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한국에서 제일 쉬운 리눅스 커널 강의
arm 아키텍처는 4를 빼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에 혹시 답이 있을 수 있어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찬란한 프로세스의 삶-5 를 듣던 도중 5분 56초 경 arm 아키텍처는 파이프라인을 적용해서 4바이트를 빼야한다고 하셨는데 해당 이유가 궁금합니다.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exit() 함수
보충 수업 노트에 있는 부분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exit() 함수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됐을 때만 -1을 반환한다고 해 주셨는데, 그럼 강의에 있는 코드 부분도 exit(0)이 아니라 exit(1)로 수정되어야 하는 것이 맞나요? exit(1)이 비정상적으로 끝났을 때 수행되는 것 아닌가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CRC / CHECKSUM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강의를 보다보면 crc와 checksum이 한몸처럼 움직인다고 이해를 하게 됩니다.(물론 제가 이해를 잘못 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글을 작성합니다..)"IPv4에는 CRC를 통한 손상된 패킷을 확인하고 폐기하는데 쓰는 체크섬필드가 있습니다. (Header Checksum 필드)그러나 IPv6는 해당 체크섬필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프레임에서 사용되는 CRC/체크섬 트레일러" 이런 부분처럼요 이후 정리를 하는 과정에 crc와 checksum은 엄연히 다른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둘은 다른 종류의 알고리즘이며 crc가 checksum보다 강한 오류 검사 알고리즘이며crc는 주로 2계층에서 checksum은 주로 3계층에서 사용이 되고 "IPv4에는 CRC를 통한 손상된 패킷을 확인하고 폐기하는데 쓰는 체크섬필드가 있습니다. (Header Checksum 필드)그러나 IPv6는 해당 체크섬필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해당 발췌 부분에서는 ip헤더에 존재하던 header checksum이 v6로 오면서 사라졌다 "프레임에서 사용되는 CRC/체크섬 트레일러"=>데이터링크의 데이터 단위인 프레임에서는 crc알고리즘을 통해 오류를 찾아낸다 이렇게 정리를 하고 들어가면 될까요?
-
미해결운영체제 공룡책 강의
컨텍스트 스위칭과 PCB
안녕하세요! 먼저 좋은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점이 들어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운영체제운영체제는 프로세스를 관리하며, 컨텍스트 스위칭 시 프로세스마다 할당된 PCB 자료구조를 확인하여 CPU의 레지스터에 상태(Context)를 설정한다는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컨텍스트 스위칭그렇다면, 프로세스 A, 프로세스 B가 메모리에 로드되어 있는 상태에서 프로세스 A가 실행되다가 할당된 CPU Time 을 다 소비하게 된다면 CPU Interrupt 가 발생되어, A의 PCB에 현재까지의 context를 저장하게 될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그렇다면, 프로세스 A에서 프로세스 B로 컨텍스트 스위칭이 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세스 A에서 운영체제로 컨텍스트 스위칭이 되고, 운영체제가 프로세스 A의 PCB 작업을 처리한 후에 프로세스 B로 다시 컨텍스트 스위칭이 되는 것이 맞을까요?? 추가로, 운영체제 또한 자료구조이며 PCB 자료구조는 동적으로 생성 및 삭제가 되는 것으로 생각이 되는데 운영체제 역시 하나의 프로세스로 간주하여 운영체제의 동적 메모리 영역인 힙 영역에 PCB가 생성 및 제거 되는 것일까요??
-
미해결운영체제 공룡책 강의
퀴즈 답지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혹시 퀴즈 답지는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
미해결FreeRTOS 프로그래밍
디버거모드에 진입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2:22를 따라하는데 디버거모드에 진입이 되지 않습니다.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마무리 - 확인 문제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03-2 마무리 확인 문제 1번에서 ④번 선지도 틀린 것 아닌가요?"명령어에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를 직접 명시할 경우(= 즉시 주소 지정 방식)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는 연산코드의 크기만큼 작아집니다."라고 되어 있는데, 책의 예시로 연산 코드가 4비트여도 오퍼랜드 크기는 12가 될 수 있으므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12비트)는 연산코드의 크기(4비트)만큼 작아지지 않습니다.따라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는 연산코드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는 게 맞지 않나요?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뮤텍스 락
뮤텍스 락으로 설명하신 내용은 스핀락 아닌가요?스핀락은 프로세스를 블로킹하지 않고 계속해서 CPU를 사용하여 busy-waiting이 일어나지만 뮤텍스 락은 대기 큐에서 블로킹 된 상태로 대기하여 busy-waiting이 일어나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
미해결FreeRTOS 프로그래밍
prvExampleTaskHook 함수 호출 부분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는 얼마 전에 완강하였는데, 계속해서 반복해서 듣다가 궁금한 것이 있어 이렇게 문의드립니다.혹시 prvExampleTaskHook 함수는 어디에서 호출되는 함수인지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
