭈어 봅니다.이것은 어떻게 설정해야 이렇게 바꿀수 있나요?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utowired 필드명"과 "@Primary" 우선순위
문득 @Autowired 필드명 과 @Primary 의 우선순위가 궁금해서 아래와 같은 테스트를 진행해봤습니다. OrderServiceImpl 클래스의 생성자 파라미터 중에서 DiscountPolicy 타입의 변수명을 fixDiscountPolicy 로 변경하고RateDiscountPolicy 클래스에 @Primary 를 주고 테스트를 돌려봤습니다.@Test void test2() { // 강의에서 사용하던 AutoAppConfig.class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utoAppConfig.class); OrderServiceImpl orderService = ac.getBean(OrderServiceImpl.class); // OrderServiceImpl 클래스에 getDiscountPolicy 따로 정의 assertThat(orderService.getDiscountPolicy()).isInstanceOf(RateDiscountPolicy.class); } 위 테스트의 결과는 통과하였습니다.즉, @Primary 가 @Autowired 필드명 보다 우선순위가 높다는 얘기인데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제가 궁금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위처럼 테스트를 하는 것이 맞나요?(여기서 OrderServiceImpl 클래스의 멤버변수인 discountPolicy 변수명은 안 건드려도 되죠?)테스트가 통과하는 게 맞는 결과인가요?이와 같은 흐름으로 이해하는 게 맞나요?1) 생성자 주입이 이루어질 때 DiscountPolicy 타입으로 등록된 빈 2개 발견2) @Primary 가 있는 RateDiscountPolicy 타입의 빈이 주입3) 만약 @Primary 가 없었다면 @Autowired 필드명 에 의해 FixDiscountPolicy 타입의 빈이 등록 됨그럼 @Qualifier , @Primary , @Autowired 필드명 순서로 우선순위가 높은 게 맞죠?위 내용과는 별개의 질문인데요 특정 클래스에 @Primary 를 붙여주면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빈으로 등록될 때 BeanDefinition 에 @Primary 관련된 정보도 같이 들어가는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시분할과 스케줄링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얼마만큼 실행될지는 운영체제가 결정하는것을 스케줄링인데 그럼 스케줄링이 실행되고나서 시분할이 적용되는 방식인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오타 제보] 11. 동시성 컬렉션.pdf 14페이지
[오타 내용]대상 강의록: 11. 동시성 컬렉션.pdf 대상 페이지: p.14 첫 번째 그림에 대한 설명 중 마지막 부분내용기존: 클라이언트인 test() 입장에서 ... (중략) ... BasicList의 어떤 구현체든지 다 받아들일 수 있다.변경: 클라이언트인 test() 입장에서 ... (중략) ... SimpleList의 어떤 구현체든지 다 받아들일 수 있다.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utowired 해결이 안돼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Autowired members must be defined in valid Spring bean (@Component|@Service|...) 라는 에러가 나왔습니다 코드 진행은 강의와 동일한 것 같아요.. package halo.core.scope; import jakarta.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karta.annotation.PreDestroy;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org.springframework.scheduling.annotation.Scheduled; public class SingletonWithPrototypeTest1 { @Test void prototypeFind(){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 prototypeBean1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1.addCount(); Assertions.assertThat(prototypeBean1.getCount()).isEqualTo(1); PrototypeBean prototypeBean2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2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2.addCount(); Assertions.assertThat(prototypeBean2.getCount()).isEqualTo(1); } @Test void singletonClientUserPrototype(){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lientBean.class,PrototypeBean.class); ClientBean clientBean1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1= clientBean1.logic(); Assertions.assertThat(count1).isEqualTo(1); ClientBean clientBean2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2= clientBean2.logic(); Assertions.assertThat(count2).isEqualTo(2); } @Scope("singleton") static class ClientBean{ private final PrototypeBean prototypeBean; @Autowired public ClientBean(PrototypeBean prototypeBean) { this.prototypeBean = prototypeBean; } public int logic(){ prototypeBean.addCount(); int count = prototypeBean.getCount(); return count; } } @Scope("prototype") static class PrototypeBean{ private int count =0; public void addCount(){ count++; } public int getCount(){ return count;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this); } } }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ForEx3 질문있습니다
public class ForEx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 (int sum = 0, max = 100, i = 1; i <= max; sum += i, i++) { System.out.println(sum); } } }이렇게 ForEx2에서 for문 괄호 안에서 여러개 선언이 가능하다고 하셨어서 한번 여러개 선언해서 해봤습니다. 근데 결과값이 왜100까지 더한값이 안나오고 99까지 더한값밖에 안나오는건지 잘 이해가 안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외부 클래스에서 내부 클래스의 private 필드 접근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영한님께서 내부 클래스에서 외부 클래스의 private 필드에 접근할 수 있다고 말씀해주셨는데.외부 클래스의 메소드의 경우도, 중첩 클래스의 private 필드나 private 생성자에 접근할 수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오타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항상 재미있는 수업 감사드리며 수업을 너무 잘 듣고 있는 와중 오타로 의심되는 단어가 있어 문의를 드립니다섹션10 강의에 사용되는 PDF 파일인 9.컬렉션 프레임워크- Map 파일 5페이지 키와 값 목록 조회 부분에Entry 는 키-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객체이다. Entiry 는 Map 내부에서 키와 값을 함께 묶어서 저장할 때 사용한다.에서 초록색으로 칠이 된 단어가 오타라고 생각 되어 문의 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memberRepository 3개다 같은 참조값으로 나와야하는데 다른 참조값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다른 코드들 다 똑같이 작성했는데 memberRepository, 1, 2 모두다 다른 참조값으로 출력이 됩니다. 이렇게 되면 어디쪽에서 문제가 발생한걸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파일 input,output 말하는 스트림의 뜻을 모르겠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File로 문자 파일 읽기를 복습하다가 I/o스트림 의 '스트림'의 뜻를 몰라서 질문을 드립니다.9:30 초 부분에서 "I/O 스트림이 아니라 람다와 스트림에서 사용하는 스트림이다"라고 하였는데 , 람다와 스트림에서 사용하는 스트림은 아직 배우지를 않아서 모른다 치더라도, I/O 스트림은 저의 생각으로는 여기까지 공부했다면 알아야 하는것 아닌가 라는 생각에 갑자기 멍해지더라고요. 혹시 I/O스트림의 정확한 정의와 뜻을 알켜주실수있으신가요? 아니면 어느 부분을 복습 해야지 I/O스트림에 대해서 정확히 알 수 있을까요?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