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eks를 활용한 spring 운영서버 배포(feat. devops의 모든것)
강의 내용에서 보강 하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 DEV, PROD 환경
실전에서는 주로 어떻게 하는지 궁금 해서 질문 드립니다. 보통 실전에서는 개발서버 및 상용서버가 각각 물리적으로 분리 된 상태에서 관리를 할텐데요. 현재 선생님께서 알려주신 부분에서 이부분을 어떻게 적용 할지 궁금 해서 질문 드립니다. AWS EKS 하나로 같이 사용하되 네임스페이스를 논리적으로 분리해서 개발 환경하고 상용 환경을 분리하자AWS EKS 물리적으로 개발 환경하고 상용 환경을 분리 하기이렇게 이슈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 1번 내용으로 하게 된다면 name: deploy DEV backend on: push: branches: - dev jobs: build-and-deploy: runs-on: ubuntu-latest steps: ----- 생략 ----- - name: configure aws uses: aws-actions/configure-aws-credentials@v1 with: aws-access-key-id: ${{ secrets.AWS_KEY }} aws-secret-access-key: ${{ secrets.AWS_SECRET }} aws-region: ap-northeast-2 - name: update cluster infomation run: aws eks update-kubeconfig --name ${클러스터이름} --region ap-northeast-2 - name: Login to ECR ----- 생략 ----- - name: build and push docker image to ecr env: REGISTRY: ${AWS ECR REPOSITORY} REPOSITORY: ${개발 Repository 명} IMAGE_TAG: latest run: | docker build \ -t $REGISTRY/$REPOSITORY:$IMAGE_TAG \ -f ./project/Dockerfile ./project docker push $REGISTRY/$REPOSITORY:$IMAGE_TAG - name: eks kubectl apply run: | kubectl rollout restart deployment ordersystem-backend -n dev name: deploy PROD backend on: push: branches: - prod jobs: build-and-deploy: runs-on: ubuntu-latest steps: ----- 생략 ----- - name: configure aws uses: aws-actions/configure-aws-credentials@v1 with: aws-access-key-id: ${{ secrets.AWS_KEY }} aws-secret-access-key: ${{ secrets.AWS_SECRET }} aws-region: ap-northeast-2 - name: update cluster infomation run: aws eks update-kubeconfig --name ${클러스터이름} --region ap-northeast-2 - name: Login to ECR ----- 생략 ----- - name: build and push docker image to ecr env: REGISTRY: ${AWS ECR REPOSITORY} REPOSITORY: ${상용 Repository 명} IMAGE_TAG: latest run: | docker build \ -t $REGISTRY/$REPOSITORY:$IMAGE_TAG \ -f ./project/Dockerfile ./project docker push $REGISTRY/$REPOSITORY:$IMAGE_TAG - name: eks kubectl apply run: | kubectl rollout restart deployment ordersystem-backend -n prod 이렇게 네임스페이스 통해 논리적으로 분리해서 관리 하는 것도 있을 것 같은데요.하지만 제가 생각 했을때는 단점으로는 SPOF (Single Point Of Failure) 문제가 발생 될 것 같아 고민이 들지만 비용면에서는 1번이 좋을 것 같기도 합니다. 주로 실전에서는 어떻게 관리를 하는지 궁금 합니다! ^_^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pdf 자료에 섹션3 누락
섹션 3 [예제] 백앤드 서버를 파드로 띄어보기가 없습니다..pdf 수정부타드립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helm / values.yml
