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select와 from사이에는 컬럼명이 오는거아닌가요?
근데 왜 Hello랑 true가 온거죠..?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 설치 관련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현재 군인 신분으로 사지방 특성상 차단되어 있는 기능이 좀 있는데 h2.bat이나 윈도우창의 h2 콘솔 모두 켜지지 않는데 이러면 방법이 없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persist이후에 commit은 안하나요?
쭉 강의를 따라오다보니 의문점이 하나 있는데 강의에서 em.persist() 이후에 tx.commit() 같은 코드가 없는데 어떻게 DB에 저장이 되는건가요? 김영한님의 다른 jpa강의를 보앗을 때 commit이 필요하다고 본거같아서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일대다 페치 조인과 페이징에 대해
안녕하세요! 일대다 패치조인을 진행하게 될시에, 다쪽의 갯수에 맞추어서 데이터가 뻥튀기, 즉 일쪽이 뻥튀기 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위 코드의 진행과정을 알고싶은데요, 위 처럼 일대다 페치 조인으로 데이터가 뻥튀긴 테이블이 완성되고 -> 뻥튀기 된 데이터들이 애플리케이션(메모리)에 올라가고 -> 거기에서 jpa가 이제 List<Order>에 담는것이 맞을까요? 이게 만약 맞다면, 일대다 패치조인시 페이징할때의 위험성과 같이 저것도 다 메모리에 올라가는 상황이 아닌가요?!, 아니면 제가 메모리의 개념을 잘 이해 못하고 있는지.. 답답하네요 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해당 영상에서 member엔티티의 id값 할당방식
@Id @GeneratedValue Member 엔티티의 id생성이 auto로 디폴트값인데, 영상 7분 10초에 멤버의 객체생성이 하나뿐인 테스트에서id값이 1이아닌 2로 뜨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gradle 프로젝트 open 오류 발생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처음으로 mac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열려고 하는데 이 오류 때문에 진행을 못하고 있네요.. 프로젝트 파일을 다시 삭제하고 열어봐도 pc를 재부팅하고 다시 시작해도 똑같은 오류가 계속 발생합니다. 구글링에 검색해봐도 마땅한 해결방안이 나오지 않아 답답하네요ㅜㅜ 프로젝트 구성도 이상합니다.. 파일을 열때마다 "._java"와 같은 텍스트 파일이 생겨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GeneratedValue 작성 후 오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Id@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private String id; 위 코드 작성 후 오류가 납니다.. String 말고 숫자로 해도 오류가 나네요 ㅠ .. mysql로 바꿨는데 왜 그런지 모르겠습니다ㅠ 오류 -WARN: GenerationTarget encountered exception accepting command : Error executing DDL " create table Member ( id varchar(255) not null auto_increment, name varchar(255) not null, primary key (id) ) engine=MyISAM" via JDBC Statement org.hibernate.tool.schema.spi.CommandAcceptanceException: Error executing DDL " create table Member ( id varchar(255) not null auto_increment, name varchar(255) not null, primary key (id) ) engine=MyISAM" via JDBC Statement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exec.GenerationTargetToDatabase.accept(GenerationTargetToDatabase.java:67)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applySqlString(SchemaCreatorImpl.java:440)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applySqlStrings(SchemaCreatorImpl.java:424)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createFromMetadata(SchemaCreatorImpl.java:315)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performCreation(SchemaCreatorImpl.java:166)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doCreation(SchemaCreatorImpl.java:135)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doCreation(SchemaCreatorImpl.java:121) at org.hibernate.tool.schema.spi.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performDatabaseAction(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java:155) at org.hibernate.tool.schema.spi.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process(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java:72) at org.hibernate.internal.SessionFactoryImpl.<init>(SessionFactoryImpl.java:310) at org.hibernate.boot.internal.SessionFactoryBuilderImpl.build(SessionFactoryBuilderImpl.java:467)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build(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939) at org.hibernate.jpa.HibernatePersistenceProvider.createEntityManagerFactory(HibernatePersistenceProvider.java:56) at javax.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79) at javax.