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2분 23초 index에 해당하는 값이라고 하셨는데
index에 나와있는 값을 4인데 왜 3번째 값을 출력해주시는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9분41초 예제 10번 질문
super("banana")가 없으면 순서가 어떻게 되나요?ChildZ(String str) { this(); System.out.println("Child(String) = " + str);}여기서 암시적 호출로 되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9분41초 예제 10번 질문
super("banana")가 없으면 순서가 어떻게 되나요?ChildZ(String str) { this(); System.out.println("Child(String) = " + str);}여기서 암시적 호출로 되나요?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비주얼 스튜디오 2022
강의에서는 비주얼 스튜디오 2019를 쓰는데 2022를 사용해도 별 문제가 없을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문의는 아니고 그냥 의견인데
굳이 문제 변형을 하지않았다면 어땠을까 싶네요.. 아니면 명확하게 조건을 달아주셨으면.. 물론 제가 제대로 못본탓이지만 그냥 정지해놓고 문제먼저 푸는데 뭐가 잘안돼서 보면 조건이 있다던가 그냥 풀이하고 출력하는문제가 아니더라구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v, v++
만약 total +=(++v) 가 아니라total += (v++) 이면v = 0 이었을때 total에는 1이 더해지는 건가요? 아니면 0 이 더해지고, 밑에줄 내려갈때 v = 1 로 바뀌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실기대비 이론문제 0.91버전 오류정정요청
실기대비 이론문제 0.91버전 오류정정요청애플리케이션 성능 측정지표 4가지 특징설명 부분에서 "경과시간"설명에 해당되는 Turn Around Time 설명부분이 "반환시간"에 대한 설명인것으로 gpt에서 확인했습니다. 경과시간은 다른개념이라고 하는데 혹시 모르니 체크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01:58
안녕하세요.강의를 듣고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void func(struct Node* node) 함수의 마지막 부분인 node = node -> next -> next; 를 통해 n1의 값은 n2를 가리키고 있다는 것은 이해했습니다.반복문이 종료된 후, Struct Node* current = &n1; 의 값은 n2의 주소값을 가리키고 있는 상태이므로 반복문에서 2를 출력하고 NULL을 만나 반복문이 종료된다고 생각했지만 정답을 확인해보니 3,1,2를 출력하고 종료된다고 말씀해주셨더라구요.이 부분에 대해 이해가 가지 않아 추가 설명을 요청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4분 33초 질문드립니다.
for문을 돌린 후 아래 누적된 result값을 십진수로 변환하여 프린트하니, 이전에 것들 (result 값)을 십진수로 변환해서 누적하셨는데, 이 부분이 이해가 안가서 질문드립니다....int f(char score) {return score & OxA5}에는 십진수로 변환하는 것이 없으니 오류가 나는 것이 맞지 않나요? 아니면 c언어에서는 return 할 때, 자동으로 2진수를 십진수로 변환하는 것인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0:46초 printf 왜 bag-> brand 인가요?
bagPtr -> year =2021; 이렇게 포인터 변수에서 멤버변수에 접근할때 -> 이거 사용하는건 이해가 되는데 , 출력함수에서 매개변수가 bag의 포인터 변수인거 같고.. 근데 printf 에서 %s에 들어가는 가는 값을 왜 bag->brand 라고 적어두신지 이해가 잘 안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8분 질문입니다.
현재 ABEDEFG 인 상태라고 하셨는데, 왜 그렇게 되는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6:25
printf("%s\n",p) 에서 p는 korea의 제일 처음을 가르키므로 printf("%c\n",p) 경우에는 출력값이 K 맞나요? c 는 하나만 출력하니까요?printf("%c\n",p) = printf("&c\n,*p) 이 두개의 식이 같은거맞나요 ?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5:09
그러면 printf("dugut cgaracter:%d\n",digit) 일경우에는 48+7 이므로 55인가요 ?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포인터 주소 증감식? 아스키코드 증감식?
EXAM 배열 예시에서 *p++는 p 주소의 주소값이 증가되었는데,++*p는 왜 포인터 변수가 가르키는 값의 아스키코드 값이 증가되는 건가요?.. 너무 헷갈려요 ㅠ 제가 혼자 풀어보기로는 ++*p도 주소값이 전위연산되서 M을 가르키고 출력할 줄 알았는데.. ++*p가 아스키코드 값을 증가시키는 거면 *p++는 왜 아스키코드 값을 후위연산으로 증가시키지 않는 건지 .. 실전에 풀 때 안 헷갈릴 정도로 이해하고 싶어요 ㅠ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3분
23분 배열의 첫번째 요소와 포인터가 가르키는 값은 같다고 하셨는데 왜 출력값이 t 가 아니고 this is string 인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msg 관련
9:10초대 질문이 있습니다. 다른 수강생 분의 질문과 답변을 봤는데도 이해가 가질 않아서요!printf("%c\n, ++ *p);이 순간에 포인터 변수 p가 가리키고 있는 것은 msg의 A였고, 전위 연산(++)으로 B가 답이라는 것까지는 알겠습니다.printf("%s\n", msg);에서 포인터 변수 p와 msg가 별개의 변수라면, msg를 출력했을때, 기존의 EXAM이 정답이라고 생각했습니다. p는 포인터 변수로, msg와 따로 작동하는 것 아닌가요..? p가 바뀐 것이지 배열 자체가 바뀐 것은 아니니까요..! 왜 msg도 EXBM으로, 즉 A->B로 바뀌게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부모로가는이유
21:55 부모거 먼저 태어나게 한다고 하고 par() 로 가는 이유 알려주세요 그리고 다시 자식클래스로 넘어가서 y를 출력하는 순서를 '이렇게', 러는 표현말고 메서드 용어 짚어가면서 제발 규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5분 22초대 질문
강의는 printf("%s\n", tbl[2]);로 되어있고 학습 자료 pdf파일은 printf("%c\n", *(*pp)[2]);라고 되어 있습니다.만약 pdf 파일처럼 printf("%c\n", *(*pp)[2]); 라면 N이 출력되는 건가요?아래 이 문제 관련 질문 주신 다른 분의 답변도 봤는 데 printf("%s\n", tbl[2]);여기서 W가 출력되는 게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더 쉽게 설명이 가능할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this.
이 부분에서 childY()생성자를 부를 때 전 부모 생성자를 먼저 부른다고 생각했는데, childY() 부르고, this("apple")이때 부모를 부르는 건가요? childY() 이때 부르는게 아니라 this("apple") 이때 부모를 부르는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포인터 질문입니다,
영상이랑 관련없는 개별 질문입니다.계속 헷갈리는게 *p++과 ++*p입니다.우선순위에 따라서 *(p++), ++(*p) 이렇게 연산을 하는데, ++(*p)여기서, p의 값을 읽고(예를들어서 A라고 한다면) ++A가 될것이고, 전위연산을 해서 A다음의 문자인 B가 되는 것 까진 이해가 되는데, 값이 A -> B로 대체 되는게 이해가 잘 안됩니다. 대체가 되려면 어디선가 *(&A)(A의 메모리주소) = B 이런식으로 할당이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