안녕하세요 helm사용 시에 배포환경에 따라 values.yaml을 구성해야 하는 것은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만약 prd환경의 values.yaml은 결국 깃허브에 올라가있는 yaml을 활용하는 것이고, 그것 또한 평문으로 저장이 되어있으면 안될거같은 생각이 드는데 , 실무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 ? ex) 젠킨스 credentials - > values.yaml 바인딩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livenessProbe 어플리케이션 재시작 의미
[질문 하기]안녕하세요 수업 내용 중 궁금한점이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수업 내용 상, livenessProbe 과정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 startupProbe 전단계로 이동하여 컨테이너를 재시작 하는 것이 아닌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 한다고 이해하였습니다. 그러나 실제 실습 시에 pod describe의 reason 부분에 killing이 발생하는 것을 보아 실제 pod를 죽이고 재실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설명 상에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한다는 의미가 periodSeconds에 의해서 체크를 여러번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pvc CrashLoopBackOff 문제
/c/Users/User/Desktop/aws/mysql (main) $ kubectl logs -f mysql-deployment-dc94cbd74-pzjvm -c mysql-container 2025-07-15 12:40:56+00:00 [Note] [Entrypoint]: Entrypoint script for MySQL Server 9.3.0-1.el9 started. 2025-07-15 12:40:56+00:00 [Note] [Entrypoint]: Switching to dedicated user 'mysql' 2025-07-15 12:40:56+00:00 [Note] [Entrypoint]: Entrypoint script for MySQL Server 9.3.0-1.el9 started. '/var/lib/mysql/mysql.sock' -> '/var/run/mysqld/mysqld.sock' 2025-07-15T12:40:56.554602Z 0 [System] [MY-015015] [Server] MySQL Server - start. 2025-07-15T12:40:56.757217Z 0 [System] [MY-010116] [Server] /usr/sbin/mysqld (mysqld 9.3.0) starting as process 1 2025-07-15T12:40:56.761789Z 1 [System] [MY-013576] [InnoDB] InnoDB initialization has started. 2025-07-15T12:40:56.765848Z 1 [ERROR] [MY-012592] [InnoDB] Operating system error number 22 in a file operation. 2025-07-15T12:40:56.765898Z 1 [ERROR] [MY-012596] [InnoDB] Error number 22 means 'Invalid argument' 2025-07-15T12:40:56.765913Z 1 [ERROR] [MY-012646] [InnoDB] File (unknown): 'close' returned OS error 122. Cannot continue operation 2025-07-15T12:40:56.765918Z 1 [ERROR] [MY-012981] [InnoDB] Cannot continue operation. 이런 에러가 반복적으로 뜹니다. 메뉴얼 대로 했는데 혹시 무엇이 문제일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AMI 유형
강의 1:52 노드 그룹 컴퓨팅 구성할 때 이번에 올려준 강의랑 AWS EKS 컴퓨팅 구성 AMI 유형 리스트가 다른데 강의의 유형 Amazon Linux 2 Arm ( AL2_ARM_64 ) 이거랑 Amazon Linux 2023(arm64) Standard(AL2023_ARM_64_STANDARD)랑 같은건가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마스터 노드 vs 워커 노드
[ EKS 생성 시 ]→ AWS가 마스터 노드(제어 플레인)를 자동 생성[ 노드 그룹 생성 시 ]→ 사용자가 EC2 기반 워커 노드 그룹(또는 Fargate)을 생성[ Pod 배포 시 ]→ 사용자가 kubectl 또는 Helm 등으로 명령 → 마스터 노드가 스케줄링 → 워커 노드에서 컨테이너 실행위의 FLOW로 이해하고 있는데워커 노드는 생성하는데 마스터 노드는 EKS 생성할 때 생성된다고 하는데 정확히 마스터 노드 역할이 뭔지 이해가 잘 안되네요 ㅠㅠ eks 생성할 때 설정해주는 값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건지 그냥 무조건 DEFAULT 생성인건지..