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54) at hellojpa.JpaMain.main(JpaMain.java:14) Caused by: 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Syntax error in SQL statement "\000d\000a create table Member (\000d\000a id varchar(255) not null auto_increment,\000d\000a name varchar(255) not null,\000d\000a primary key (id)\000d\000a ) engine[*]=MyISAM"; expected "identifier"; SQL statement: create table Member ( id varchar(255) not null auto_increment, name varchar(255) not null, primary key (id) ) engine=MyISAM [42001-210]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521)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496)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SyntaxError(DbException.java:265) at org.h2.command.Parser.readIdentifier(Parser.java:5759) at org.h2.command.Parser.parseCreateTable(Parser.java:9306) at org.h2.command.Parser.parseCreate(Parser.java:6779) at org.h2.command.Parser.parsePrepared(Parser.java:746) at org.h2.command.Parser.parse(Parser.java:674) at org.h2.command.Parser.parse(Parser.java:644) at org.h2.command.Parser.prepareCommand(Parser.java:551) at org.h2.engine.SessionLocal.prepareLocal(SessionLocal.java:615) at org.h2.server.TcpServerThread.process(TcpServerThread.java:288) at org.h2.server.TcpServerThread.run(TcpServerThread.java:191)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34)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451) at org.h2.engine.SessionRemote.done(SessionRemote.java:607) at org.h2.command.CommandRemote.prepare(CommandRemote.java:85) at org.h2.command.CommandRemote.<init>(CommandRemote.java:51) at org.h2.engine.SessionRemote.prepareCommand(SessionRemote.java:477) at org.h2.jdbc.JdbcConnection.prepareCommand(JdbcConnection.java:1292) at org.h2.jdbc.JdbcStatement.executeInternal(JdbcStatement.java:217) at org.h2.jdbc.JdbcStatement.execute(JdbcStatement.java:205)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exec.GenerationTargetToDatabase.accept(GenerationTargetToDatabase.java:54) ... 15 more 오류 member package hellojpa;import javax.persistence.*;import java.math.BigDecimal;import java.time.LocalDate;import java.time.LocalDateTime;import java.util.Date;@Entity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String id; @Column(name = "name", 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username; public Member(){ } public Stri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Stri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Username() { return username; } public void setUsername(String username) { this.username = username; }} jpaMain package hellojpa;import org.hibernate.internal.build.AllowSysOut;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Factory;import javax.persistence.EntityTransaction;import javax.persistence.Persistence;import java.util.List;public class Jp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x.begin(); try{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Id("ID_A"); member.setUsername("C"); em.persist(member); tx.commit(); }catch (Exception e){ tx.rollback(); }finally { em.close(); } emf.close(); }} persistence.xml <?xml version="1.0" encoding="UTF-8"?><persistence version="2.2" xmlns="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 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persistence_2_2.xsd"> <persistence-unit name="hello"> <properties> <!-- 필수 속성 -->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driver" value="org.h2.Driver"/>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user" value="sa"/>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password" value=""/>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url" value="jdbc:h2:tcp://localhost/~/test"/> <property name="hibernate.dialect" value="org.hibernate.dialect.MySQL5Dialect"/> <!-- 옵션 --> <property name="hibernate.show_sql" value="true"/> <property name="hibernate.format_sql" value="true"/> <property name="hibernate.use_sql_comments" value="true"/> <property name="hibernate.hbm2ddl.auto" value="create" /> </properties> </persistence-unit></persistence>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엔티티 id 값이 공유되는 문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영한님 제가 JPA를 이용한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중인데 한 가지 문제가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현재 저는 oracle 을 사용하고 있으며, Member, Order, Store 등의 여러 엔티티들을 사용합니다. 모두 @GeneratedValue 로 선언한 상태입니다. 그런데 / GivenMember member = Member.builder().name("memberA").build();memberRepository.save(member);Store store = Store.builder().name("storeA").build();storeRepository.save(store);System.out.println(store.getId());Order order = Order.createOrder(member,store, OrderType.DELIVERY);orderRepository.save(order);System.out.println(order.getId()); 와 같이 테스트를 작성하면서, Member를 생성해서 save하면 memberId가 1이 되는데 그다음에 store를 save하면 서로 다른 테이블이기 때문에 1L이 되어야 하는데 2L이 됩니다. 물론 그다음 order는 3L이 되구요 모든 엔티티들이 hibernate_sequence를 공유하고 있고, save하는 과정에서 select hibernate_sequence.nextval from dual; 가 호출될 때마다 값이 1씩 증가하고 있는 것같습니다. 엔티티들이 sequence를 공유하지 않는 방법이 없을까요... 검색을 여러번 해보기도 했고, 검색 키워드를 못잡겠어서 질문드립니다 ㅠㅠ