해결됨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JSON과 JS Object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JSON이라는 데이터가 있을때 parse로 JSObject로 역직렬화를 하고 JSObject를 외부의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stringify를 통해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한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그러면 JSON이라는 데이터는 결국 문자열 타입인건가요?아니면 JSObject를 JSON이라고 하는것인가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가상메모리의 필요성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있던중 가상주소의 필요성에 대해 궁금해졌습니다. 물리 주소 상에서도 그냥 프로세스들을 페이징해서 사용하면 되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어.. 가상주소는 왜 꼭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LRU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좋은 운영체제 강의 감사드리며, 수강 중 한가지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LRULeast Recently Used 는, 최근에 가장 사용이 적은 페이지를 선택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그렇다면 가장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방법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4:40 그림과 함께 설명되는 부분은 (최근에 들어온 페이지의 참조 수를 계산한다고 설명 주신 부분은) 계수-기반 페이지 교체 Counting-Based Page Replacement에서참조 횟수가 가장 작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방법인 LFULeast Frequently Used 방식에 해당하는 설명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오랜기간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한다면, 예시의 마지막 LRU 교체는 "D" 에서 이루어져야하는 것이라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FreeRTOS 프로그래밍
보드 STM32H735IG와 강의 호환 여부 문의
안녕하세요 이번에 FreeRTOS를 공부하려고 합니다.현재 보드명 : STM32H735IG / STM32H735-DK를 사용하여 FreeRTOS강의를 수강하려고 합니다. 이에 대해 강의의 코드를 참고하여 실습하는 것에 대해 문제가 없는지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Page Fault 오류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Page Fault 과정1. 어떤 명령어가 유효한 가상주소에 접근했으나 해당 페이지가 만약 없다면 트랩이발생되어 운영체제에 알리게 됩니다.2. 운영체제는 실제 디스크로부터 사용하지 않은 프레임을 찾습니다.3. 해당 프레임을 실제 메모리에 가져와서 페이지교체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특정페이지와교체합니다. (이 때 스와핑이 일어납니다.)4. 페이지테이블을 갱신시킨 후 해당 명령어를 다시 시작합니다.이렇게 되어있는데 2번에서 OS가 Disk에서 빈 frame을 찾는게 아니라 Memory를 보고 빈 Frame이 있으면 Disk에 필요한 Frame을 가져오고 빈 Frame이 없으면 Page 교체 알고리즘을 통해 스와핑하는것 아닌가요?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실행중인 프로세스는 메모리를 연속적으로? 아니면 불연속적으로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번 챕터 강의를 듣다가 실제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이 실제로는 메모리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지 불연속적으로 사용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힙 스택 데이터 코드} 모델을 보여주셔서 연속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요,page와 segmentation 모델 보면 불연속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단순 관점의 차이인가?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섹션12. 입출력장치의 대기상태
안녕하세요 강의 내용 중 확실히 짚고 넘어가고 싶은 게 있어서 여쭤봅니다.프로세스의 대기 상태는 8강에서 나온 DMA 컨트롤러에 의해 프로세스가 입출력 장치로 처리 되는 상태와 같나요? 이를 CPU 입장에서는 해당 프로세스의 '대기' 상태라고 보는 것인가요?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고정 분할 방식도 연속 할당으로 알고 있는데 애니메이션이 다소 헷갈립니다.
2:40에 보면 프로세스 A의 가상주소가 2MB씩 연속적으로 할되지 않고 불연속적으로 할당되어 있습니다... 제가 뭔가 착각하는 건가용... 여기도, 여기도 연속 할당 방식에 고정 분할과 가변 분할이 있다고 나옵니다... 물론 이 분들이 틀렸을 수 있지만요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Swapping, Manual Overlay, Dynamic Loading, Dynamic Linking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메모리 오버레이와 스와핑에 대해 찾아 보다가 제목과 같은 기술들을 알게 됐습니다. 영상에서는 메모리 오버레이=프로그램을 쪼개 RAM과 2차 메모리에 나눠 담기, 스와핑=필요할 때마다 2차 메모리에 있는 프로세스 조각과 RAM에 올라가 있는 조각 바꿔치기로 설명하셨습니다. 근데 더 찾아보니 오버레이도 수동/자동이 있다는 것, 또 스와핑과 비슷해 보이는 Dynamic Loading, Dynamic Linking이라는 것도 발견했습니다. 깔끔하게 정리된 자료가 없어서 정리해 주시면 너무 감사할 것 같습니다.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P.301 질문
p.301 에서 그림에 그려져있는 태그 같은 표시는 PCB 를 뜻하는건가요? PCB는 커널영역에 저장된다고 전 시간에 배웠는데, 왜 스택영역에 저장되어 있는거 처럼 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각 메모리의 최대 요구 CPU 리소스는 어떻게 아나요?
이전 강의에서 "SJF 알고리즘은 각 프로세스의 CPU Burst Time을 예측하기 매우 어렵다."고 하셨는데, 최대 요구 CPU 리소스 예측도 CPU Burst Time 예측과 다른 게 없지 않나 생각하거든요. 그런데 여기선 "예측한 최대 요구 CPU 리소스 이상은 절대 안 쓴다!"라고 단정짓고 진행된 것 같아서 뭐가 다른 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건 제가 공부를 제대로 안 한 건지 모르겠는데요. 한 프로세스에는 그 프로세스가 쓸 프로세스만큼 맨 처음에 할당받고 Waiting으로 넘어가는 거 아니었나요? 생성 시점에 코드랑 데이터를 보면 이 프로세스에 얼만큼 리소스가 필요한지 알 수 있을 텐데... 그러니까 '최대 요구 자원'이라는 개념 자체가 이해가 안 됩니다.