-
해결됨eks를 활용한 spring 운영서버 배포(feat. devops의 모든것)
MSA - member service 배포시 문제
안녕하세요 우선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MSA 파트에서 질문 하나 있습니다. ApiGateway 서비스 depl_svc.yml Aplly 하기 - kubectl apply -f ./depl_svc.yml ingress 배포 - kubectl apply -f ./ingress.ymlhttps.yml Aplly 하기 - kubectl apply -f ./https.ymlMember 서비스 depl_svc.yml Aplly 하기 - kubectl apply -f ./depl_svc.ymldeploy_ordermsa_with_k8s.yml 통해서 github push 하기 AWS ECR Repository 에 정상적으로 이미지 등록되는지 체크 API Gateway 배포 완료member service 배포 실패 - Readiness probe failed: Get "http://172.31.47.22:8080/health": dial tcp 172.31.47.22:8080: connect: connection refused일단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배포되었는지 자기 자신 서버로 호출 해서 체크 하는 것 같습니다. 이런데 "연결 거절" 이라는 에러가 발생되네요. 무엇이 잘못되는지 확인이 어려워서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다시 처음부터 했는데도 문제가 있어서 분명 제가 설정 잘못 한거 같은데... 혹시 예상되는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vagrant up 시에 Running pre-flight checks 에서 에러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inf.run/DvsRD)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inf.run/Ljaer)[질문 하기]안녕하세요.현재 집에서 mac m1 노트북으로 실습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데, vagrant up 했을 때worker node에 대해서[preflight] Running pre-flight checks과정에서 아래 에러가 발생합니다. w3-k8s-1.30.0: error execution phase preflight: couldn't validate the identity of the API Server: failed to request the cluster-info ConfigMap: client rate limiter Wait returned an error: rate: Wait(n=1) would exceed context deadline w3-k8s-1.30.0: To see the stack trace of this error execute with --v=5 or higherThe SSH command responded with a non-zero exit status. Vagrantassumes that this means the command failed. The output for this commandshould be in the log above. Please read the output to determine whatwent wrong.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virtual box 버전: 7.1.10vagrant 버전: 2.4.7입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VMware로는 안되고 꼭 버츄얼 박스로만 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주로 제가 사용하는 가상머신이 VMware로 사용하고 있는데 해당 VMware로는 실습이 불가능 한 걸까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36강 edowon0623/cicd-project-ansible이 호환이 안되는것 같아요
36. Kubernetes Script 파일 강의에서cicd-devops-deployment.yml 작성 후kubectl apply -f cicd-devops-deployment.yml이명령어 실행 후kubectl get pod로 확인해보면 상태가 error입니다그래서 LLM에 물어보니edowon0623/cicd-project-ansible를 아키텍쳐에 맞게 빌드를 다시해야한다는데혹시 리눅스-우분투, 인텔CPU(i5-6500)에 맞기 빌드된 이미지가 있을까요?여기 질문게시판에 검색을 해봤는데 어떤건지를 잘 모르겠습니다.죄송합니다 제 도커 허브에 보니제이름/cicd-project-ansible 이 있고 이걸로 하니 제대로 됩니다그런데 이거 강의 보고 만든거 같은데 강의 몇번인지 알수 있을까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k8-Master 설치 관련 문의드립니다.
mac 버전 카페에 나온대로 설치 후 쿠바네티스 모니터링화면 까지는 나옵니다.모니터링 화면 데이터가 나오지를 않습니다.세팅은 완료되었는데, 어느부분을 제가 놓친 것이 있는 지 궁금합니다.알림을 클릭해보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있습니다.customresourcedefinitions.apiextensions.k8s.io is forbidden: User "system:bootstrap:n272y3" cannot list resource "customresourcedefinitions" in API group "apiextensions.k8s.io" at the cluster scopere 그라파나와 loki 세팅하여 강의 대로 봤는데 데이터는 N/A입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강의 실습에 사용된 Kubernetes yml 파일 출처 문의 입니다
안녕하세요강의를 반복해서 들으며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공부를 하던 중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겨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예를 들어, 모니터링 설치 실습을 진행한다고 가정했을 때kubectl apply --server-side -f ground/k8s-1.27/prometheus-2.44.0/manifests/setup이런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요,실제로 Git 레포지토리에 들어가서 해당 경로의 소스들을 살펴보니 꽤 많은 yml들이 포함되어 있더라고요.그래서 궁금해졌습니다.이런 YAML 보통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는 건가요?혹시 공식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오픈소스나 레퍼런스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eks를 활용한 spring 운영서버 배포(feat. devops의 모든것)
MAS 환경에서 Feign Client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HTTP 통신 발생시 에 대한 질문 있습니다.