-
미해결스프링 부트 개념과 활용
안녕하십니까 기선님!!!!! webclient와 비동기관련 질문요청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기선님처럼 되고싶은 1년차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제 개인 프로젝트 중에 현재는 동기방식 restTemplate으로 한번에 여러 군데에 요청을 던지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는데 일부 요청이 오래 걸리는 것들이 있어서 스레드를 오래 물고있다는 판단을 하여 해당 기능을 nio 방식으로 전환하려고 합니다.(webclient)웹서버는 io/nio모두 지원하는 undertow를 사용하고 있으며, 스프링 mvc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본론으로 제가 해당 프로젝트에 한번 외부로의 요청에 각각 응답시간이 다른 여러곳에 일부는 오래걸리는 요청을 던지기 위해 비동기 처리로 수정하여 개발하려고 하는데, @Async나 CompletableFuture말고 webflux를 추가하여 mvc+webflux의 형태로 개발해도 괜찮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이게 개인 프로젝트가 아닌 실무에서도 가능할지) webflux와 mvc를 같이 쓰면 않좋다는 이전 토비님 말씀과 예전 구글링 글들도 있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에는 undertow는 예전 3.0 서블릿과는 다르게 io/nio를 함께 처리해주기 때문에 webflux + mvc 두개를 같이 써서 필요한 부분에 비동기 처리중에서도 pub/sub구조와 backpressure가 구현되어 있는 webflux-reacotr를 일부 도입해도 괜찮지 않을까하여 여러곳들을 전전하며 찾아보고 있었습니다.제 부족한 실력으로는 어깨너머로 알게된 지식으로 스스로 원하는 결론을 그냥 내린것 같은 생각이 강하게 들고, 마땅한 결론에 도달하지 않아서 여쭙고싶습니다!!!!!
-
미해결예제로 배우는 스프링 입문 (개정판)
unable: to acces jarfile target/*.jar
java -jar target/*.jar 이 실행되지않아 target파일로 들어간뒤에도 실행되지않아 전체이름을 다 쳤더니 실행되었습니다. 왜 *가 먹히지 않았던걸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repository는 entity당 개별로 생성해줘야 하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내용을 보면 Member와 Team 엔티티가 있고 JpaRepository를 상속받은 repository 또한 각각 만들어져 있습니다. 단순한 조회는 이미 정의되어있는 메소드로 가능하지만, 다른 테이블(엔티티)와 조인하는 경우에는 직접 정의해서 사용 가능하다는 내용의 강의였는데요 그럼 만약 4개 5개 복잡한 엔티티들과 연관된 쿼리들을 정의하고 싶다면 어느 repositroy에 정의를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여러 엔티티를 1개의 repository로 관리하고자 해도, 상속받을때 <>속에 특정 엔티티를 넣어줘야하는데, 그럼 어떤 엔티티를 넣어야할까요? 코딩에 정답은 없겠지만은 실무에서는 관례쩍으로 어떤식으로 구현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대상 테이블에 외래키 의 단점
member table만 조회해서 locker값이 있는지 없는지를 모릅니다. 그래서 locker table까지 조회를 해야합니다. 그래서 지연로딩이 불가하고 즉시로딩만 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따지면 주테이블에 외래키를 넣어도 locker table만 조회해서는 member값이 있는지 없는지를 모르지 않나요? member table까지를 확인해봐야 아는거잖아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oincolumn name 속성
1. team에서는 멤버변수가 member클래스고 joincolumn의 name속성은 team_id잖아요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왜 member_id가 아니라 team_id인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OP 적용 질문
안녕하세요 AOP 중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질문을 쭉 봤는데 해당 내용이 없었습니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네[질문 내용] 이부분에서 찍어보면 다음과 같이 EnhancedBySpring~ 이부분이 스프링이 AOP 를 처리하기 위해 프록시로 복제된 객체로, AOP를 사용하게되면 사용된다는 내용으로 이해했습니다. 강의 자료에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는데, AOP와 관련된 코드들 (예제에서는 시간을 측정하는 코드, 시간측정하는 클래스를 주입하는 코드)을 제거 한 후에도 MemberController 에서 Service 클래스를 sout 으로 찍어볼 경우, 똑같이 EnhancedBySpring~ 하는 객체가 찍혀 나옵니다. 이 부분이 위에 AOP 적용 전 그림 에서 진짜 객체들만 사용한다는 위 그림과 과 맞지 않는데, 그렇다면 Spring 에서는 AOP 관련된 코드가 없어도 자동적으로 AOP를 위해 프록시 객체를 사용하도록 강제(?) 처리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재밌게 수강하고 있습니다! 실례가 안 된다면 혹시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는 핵심 비즈니스 로직과 화면 혹은 API에 맞춘 로직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저는 화면에 출력하거나 API를 만드는 게 곧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라고 생각했는데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었던 거 같아 혹시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하여 질문 남기게 됐습니다 ㅠ + Trade off는 어떤 의미로 이해하면 좋을까요? ㅠㅠ P.S 비전공자로 여러 강의를 들으면서 선생님 강의 만난 게 최고의 행복인 거 같습니다! 종종 PPL 하시는 JPA 책도 잘 읽고 있는데 언젠가 기회가 되면 선생님께 싸인 받고 싶습니다 ㅋㅋㅋ 존경합니다 선생님!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채점중에서 넘어가지 않습니다.