공유해주신 API Gateway 아키텍처를 보면Order 서비스가 Product 서비스에게 해당 상품 수량 어느정도인지 요청시Order 서비스는 유레카에게 Product 서비스 위치를 질의 한다.유레카에 등록된 Product 서비스 위치 정보를 Order 서비스에게 응답한다.Order 서비스는 Product 서비스에게 실질적으로 상품 수량 GET 요청 한다. 제가 알고 있는 일반적으로 (MAS X) 모놀리식 구조에서 Feign Client 를 사용시 유레카를 사용 하지 않는 상황에서 특정 서버에게 요청시 곧바로 해당 서버에게 요청을 했었는데요. (3 Way Handshake 생략)그런데 @FeignClient(name = "product-service", url="http://product-service") public interface ProductFeign { }이렇게 FeignClient 어노테이션에서 name 을 특정 서버 어플리케이션 이름으로 지정하게 된다면 알아서 유레카에게 질의하고 응답 받아서 Product 서비스에게 요청해서 총 HTTP 요청이 2번 일어 난다고 보면 되는건가요? 일단 비지니스 로직단에서는 HTTP 요청이 2번 일어난다(유레카 서버에게 호출 하고 그 다음 실질적은 요청하고자 하는 서버에게 다시 요청) 라고 로직상에서는 안보여서요. 이부분은 내부 로직(Feign client 라이브러리 내부 로직?? 이라고 해야 할까요?..)에서 처리된거라서 눈에 안보이는 부분인지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aws eks --region ap-northeast-2 update-kubeconfig --name kube-practice 권한 거부
C:\Users>aws eks --region ap-northeast-2 update-kubeconfig --name kube-practiceAn error occurred (AccessDeniedException) when calling the DescribeCluster operation: User: arn:aws:iam::149536462938:user/my-computer is not authorized to perform: eks:DescribeCluster on resource: arn:aws:eks:ap-northeast-2:149536462938:cluster/kube-practice클러스터 전환이 안되는데 왜 이럴까요?우선 루트 사용자로 전환하니까 되긴 했습니다AllowEKSDescribeCluster고객 인라인인라인AmazonEC2ContainerRegistryFullAccessAWS 관리형직접AmazonEKSClusterPolicyAWS 관리형기존 iam유저 권한은 이렇게 지정되어 있습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VM 환경을 직접 구성하였을 때 강의 내용을 따라가는 것에 지장이 없을까요?
[👍좋은 질문을 했을 때 좋은 답변이 돌아 옵니다]안녕하세요 강의를 들으면서 환경 세팅을 위해 준비 중인데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저는 해당 강의를 통해 k8s 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실험 환경을 구축하고자 수강 중에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추후 진행활 실험은 GPU 가속이 필요해서, 영상에서 소개해주시는 VM 솔루션 처럼 Type2 하이퍼바이저가 아닌 Type 1 하이퍼바이저 VM의 사용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Windows의 Hyper-V 가상화를 통해 VM을 구축하여 강의를 진행하고자 하는데요. 궁금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환경에서도 강의 내용을 따라가는 데 지장이 없을까요?- 특히 Vagrant의 경우, Vagrant 에 작성된 내용을 참고하여 직접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면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고 다른 질문글에 답을 남기신 것을 보았는데요. 해당 환경에서도 말씀하신 것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 여쭙고자 합니다.Linux 의 경우 Ubuntu 를 사용하는 것이 너무 손에 익어서,, 혹시 Ubuntu 리눅스를 사용하였을 때에도 강의 내용을 해수편까지 따라가는 데 지장이 없을까요? (알려주시는 명령어는 직접 우분투 배포판에 맞춰서 바꿀 생각입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프로메테우스 - {{ x86-64, arm64 }}
Unable to connect to the server: dial tcp 192.168.1.10:6443: i/o timeout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네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inf.run/DvsRD)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질문 하기]vagrant up명령어를 통해 vm을 생성하면 한두개씩 생성이 안되어서 이미지를 다운받아 virtualbox에서 가져온 후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새로 인터페이스르 추가하고 해당 명령어를 입력했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어디서 잘못된걸까요?
-
해결됨eks를 활용한 spring 운영서버 배포(feat. devops의 모든것)
AWS EKS 클러스터 생성 후 에러 문구 질문
리소스 로드 중 오류 발생Amazon EKS is unable to communicate with your Kubernetes cluster API server. The cluster must be in an ACTIVE state for successful connection. Please try again in few minutes. 안녕하세요 선생님 고생 많으십니다 ^^ 질문 하나 하도록 하겠습니다!이렇게 에러가 나오는데요! 분명 활성 상태인데 왜 이런 에러가 발생되는걸까요? IAM 도 분명 잘 설정 했는데도요 ㅠㅠ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failed to pull and unpack image \"registry.k8s.io/kube-apiserver:v1.30.14\": context canceled"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inf.run/DvsRD)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inf.run/Ljaer) Vagrant up을 하면, kubeadm init 단계에서 이미지를 가져오지 못하고 아래아 같이 멈추어 있습니다.ping google.com을 통해 외부 연결은 정상적으로 되는건 확인했습니다.어떤 부분을 더 체크해야 할까요?==> cp-k8s-1.30.1: Running provisioner: shell... cp-k8s-1.30.1: Running: /var/folders/p7/4nthz5pn0g983598nhw8gqd00000gn/T/vagrant-shell20250627-87887-ucssq0.sh cp-k8s-1.30.1: I0627 19:51:36.035198 3710 version.go:256] remote version is much newer: v1.33.2; falling back to: stable-1.30 cp-k8s-1.30.1: [init] Using Kubernetes version: v1.30.14 cp-k8s-1.30.1: [preflight] Running pre-flight checks cp-k8s-1.30.1: [preflight] Pulling images required for setting up a Kubernetes cluster cp-k8s-1.30.1: [preflight] This might take a minute or two, depending on the speed of your internet connection cp-k8s-1.30.1: [preflight] You can also perform this action in beforehand using 'kubeadm config images pull' cp-k8s-1.30.1: W0627 19:51:36.766582 3710 checks.go:844] detected that the sandbox image "registry.k8s.io/pause:3.6" of the container runtime is inconsistent with that used by kubeadm.It is recommended to use "registry.k8s.io/pause:3.9" as the CRI sandbox image. Log: sudo journalctl -u containerd -f --since "10 minutes ago" Jun 27 19:51:35 cp-k8s systemd[1]: Started containerd container runtime. Jun 27 19:51:36 cp-k8s containerd[3591]: time="2025-06-27T19:51:36.782079946+09:00" level=info msg="PullImage \"registry.k8s.io/kube-apiserver:v1.30.14\""Jun 27 19:54:57 cp-k8s containerd[3591]: time="2025-06-27T19:54:57.270115838+09:00" level=info msg="PullImage \"registry.k8s.io/kube-apiserver:v1.30.14\""Jun 27 19:56:35 cp-k8s containerd[3591]: time="2025-06-27T19:56:35.785071330+09:00" level=error msg="PullImage \"registry.k8s.io/kube-apiserver:v1.30.14\" failed" error="rpc error: code = Canceled desc = failedto pull and unpack image \"registry.k8s.io/kube-apiserver:v1.30.14\": context canceled"Jun 27 19:57:26 cp-k8s containerd[3591]: time="2025-06-27T19:57:26.762161620+09:00" level=error msg="PullImage \"registry.k8s.io/kube-apiserver:v1.30.14\" failed" error="failed to pull and unpack image \"registry.k8s.io/kube-apiserver:v1.30.14\": failed to copy: read tcp 10.0.2.15:48760->52.219.124.238:443: read: connection reset by peer"Jun 27 19:57:26 cp-k8s containerd[3591]: time="2025-06-27T19:57:26.770337247+09:00" level=info msg="PullImage \"registry.k8s.io/kube-apiserver:v1.30.14\"" [질문 하기]
-
해결됨eks를 활용한 spring 운영서버 배포(feat. devops의 모든것)
프로젝트 연결
안녕하세요 강사님! Redis로 시작해 채팅 서비스를 거쳐 지금의 강의까지 도달한 학생입니다 :) 항상 유익한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번 강의를 진행하기에 앞서 이전에 진행한 채팅 프로젝트를 적용해 배포해보려고 하는데요 혹시 강의를 진행하는데 있어 문제되는 부분이 생기지 않을까 싶어 미리 질문을 드렸습니다! 강의를 진행하는데 있어 프로젝트가 다르더라도 큰 문제가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