챕터1에 5번문제를 제출하였는데 채점중에서 넘어가지 않고있습니다. 코드가 잘못된건가요? 확인 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pp-plain.jar의 역할
안녕하세요, 수강 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gradlew build 명령어로 빌드를 하고 나면, hello-plain.jar와 hello.jar의 두 개의 jar 파일이 생성됩니다. 구글링을 해 본 결과, 스프링 부트에서 빌드하면 Plain Archive도 함께 만들어지며 이를 방지하고 싶으면 build.gradle에 별도의 설정을 하면 되는 것, 그리고 Plain Archive가 무엇인지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Plain Archive는 어디에 쓰려고 만들어진 건지, 목적이 무엇인지를 모르겠습니다. 의존성이 포함되지 않은 파일이 왜 필요한 건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select절 서브쿼리 tuple에서 읽는방법
안녕하세요 영한님. 밑에 비슷한 질문이 있었는데 해결이 되지않아 질문드립니다. //모든이름과 평균나이 출력QMember memberSub = new QMember("memberSub");List<Tuple> result = queryFactory .select(member.username, JPAExpressions .select(memberSub.age.avg()) .from(memberSub) ) .from(member) .fetch();for (Tuple tuple : result) { System.out.println(tuple.get(member.username)); System.out.println(tuple.get(1, Double.class));} 강의에서 코드인데요 여기서 평균나이값을 tuple에서 뽑고싶어서 tuple.get(memberSub.age.avg()) 로 뽑아봤는데 값이 null이 나옵니다. 그래서 현재는 Index와 클래스로 뽑긴했는데 member.username처럼 바로뽑는법이 있을까요? 항상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entitygraph관련 궁금증
안녕하세요!! 만들어주신 로드맵을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entityGraph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궁금증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먼저 해당 내용에 대해 repository 내에서 findAll() 메소드를 상속받아, 여기에 fetch join을 부여해 주는 것으로 이해했는데요 혹시 이렇게 상속받으면 findAll 메소드 자체가 바로 fetch join을 진행하는것이 아닐까 해서요 예를 들어 A 위치에서는 member의 변수만을 필요로 하고, B 위치에서는 team까지 가져오려 하면 A에서는 LAZY로 유지되는 것이 좋고, B에서는 바로 fetch join하는 것이 나을 거라 생각하는데 위의 방식이면 둘 다 바로 fetch join을 진행할 것 같다고 생각하는데 이게 맞을까요?? 혹시 맞다면 어떤 식으로 고치는것이 더 최적화될지 궁금합니다.... --- 추가로 혹시 @entityGraph는 무조건 left outer join에서만 적용되는 것일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 생성 메서드
안녕하세요 Order 생성 메서드를 setter없이 작성해봤는데 올바르게 작성했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강의코드 /** * 생성 메서드 */public static Order createOrder(Member member, Delivery delivery, OrderItem... orderItems) { Order order = new Order(); order.setMember(member); order.setDelivery(delivery);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addOrderItem(orderItem); } order.setStatus(OrderStatus.ORDER); order.setOrderDate(LocalDateTime.now()); return order;} 제가 작성한 setter를 사용하지 않은 생성 메서드 public Order(Member member, Delivery delivery, LocalDateTime orderDate, OrderStatus status) { this.member = member; this.delivery = delivery; this.orderDate = orderDate; this.status = status;}public static Order createOrder(Member member, Delivery delivery, OrderItem... orderItems) { Order order = new Order(member, delivery, LocalDateTime.now(), OrderStatus.ORDER);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orderItems.add(orderItem); } return order;} 이렇게 작성했습니다. 올바르게 작성했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